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jpg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에 따른 경기침체 상황에서 호주 국방군(Australian Defence Force. ADF) 지원 신청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퀸즐랜드(Queensland) 주의 한 지역에서 훈련 중인 호주 육군. 사진 : ABC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로... 군 지원자, 전년 동기 대비 42% 늘어나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에 따른 급격한 경기침체 상황 속에서 호주 국방군에 입대하려는 이들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7월 4일(토) 호주 국영 ABC 방송이 국방부 자료를 인용, 보도한 바에 따르면 올 들어 호주 젊은이들의 군 입대 지원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42%가 증가했다.

입대 지원자의 이력을 보면 항공 및 관광 부문에 종사하던 이들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 두 분야는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로 가장 크게 타격을 받은 직종이다. 특히 2019년과 비교해 군에 지원한 여성 증가율은 78%나 급등했다.

각 군별로 보면 해군 입대 지원이 54%로 가장 크게 증가했으며 공군과 육군 지원은 각 43%, 41%가 늘어났다.

 

7-2.jpg

올해 3월부터 늘어나기 시작한 ADF 입대 신청 가운데는 특히 여성 지원자가 지난해에 비해 78% 증가했으며, 항공 및 관광분야에서 일했던 이들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사진 : ABC

 

호주 국방부 모병 책임자인 얀 누난(Jan Noonan) 대위는 “군 입대지원 증가 추세는 글로벌 금융위기(Global Financial Crisis. GFC) 당시에도 두드러지게 나타난 바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국방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08년과 비교해 올해 전 세계적 전염병 사태에서의 군 지원 증가비율은 훨씬 높다.

누난 대위는 “당시(글로벌 금융위기)는 GFC가 시작되고 약 4개월이 흐른 시점에서 입대 신청이 급격하게 증가한 반면 올해의 경우에는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가 시작되면서 지원자가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입대지원자 증가에 대해 “하이스쿨 졸업자는 물론 전문 학위를 가진 이들 모두에게 다양한 군 직종을 보장하기 때문”이라고 풀이했다.

 

7-3.jpg

ADF의 모병 책임자인 얀 누난(Jan Noonan) 대위. 그녀는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와 마찬가지로 경기가 위축되는 시기, 군 입대 지원이 증가한다고 말했다. 사진 : ABC

 

조종사, 요리, 군수물자 부문 병력 필요

 

누난 대위에 따르면 현재 호주 국방군에서 가장 필요로 하는 분야는 조종사, 요리 및 군수물자 보급 병력이다. 아울러 올 들어 증가한 입대지원자 가운데는 관련 분야에서 일했던 이들의 비율이 높다.

그녀는 “관광 서비스업에서 일했던 요리 인력들의 군 입대 지원이 많았으며 행정 및 물류 부문에 종사했던 이들 또한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격동의 시기에 군에서 일하기를 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누난 대위는 “타스마니아(Tasmania) 주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의 입대지원이 늘었으며, 구체적인 시기를 보면 바이러스가 크게 확산되던 3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했다”고 덧붙였다.

 

7-4.jpg

호주 해군에는 향후 10년간 650개의 기술 부문 일자리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사진 : 호주 국방부

 

올 들어 군 지원자 증가를 지역별로 보면 북부호주(Northern Territory. 43%), 서부호주(WA. 38%), 빅토리아(Victoria. 24%) 주 순으로 높았다.

퀸즐랜드(Queensland) 주에서는 약 7천300건의 지원신청서가 접수되었으며 최근 600명의 퀸즐랜더(Queenslanders)가 호주 국방군(Australian Defence Force. ADF)에 입대했다.

ADF의 신병 입대신청은 코로나 바이러스가 발생한 지난해 12월 이전에도 전년에 비해 18% 증가를 기록한 바 있다. 이는 지난여름 산불 당시 지역사회에서 호주 군의 역할이 두드러진 때문으로 풀이된다.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와 이로 인한 경기침체 속에서 ADF는 병력 모집, 즉 고용을 늘린 분야 중 하나로, 연방정부는 호주 해군에만 향후 10년간 650개의 새로운 일자리가 추가될 것으로 보고 있다.

군 입대 지원은 경기침체 상황에서 증가 추세를 보이지만 광산업 등이 호황을 보이는 시기에는 군 병력 모집이 어려움을 겪는다. 평균적으로 입대신청은 매년 8만 건에 달하며, ADF는 이중 10%인 8천 명을 선발하고 있다.

 

김지환 기자 kevinscabin3@gmail.com

 

 

  • |
  1. 7-1.jpg (File Size:94.2KB/Download:20)
  2. 7-2.jpg (File Size:71.9KB/Download:23)
  3. 7-3.jpg (File Size:115.4KB/Download:21)
  4. 7-4.jpg (File Size:77.8KB/Download:2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901 호주 The 9 most epic bike rides you can ever do file 호주한국신문 16.08.25.
5900 호주 20대 첫 주택구입자, 테라스 주택에 14만 달러 더 지불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1.
5899 호주 ‘시드니 메트로’, ‘뱅스타운 라인’ 신규 공사 앞두고 ‘고민’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1.
5898 호주 ‘크라운 그룹’, 시드니 서부에 새 호텔 브랜드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1.
5897 호주 SMS에 ‘테러 계획’ 게시한 10대에 보석 불허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1.
5896 호주 ‘학대’ 신고 1천여 건, 가해자 기소는 18건 불과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1.
5895 호주 NSW 경찰, 운전-보행자 대상 1만3천 건 위반 적발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1.
5894 호주 시드니사이더들, 주거지역 선택 우선 고려 사항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1.
5893 호주 NSW 주 180개 학교, 학생 수용 한계 넘어서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1.
5892 호주 호주인 100만 명 이상 불량주택 거주, ‘슬럼화’ 경고...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1.
5891 호주 ‘Father's Day’... 아버지들이 진정 원하는 것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1.
5890 호주 연방 노동당 여성 의원, 자유당 비해 2배 많아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1.
5889 호주 Top 10 Most Misunderstood Road Rules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1.
5888 호주 도심 중심가 주택, 높은 가격에도 예비 구매자 유혹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8.
5887 호주 60년대 풍자잡지 ‘Oz’ 창간, 리차드 네빌 사망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8.
5886 호주 시드니 서부 개발 위한 ‘시티 딜’, 내년 본격화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8.
5885 호주 NRMA와 손잡은 스타트업 회사 ‘Camplify’의 성공 ‘화제’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8.
5884 호주 IS, 오페라하우스 등 호주 주요 지역 테러공격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8.
5883 호주 외국인 소유 농지, 빅토리아 주 넓이의 두 배 규모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8.
5882 호주 광역 시드니, ‘youngest’ & ‘oldest’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8.
5881 호주 지난 6개월간의 연방 의원 업무비용, 5천500만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8.
5880 호주 ‘뉴스타트’ 추가 보조금 삭감 계획에 ‘우려’ 고조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8.
5879 호주 20년 내 ‘지식 근로자’, 노동시장 3분의 2 차지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8.
5878 호주 레스토랑에서의 와인 고르기, 어떻게 하나...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8.
5877 호주 10 things in Australia you can only experience by train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8.
5876 호주 시드니 주택, 경매 잠정가에서 100만 달러 이상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16.09.15.
5875 호주 호주에서 가장 흥미로운 이름을 가진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16.09.15.
5874 호주 호주 가정, ‘의료 및 전기료 지출’ 가장 걱정 file 호주한국신문 16.09.15.
5873 호주 인터넷 접속 속도 가장 좋은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16.09.15.
5872 호주 NSW 주 유학산업, 연 20억 달러 규모로 급성장 file 호주한국신문 16.09.15.
5871 호주 ‘Lockout Laws’ 검토, 영업시간 조정 가능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16.09.15.
5870 호주 호주 대학 중퇴자 비율, 지난 10년 사이 최고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16.09.15.
5869 호주 시드니 남부 ‘민토’서 20대 남자, 행인에 흉기 공격 file 호주한국신문 16.09.15.
5868 호주 시드니 시티 클로버 무어 시장, 네 번째 임기 ‘확정’ file 호주한국신문 16.09.15.
5867 호주 턴불 내각, ‘동성결혼’ 허용 관련 국민투표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16.09.15.
5866 호주 Top ten Australian outback pubs for an ice-cold beer file 호주한국신문 16.09.15.
5865 호주 달아오른 시드니 주택시장, 경매 낙찰률 85.1%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2.
5864 호주 여행 상식- 여권 표지의 색상, 그 의미는...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2.
5863 호주 호주 어린이들, ‘스크린’에 매달리는 시간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2.
5862 호주 바삼 함지, ‘수퍼맥스 교도소’서 휴대전화 사용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2.
5861 호주 “시드니, ‘산책하기 좋은 코스’는 거의 없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2.
5860 호주 시드니 주택시장 성장, “여전히 진행 중...”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2.
5859 호주 NSW 주 정부 고용정책, ‘혜택’은 대기업에만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2.
5858 호주 HSC 시험 수학과목 등록 비율, 50년래 최저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2.
5857 호주 말콤 턴불 수상 인기, 토니 애보트-줄리 비숍에 뒤져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2.
5856 호주 원주민 출신 의원들, ‘증오 거부’ 한 목소리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2.
5855 호주 FWO, 한인 커뮤니티 ‘관행 임금’ 주시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2.
5854 호주 Events in Bluemountains on this Spring season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2.
5853 호주 브론테 해안의 ‘타임 캡슐’ 주택, 735만 달러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9.
5852 호주 직장내 성 소수자-남녀 차별, 생산성 저하로 이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