6월 15일 현재 82,500가구 보조금 받아

7월 1일부터 집주인 세입자 퇴거 조치 가능

 

코로나19로 많은 주택세입자들이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어, BC주정부가 도입한 렌트비 보조금을 코로나19 대유행이 종식되지 않아 연장하게 됐다.

 

BC주정부는 임시렌트보조금(temporary rental supplement, TRS)지원을 8월말까지 연장한다고 19일 발표했다.

 

4월 9일 첫 임시렌트보조금 프로그램을 시작한 이후 6월 15일까지 총 9만 가구 이상이 신청을 했고, 이중 8만 2500가구 정도가 자격을 얻었다. 

 

임시렌트보조금은 한달에 부양가족이 있는 가구에는 500달러씩, 1인가구는 300달러씩 혜택을 받는다.

 

BC주정부의 셀리나 로빈슨 지자체정무주택담당 장관은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삶과 경제에 많은 어려움을 겪어오다 이제 점차 회복되고 있지만 아직도 많은 이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많은 주민들이 직면하고 있는 재정적인 어려움을 알고 있어, 정부는 렌트비 보조 연장 등의 조치를 취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미 임시렌트보조금을 받고 있던 수혜자는 별도로 신청을 할 필요가 없다. 단지 같은 주소지에 7월과 8월까지 거주할 계획인지 이메일을 통해 확인하게 된다.

 

새 신청자는 8월 31일까지 받고, 자격이 되면 해당 월에 렌트보조금을 받게 된다.

 

 

렌트비를 내지 못해도 강제 퇴거를 할 수 없도록 지난 3월 30일부터 행정명령이 내려졌는데, 이 효력도 지속된다. BC주의 코로나19봉쇄정책의 완화로 재시작 계획이 실행되면서, 렌트비를 내지 못하는 세입자 퇴거 금지 조치는 당초 이달 말에 중단 예정이다.

 

집주인은 세입자를 강제로 내보내길 원할 경우 7월 1일부터 신청을 할 수 있다.

 

로빈슨 장관은 "경기 재출발을 위해 뉴노멀을 준비해야 할 때이지만 아직도 수입이 감소해 어려움을 겪는 주민들을 보호하기 위해 주정부는 계속 노력해 나갈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취해진 이번 조치로 집주인은 주택을 팔아 새 주인이 살려고 들어오는 경우 

또는 다른 세입자들을 위험하게 하거나 허가 없이 서브 렌트를 하는 등 세입자를 내보낼 수 있는 사항이 발생하면 집주인이 이사를 요청하는 고지를 할 수 있게 된다. 집주인은 1개월에서 4개월 간 사전 고지를 해 줘야 한다.

 

주정부는 렌트료를 내지 못해 세입자를 내보낼 수 있도록 원상복귀할 때는 미리 충분한 시간을 두고 사전에 통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와 동시에 세입자가 내지 않은 렌트비를 합리적인 기간 안에 갚을 수 있도록 조정을 할 예정이다.

 

이번달 말에 새 행정명령이 나오게 되면, 집주인은 수리나 유지보수를 위해 세입자의 집 방문이 다시 허용된다. 하지만 이 경우도 세입자와 집주인이 서로 일정 거리를 유지하고 마스크를 쓰는 등 상호 안전에 협조해야 한다.

 

밴쿠버 중앙일보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477 캐나다 외교부, 재외공관 중심 ‘Team Korea’ 모델 정착 밴쿠버중앙일.. 19.03.15.
5476 캐나다 캐나다 비거주자는 값비싼 새 콘도 선호 밴쿠버중앙일.. 19.03.15.
5475 캐나다 웨스트밴쿠버 고속대중버스 아직 심의 중 밴쿠버중앙일.. 19.03.15.
5474 미국 플로리다 팬핸들 지역에서 진도 2.6 지진 발생 코리아위클리.. 19.03.15.
5473 미국 바다 거북 산란기, 동해안 카운티들 보호 홍보 나서 코리아위클리.. 19.03.15.
5472 미국 올랜도공항 C 터미널 건설 공사, 본격 궤도에 올라 코리아위클리.. 19.03.15.
5471 미국 플로리다주 상원, 흡연 가능 의료용 마리화나 길 열어 코리아위클리.. 19.03.15.
5470 미국 공립학교에서 성경 공부를 ‘선택 수업’으로 코리아위클리.. 19.03.15.
5469 미국 플로리다 주 주도를 올랜도로… 성사 가능성은? 코리아위클리.. 19.03.15.
5468 미국 성 패트릭스 데이 대표적 음식은 콘드 비프 코리아위클리.. 19.03.15.
5467 캐나다 캐나다인 원정출산 개선되야 한다는 입장 밴쿠버중앙일.. 19.03.16.
5466 캐나다 BC주 공동 1위 공립초교 웨스트밴쿠버에 집중 밴쿠버중앙일.. 19.03.16.
5465 캐나다 김영철 평북지사 밴쿠버 방문 밴쿠버중앙일.. 19.03.16.
5464 캐나다 위기의NDP, 총선 앞둔 여론조사 보니? CN드림 19.03.19.
5463 캐나다 밴쿠버한인장학재단, 차세대 지도자에게 최대 5000달러 지급 밴쿠버중앙일.. 19.03.19.
5462 캐나다 노인회 행사를 빛내는 아름다운 손길들 밴쿠버중앙일.. 19.03.19.
5461 캐나다 뉴질랜드 테러사건 남일 같지 않은 캐나다 밴쿠버중앙일.. 19.03.19.
5460 미국 “트럼프, 북한제안 받아들여라” 크리스토퍼 힐 file 뉴스로_USA 19.03.19.
5459 캐나다 다국어 가능하면, 다양한 이미지 변신 가능 밴쿠버중앙일.. 19.03.20.
5458 캐나다 한인타운 인근서 교통사고 운전자 사망 밴쿠버중앙일.. 19.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