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jpg

코로나 바이러스 1단계 유행 시점을 기준으로 한 환자 생존율 자료 결과 호주의 중환자실(intensive care units) 입원 환자 생존율이 다른 국가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지난 4월 15일 멜번의 한 병원에서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를 받은 뒤 정상적으로 퇴원하는 94세 고령의 노인. 의료진들이 그녀의 퇴원을 축하해주고 있다. 사진 : 7 News Melbourne 트위터 영상 캡쳐

 

생존 비율 85%, 미국(30%)-이탈리아(38%)-중국(59%) 크게 앞질러

 

코로나 바이러스 유행병이 시작된 이래 현재까지 호주의 감염 환자들 가운데 85%는 중환자실(Intensive Care Units. ICU)에서의 치료 후 정상적으로 회복, 일부 국가들에 비해 높은 생존율을 보이고 있다.

지난 7월 14일(화) 연방정부 및 빅토리아(Victoria) 주 정부에 제공된 자료에 따르면 최근 빅토리아 주에서의 감염자 2차 파동이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비한 중환자실 한계를 초과하지 않는 한 호주가 코로나 바이러스로 치명적 인명손실에 직면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

현재 NSW 주는 빅토리아 주 경계를 통한 감염자 확산 차단에 주력하고 있으며, 최근 감염자가 1천여 명으로 급증한 빅토리아 주 보건부의 최고의료 책임자 브렛 서튼(Brett Sutton) 박사는 이달 말까지 최소 200명의 환자가 더 발생할 것으로 예측, 이들의 치료실 입원을 대비하고 있다.

이 자료는 호주 집중의학 전문가 그룹이 호주의 중환자실 입원자를 집계해 공유한 것으로, 이에 따르면 중환자실에서 인공호흡기와 함께 전문적 간호를 필요로 하는 중증 환자들조차 다른 국가에 비해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코로나 바이러스 유행이 시작된 이래 호주에서는 지난 7월 10일(금)까지 COVID-19 감염 확인 환자들 중 214명이 집중치료를 요하는 상태로 중환자실에 입원했다. 이들 가운데 치료 결과가 알려진 200명의 환자 중 170명이 생존했으며 사망자는 30명이었다. 또한 이들 중 인공호흡기를 필요로 했던 118명 환자의 생존비율은 78%에 달했다.

호주의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자 중 중환자실에 입원해야 했던 환자 이환율(morbidity rate. 일정기간 내에 특정 질환에 걸리는 환자의 수를 인구 1000명, 1만 명 또는 10만 명당으로 표시한 비율)도 15%였다. 이는 영국 40%, 코로나 바이러스가 시작된 중국 44%, 미국 70%에 비해 크게 낮은 수준이다.

이 자료에는 ICU에 입원하지 않은 환자 중 COVID-19로 인한 사망자는 포함되지 않았다.

연방 보건부 그렉 헌트(Greg Hunt) 장관은 중환자실에 입원한 COVID-19 환자의 높은 생존율은 호주 의료의 큰 성과라고 평가하면서 “우리(호주)의 병원에는 ICU 및 일반 치료병실이 잘 갖추어져 있으며 특히 세계 최고 수준의 의료진 및 간호 시스템 덕분”이라고 말했다.

헌트 장관은 이어 “호주는 ‘전염성 질병 네트워크’(Communicable Disease Network of Australia) 및 ‘의료전문가 패널’(Medical Expert Panel)을 통해 환자 진료-최신 치료방법-의학 연구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는 통합 시스템을 갖고 있다”면서 “우리의 전문 의료진과 간호 인력, 의료 시스템이 생명을 구하고 있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환자 생존율 관련 자료는 멜번 소재 모나시대학교(Monash University)와 호주-뉴질랜드 ‘Intensive Care Society Trials Group’의 협업인 ‘SPRINT-SARI Australian Study’에 의해 주 단위로 수집, 집계된 것이다.

‘SPRINT-SARI Australian Study’는 호주 전국 병원의 77개 중환자 병동에서 COVID-19 감염환자 치료 및 결과에 대한 실시간 데이터를 수집하며, 이를 정부 및 영국 옥스퍼드에 기반을 둔 국제연구 컨소시엄과 공유한다.

지난 3월, 코로나 바이러스 대유행 초기, 멜번 기반의 일간지 ‘The Age’는 호주 감염환자의 생존율을 보도한 바 있다. 지난 7월 14일(화) 공개된 자료 또한 당시 ‘The Age’가 전한 코로나 바이러스 환자 생존 비율과 유사한 수치이다.

최근 멜번의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핫스폿은 북부 및 서부 지역이었다. 이 환자들을 치료하는 ‘Western Health’ 중환자 병동 최고 책임자인 모나시대학교 부교수 크레이그 프렌치(Craig French) 박사는 “호주 중환자 병실이 기록한 높은 생존율은 코로나 바이러스 전염병 전반에 걸쳐 각 중환자실의 평소와 다를 바 없는(business as usual) 치료 접근법을 반영한 것”이라고 진단했다.

프렌치 박사는 “이는 바이러스성 폐렴의 한 형태”라며 “다른 바이러스성 폐렴과 차이는 있지만 우리의 치료 결과는 매우 좋으며 여느 때와 다름없이 환자를 치료해야 한다”고 말했다.

코로나 바이러스의 첫 번째 감염 확산 이후 빅토리아 주의 집중치료 병실은 476 침상에서 거의 700개로 늘어났으며 약 1천200개의 호흡기를 갖추었다. ‘Western Health’가 관할하는 선샤인 병원(Sunshine Hospital) 및 푸츠크레이 병원(Footscray Hospital)에서는 의료진 및 다른 환자들이 공기 중의 물방울에 감염될 위험 없이 비침습 인공호흡(non-invasive ventilation)과 산소요법을 사용할 수 있도록 새롭게 설계된 COVID-19 후드를 시험하고 있다.

이날(7월 14일) 현재 호주의 각 병원에 입원한 코로나 바이러스 환자는 105명이며 이 가운데 27명이 중환자실에서 집중 치료를 받고 있다. 아울러 이들 중 85명이 빅토리아 병원에, 26명이 빅토리아 소재 병원의 중환자실에 입원해 있다.

빅토리아 주 보건부 의료 책임자인 브렛 서튼 박사는 앞으로 2주가량, 환자 수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현재까지 빅토리아 주에서 발생한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자는 1천800명에 이른다. 서튼 박사는 “코로나 바아러스 감염자 가운데 병원치료가 필요한 이들이 10-20%에 달했던 점을 감안하면 앞으로 최소한 200명의 환자가 입원해야 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Western Health’의 프렌치 박사는 “빅토리아 주의 중환자실은 ‘사용 가능한 병상’이 충분하며 만약 사람들이 보건 당국의 공공보건 준수 사항을 잘 이행한다면 의료 시스템이 과도하게 운영될 위험은 극히 낮다”고 설명했다.

모나시대학교의 ‘Australian and New Zealand Intensive Care Research Centre’ 연구원인 앤드류 우디(Andrew Udy) 교수는 “호주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환자의 높은 생존율이 중환자실 수용 능력을 시험하지 않았던 COVID-19 대유행 1단계 당시 국내에서 기록된, 비교적 낮은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환자 수를 반영한 것이지만 집중치료 시스템과 숙련된 의료진의 강점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 COVID-19 환자의 중환자실(ICU) 치료 결과

*IMV : 침습식 인공호흡기(Invasive Mechanical Ventilation)

▲ 영국

-중환자실 입원 : 10,421

-확인된 중환자실 치료 환자 : 9,995

-전체 사망률 : 40.1%

-생존율 : 59.4%

-IMV 착용환자 사망률 : 48.4%

 

▲ 중국

-확인된 중환자실 치료 환자 : 444

-전체 사망률 : 44%

-생존율 : 56%

 

▲ 미국

-확인된 중환자실 치료 환자 : 471

-전체 사망률 : 70%

-생존율 : 30%

 

▲ 이탈리아

-확인된 중환자실 치료 환자 : 671

-전체 사망률 : 60%

-생존율 : 38%

 

▲ 호주

-중환자실 입원 : 214

-확인된 중환자실 치료 환자 : 200

-전체 사망률 : 15%

-생존율 : 85%

-IMV 착용환자 사망률 : 22%

Source: Australia / Monash University SPRINT-SARI Australia Study. UK / Intensive Care National Audit & Research Centre report on COVID-19 in critical care. China, US, Italy /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figures for China, the US and Italy are not national figures but the best available from published local studies.)

 

김지환 기자 kevinscabin3@gmail.com

 

  • |
  1. 9-1.jpg (File Size:56.7KB/Download:16)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151 호주 이너시티 주택 경매 낙찰가, 여전히 ‘고공’ file 호주한국신문 16.04.07.
6150 호주 광역 시드니, 지역별 부동산 격차 갈수록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16.04.07.
6149 호주 학교 바자회에서도 $50 위조지폐 발견 file 호주한국신문 16.04.07.
6148 호주 호주 생태계 화제- 독설 내뱉는 ‘트럼프’, 물러서시오! file 호주한국신문 16.04.07.
6147 호주 시드니대학, 경영학부 졸업 일정 ‘일방적 변경’ file 호주한국신문 16.04.07.
6146 호주 “학교에서의 디지털 기기 의존, 실질적 교육에 방해” file 호주한국신문 16.04.07.
6145 호주 시드니와 멜번, 각국 부자들 끌어들이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4.07.
6144 호주 시드니 대학들, 서부 지역서 새 캠퍼스 부지 ‘물색’ file 호주한국신문 16.04.07.
6143 호주 시드니대학교, “학과 통폐합하고 연구비 늘리겠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4.07.
6142 호주 시드니 도심 인근 개발로 ‘인구 500만’ 빠르게 접근 file 호주한국신문 16.04.07.
6141 호주 파나마 ‘모색 폰세타’ 연루 호주인 1천명 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4.07.
6140 호주 턴불 정부 지지도, 집권 이후 노동당에 첫 역전 file 호주한국신문 16.04.07.
6139 호주 Going, going, gone... ‘Lockout Laws’ 이후 문 닫은 10개의 iconic bar는... file 호주한국신문 16.04.07.
6138 호주 UTS, 탈북 새터민 학생들에게 장학금 제공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16.04.14.
6137 호주 서리힐 2침실 테라스 주택, 낙찰가 180만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6.04.14.
6136 호주 ‘인종차별’ 혐의 니콜 보일, 교도소 행 file 호주한국신문 16.04.14.
6135 호주 호주인들, 비자금 모아 의류 구입-도박-유흥비로 file 호주한국신문 16.04.14.
6134 호주 “스마트폰, 사용자를 관음증 환자로 만들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16.04.14.
6133 호주 호주 중앙은행, 5달러 새 지폐 디자인 공표 file 호주한국신문 16.04.14.
6132 호주 아시안 ‘출장 여행자’들이 호주서 주로 구입하는 물품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4.14.
6131 호주 시드니 교외지역, 개인 무기고에 총기 수백 정... file 호주한국신문 16.04.14.
6130 호주 호주인들, “은퇴하기에는 모아둔 자금 너무 적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4.14.
6129 호주 지난해 NSW 주의 출산율 높은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16.04.14.
6128 호주 시드니 지역 각 학교, 늘어난 학생 감당 어려워 file 호주한국신문 16.04.14.
6127 호주 시드니 서부 지역 교통혼잡, 일자리 확대로 풀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6.04.14.
6126 호주 도심 낡은 주택, 잠정가보다 23만 달러 이상에 거래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1.
6125 호주 “부동산 경기 둔화? ‘노던 비치’ 지역은 예외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1.
6124 호주 젊은 여성들, ‘탄력적 근무조건’보다 ‘높은 연봉’ 원해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1.
6123 호주 호주 상위 대학들, 교내 성폭력 문화 대응 ‘총력전’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1.
6122 호주 “여행객들의 울룰루 바위 등반을 인정해 달라”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1.
6121 호주 호주 테라스 주택, 1천300만 달러 판매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1.
6120 호주 시드니대학 조교, 중국계 학생 ‘돼지’ 비하 논란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1.
6119 호주 호주 10대, 2013-14 회계연도 50만 달러 이상 세금 납부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1.
6118 호주 서부 지역 비즈니스, 교통 혼잡으로 영업 손실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1.
6117 호주 올해 연방 총선, 여야 ‘막상막하’ 대결구도 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1.
6116 호주 말콤 턴불 수상, 오는 7월 조기선거 추진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1.
6115 호주 Top 10 most unusual attractions in shopping malls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1.
6114 뉴질랜드 뉴질랜드 온라인 투표, 올해 지방선거 때는 안 한다 file 굿데이뉴질랜.. 16.04.23.
6113 뉴질랜드 뉴질랜드의 인도∙필리핀 이민자 40%가 채무자 file 굿데이뉴질랜.. 16.04.23.
6112 뉴질랜드 뉴질랜드 새 5달러 지폐 국제지폐상 수상 file 굿데이뉴질랜.. 16.04.27.
6111 뉴질랜드 오클랜드 집값 시드니도 추월, 투자자 주택 구매율 절반 가까워 file 굿데이뉴질랜.. 16.04.27.
6110 호주 부동산 시장 둔화 불구, 이너 시티 주택 ‘경매 대박’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8.
6109 호주 포츠 포인트 ‘주차장 크기’의 유닛, 가격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8.
6108 호주 호주 여행자들이 선정한 지구촌 ‘최고의 섬 여행지’는?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8.
6107 호주 Anzac Day 2016... 호주 전역서 기념행사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8.
6106 호주 “성교육 프로그램 ‘YEAM’ 폐지는 이데올로기적 사안”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8.
6105 호주 2013년 이후 차량등록 미갱신 적발 크게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8.
6104 호주 시드니, 전 세계 주택가격 상승 최상위 5개 도시 포함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8.
6103 호주 카운슬 합병 관련, 컨설팅 회사의 ‘이상한’ 자문 보고서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8.
6102 호주 ‘구인광고’서 드러난, 평균 임금 높은 시드니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