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0-758783364_BtOoHPEe_665f2b917b418b5e

6일 브리핑을 통해 BC주 공중보건 책임자인 닥터 보니 헨리는 9월 개학과 관련해 안전하게 대처하는 방법에 대한 의견을 피력했다.(BC주정부 실시간 중계 캡쳐)

 

전달 동기 대비 4배 증가

6월에 비해서도 5배 늘어

미국 사망자 수 재 증가세

유일하게 미국만 입국허용

 

BC주가 코로나19 대유행 봉쇄 완화 조치 3단계에 들어갔지만 확진자 수는 2단계 이후 크게 증가하는 모양세다.

 

6일 BC주 애드리안 딕스 보건부 장관과 BC공중보건책임자 닥터 보니 헨리가 오후 3시 일일 브리핑을 통해 일일 확진자 수가 47명이 됐다고 발표했다.

 

이로써 8월 들어 6일간 총 확진자 수는 240명이 됐다. 7월 동기간에 62명, 그리고 6월 동기간에 50명이 나왔던 것에 비해 약 4배와 5배나 늘어난 수치다.

 

이런 상황은 BC주뿐만 아니라 알버타, 사스카추언, 그리고 마니토바주가 오히려 점차 확진자 수가 증가세를 보이는 것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반면 온타리오주와 퀘벡주는 6월이나 7월에 비해 절반 이하로 크게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6일 현재 전국의 확진자 수는 11만 8,561명을 기록했고, 사망자 수는 8,966명이 됐다.

 

 

BC주는 확진자는 크게 늘어나는 추세지만 사망자는 8월 들어 다행히 단 한 명도 나오지 않았다. 하지만 알버타주는 9명이나 나왔다. 온타리오주가 8명, 퀘벡주가 13명 나온 것과 비교해 적지 않은 숫자다.

 

세계적으로는 6일까지 1,922만 3,899명의 코로나19 누계 확진자와 71만 6,290명의 사망자가 나왔다. 일일 확진자 수가 25만 8,137명을 기록해 이번 주말에 확진자 수는 2,000만 명을 넘어설 수도 있다. 6일의 일일 사망자 수는 6,003명이었다.

 

미국은 7월 하순 이후 매일 1,000명 이상의 사망자가 나오며 상황이 다시 악화되고 있다. 4일에는 1,362명의 사망자가, 5일에는 1,311명이 그리고 6일에는 1,097명을 기록했다. 4월 정점에 달했을 때 2,000명 이상의 사망자가 나오다 6월 하순 안정세로 돌아서는 듯 했으나, 다시 7월 21일 1,000명 이상의 사망자가 나오며 악회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29일 사망자 15만 명을 넘긴 지 9일만에 다시 16만 2,698명을 기록하게 됐다.

 

미국과 함께 가장 상황이 나쁜 브라질은 일일 확진자가 5만 4,801명이나 나왔으며, 일일 사망자 수도 1,226명이 나와 총 9만 8,644명을 기록했다. 이어 인도도 일일 확진자가 6만 2,170명에 일일 사망자가 899명으로 총 사망자가 4만 1,638명을 기록했다.

 

캐나다의 확진자 누계는 뒤늦게 크게 늘어나는 국가들로 인해 24번째로 많은 국가로 기록됐지만 10만 명 이상의 확진자가 나온 25개 국가에 들어가는 오명을 얻었다. 또 사망자 수는 세계에서 17번째로 많은 국가로 기록됐다. 

 

인구 100만명 당 사망자 수가 세계적으로 91.9명인데, 미국은 491명, 브라질은 464명이었다. 캐나다는 237명이어서, 확진자 발생 상위 25개국 중에서 10번째로 높은 국가가 됐다. 

 

현재 캐나다 연방정부는 미국만 유일하게 입국을 허용하고 있다. 세계의 코로나 전염의 축인 미국에게 문을 열어놓고 다른 나라 입국자의 입국은 허용하지 않고 있어 코로나19를 잡기 보다는 경제적으로 미국의 식민지가 되어 코로나19 고통을 나누는 쪽을 선택한 셈이다.

 

연방정부는 외국인의 입국 봉쇄를 8월 31일까지 연장을 했다. 미국에 대해서는 입국은 허용하고 육로는 비 필수 목적의 경우만 8월 21일까지 금지를 하고 있다. 하지만 미국인들이 알래스카 이동 등의 이유로 캐나다 국경을 수시로 통과하고 있는 상황이다.

 

밴쿠버 중앙일보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9357 캐나다 해양 고온, 캐나다 고래 위협 밴쿠버중앙일.. 15.08.22.
9356 미국 텍사스 포함 6개주 이용객들, 애슐리 매디슨 고소 KoreaTimesTexas 15.08.29.
9355 캐나다 총선 3당 표정_보수당, 서비스 클럽 회원에 세금 감면 혜택 file CN드림 15.09.01.
9354 캐나다 Express Entry 연말에 점수 낮아질 듯 file CN드림 15.09.01.
9353 캐나다 지난 주말, 매트로 밴쿠버 강풍으로 피해 속출 밴쿠버중앙일.. 15.09.02.
9352 캐나다 물사용 규정 3단계, 9월에도 계속 file 밴쿠버중앙일.. 15.09.03.
9351 캐나다 밴쿠버 8월, 부동산 시장 호황 계속 file 밴쿠버중앙일.. 15.09.04.
9350 캐나다 앨버타 주정부 이민(PNP) 중지 file CN드림 15.09.09.
9349 캐나다 메트로 밴쿠버, 폭풍 후 물 저장량 정상 범위 재진입 file 밴쿠버중앙일.. 15.09.10.
9348 미국 “막말하는 트럼프, 달라스 방문 반대” KoreaTimesTexas 15.09.11.
9347 캐나다 캐나다 중앙은행, 0.5% 기준 금리 동결 밴쿠버중앙일.. 15.09.11.
9346 캐나다 노스쇼어 구급대, '가장 바쁜 여름 보내' 밴쿠버중앙일.. 15.09.12.
9345 캐나다 밴쿠버, 임대주택지수 위험 수준 밴쿠버중앙일.. 15.09.12.
9344 캐나다 밴쿠버 국제영화제 24일 개막 밴쿠버중앙일.. 15.09.12.
9343 미국 캐네디언, 새로운 총리 원한다..하퍼는 아닌 듯 file CN드림 15.09.15.
9342 미국 막말 트럼프, 달라스에서 또 이민자 혐오발언 file KoreaTimesTexas 15.09.18.
9341 미국 휴스턴 스쿨버스 전복, 학생 5명 사상 file KoreaTimesTexas 15.09.18.
9340 캐나다 밴쿠버 고가 부동산 시장 대호황 file 밴쿠버중앙일.. 15.09.19.
9339 캐나다 BC주 최저 시급, 15일(화)부터 10달러 45센트 인상 밴쿠버중앙일.. 15.09.19.
9338 캐나다 포트만 브릿지 완공, 그러나 수익 난제 밴쿠버중앙일.. 15.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