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 to 55k grant.jpg

 

 

지난달 토지매매가 급증한것과 같은 흐름으로 서호주에서는 신축주택 구매가 급격하게 늘었으며 신축주택 구매량은 두배가 증가되었다고 HIA(Housing Industry Association)는 밝혔다.

 

 

 

 6월 신축주택판매는 월초 발표된 연방정부 부동산 보조금 ‘HomeBuilder’이 발표된 이후 호주 전역을 통틀어 증가하였고 서호주는 가장 큰 신축주택의 판매량 증가를 보였다.(221.2%)

 

한편 HIA의 수석 경제학자 Tim Reardon은 이번 정책이 성과를 내었다고 밝혔다.

 

주정부의 독립적인 부동산 보조금 ‘Building Bonus’와 함께 기존의 첫 주택 구매자 보조금이 추가적으로 고려된다면 첫 주택 구매자가 $50,000를 상회하는 부동산 보조금을 받을 수 있다는건 기정사실이다.”라고 HIA의 수석 경제학자는 밝혔다.

 

이러한 6월달의 날개돋힌듯 팔린 신축 주택들은 보조금을 받기위해서 계약후 3개월 이내에 건설에 착수해야한다는 조항 때문인것으로 판단된다. 3개월이라는 기간에 대해서 건설과정의 복잡함과 여러 요소를 고려하지 않은 너무 짧은 기간이라는 항간의 비판이 존재하지만 서호주의 구매자들은 주정부의 다소 유연한 정책아래에 신축주택을 공격적으로 계약했다.

 

 

 

 주택부 장관(Housing Minister - Peter Tinley)은 7월초 경제전망회의중 HIA 서호주 대표 Cath Hart에게 신축주택 구매자들이 보조금을 받는데 있어 다소 불합리하고 구매자들이 컨트롤 불가능 한 영역이 있음에 교감했고, WA Office of State Revenue는 ‘Building Bonus’ 보조금에 대해 3개월의 제한적인 추가 유예기간이 고려되고 있음을 전했다이는 신축주택 구매자들에게 구매후 건설의 시작까지 총 6개월의 기간이 주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주택부 장관은 3개월간의 추가적인 유예기간에 구매자들의 잘못과 관련이 없어여 하며 각종 허가 및 금융대출승인등의 문제도 지연사유에 포함될 수 있다고 밝혔다.

 

HIA 서호주 대표에 따르면 추가적인 연장기간에 대해서는 구매자가 직접 신청을 해야하며 보조금에 대한 세부사항이 아직 밝혀지지 않은 가운데 만약 3개월 간의 추가기간이 주어진다면 이는 커다란 혜택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6월 호주전역의 신축주택판매는 역대 최저신축주택판매를 보인 5월과 비교하여 평균 77.6% 상승하였다남호주(South Australia)는 두번째로 큰 신축주택판매량 증가(157.1%)를 보였고 Victoria(47.8%), Queesland(43.3%) 그리고 New South Wales(12.6%)가 뒤를 이었다.

 

 

 

HIA수석 경제학자에 따르면 6월의 지표는 정부의 보조금정책이 각각의 주에서 부동산 판매에 커다란 영향을 준것이 분명하지만 이번 신규주택판매의 반등이 지난 3개월간의 암울했던 결과를 상쇄시키지는 못했으며 단 한달간의 표본에 불과한 데이터에 대해서 조심해야한다고 말했다.

 

지난 3월 신축주택판매는 근래의 지표상 사상 최저점을 보였고 4월과 5월은 심지어 더 하락세를 보였다.”라고 HIA 수석 경제학자는 말했다.

 

연방정부의 Homebuilder정책이 가져올 고용률 향상효과와 관련해서는 7월과 8월의 자료를 토대로한 정확한 분석이 필요할것으로 보인다.”

 

이번 신축주택판매데이터에 따르면 부동산구매에 대한 자신감의 변화가 구매자들로부터 일어난것으로 보여진다.”

 

6월의 부동산 판매 취소율은 23%를 기록하며 4월 최고점을 기록한 30%에서 다소 감소한 모습을 보였다.

 

부동산 판매 취소율 지표를 볼때 아직 변화된 경제여건을 고려해 신규주택매입을 포기하는 가구들이 여전히 상당하다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라고 HIA 수석 경제학자는 전했다.

 

 

 

번역 : 허영준

 

원문 : https://www.perthnow.com.au/business/property/new-home-sales-double-in-june-c-1163327 

 

 

 

  • |
  1. up to 55k grant.jpg (File Size:11.2KB/Download:14)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051 호주 NSW 주 정부의 카운슬 강제 합병, 첫 타격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6050 호주 “호주의 미래가 위험하다”... 호주 교사들 ‘경고’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6049 호주 ‘메리톤’ 사 트리거보프 대표, 호주 ‘최고 부자’ 등극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6048 호주 호주 인구시계... 중간 연령 37세로 집계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6047 호주 NSW 베어드 정부 추진 정책에 시민들 격렬 항의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6046 호주 Australia’s strangest road signs...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6045 호주 안젤로 치레카스, 시장 상징하는 ‘로브’ 벗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44 호주 시드니 지역 폭풍우 불구, 경매 현장 구매자들 ‘북적’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43 호주 부동산 구매시 인지세 관련 비용 25% 추가 예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42 호주 NSW 주 정부, ‘세수’ 유지 위해 도박문제 ‘쉬쉬’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41 호주 “호주 대학들, 교내 성범죄 처리 원활치 않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40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1.75% 유지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39 호주 조지 펠 추기경, 바티칸 재정장관 사임 밝힐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38 호주 비판 직면 ‘곤스키’ 교육개혁, 향후 방향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37 호주 주식시장 회복... 상위 부자 자산, 빠르게 늘어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36 호주 시드니 폭풍, 콜라로이-나라빈 지역 ‘심각한 피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35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 유권자 조사, 노동당 지지도 앞서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34 호주 Australia’s strangest road & other signs-2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33 호주 한정된 공급, 주택구입자-투자자 가격경쟁 가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32 호주 뇌졸중 발병 요인, 국가 소득 수준 따라 달라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31 호주 최근 개통 베넬롱 브릿지, 승용차 불법 운행 ‘문제’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30 호주 NSW 주 정부, 시드니 지역 추가 버스노선 확정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9 호주 정규 과정서 제2외국어 선택 학생, 크게 줄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8 호주 빌 쇼튼 대표, “투표로 복지 축소 막아야...”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7 호주 “의료복지 예산 삭감, 그 피해는 우리들 모두...”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6 호주 “호주 정부, 지난 20년 넘게 유엔 아동협약 위반”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5 호주 “다문화 사회에서 반차별법의 축소나 변경은 안 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4 호주 성별에 따른 임금 격차 ‘상당’... 평균 38% 차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3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양당 대표의 선거 캠페인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2 호주 대화의 기술... 직장 내에서 피해야 할 말들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1 호주 모스만의 낡은 주택, 300만 달러도 싸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20 호주 호주인 골다공증 심각, 3분에 한 명 골절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9 호주 “불명예 전역 간부후보생 자살은 교육대 가혹행위 탓”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8 호주 ATO, 업무용 경비 세금환급 부문 집중 조사 방침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7 호주 이너 웨스트 카운슬 행정관, ‘조기선거 가능’ 언급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6 호주 광역 시드니 주택부족 심화... 공급 한계 이른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5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 실업률 영향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4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 양당 주택정책이 판세 가를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3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 양당의 시드니 서부 관련 공약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2 호주 NSW Budget- 기반시설 투자 집중... 취약계층 지원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1 호주 로얄 보타닉 가든(Royal Botanic Garden) 개장 200년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0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브렉시트 불안감’ 없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9 호주 왕립위원회, “군 내 성범죄는 국가적 망신...”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8 호주 시드니 동부 역사적 건축물, 매각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7 호주 리드 지역구 후보들, 연방 정부 교육정책 토론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6 호주 시드니 남서부 워윅팜 기차역서 승객 사고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5 호주 “공립 교육 확대를 위한 예산-변화 필요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4 호주 호주인 스마트폰 의존, 갈수록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3 호주 호주 가정 음식 폐기물, 연간 80억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2 호주 대중교통 시설의 갖가지 세균에 대한 불편한 진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