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jpg

NSW 북서부 내륙, 양 목장이 많은 리버플 풀레인(Liverpool Plains Shire) 지역의 농장들이 협력해 새로운 ‘농장체험 여행 트레일’(agritourism trail) 조성을 추진, 눈길을 끈다. 사진은 윈디 목장(Windy Station)의 양털깎기 창고. 여행자를 위한 워크숍으로 제공하기 위한 작업이 진행 중이다. 사진 : Clare Lee(Windy Station) 제공

 

전형적 농장지대 농가들, ‘농장체험 여행 트레일’(agritourism trail) 공동 개발

 

시드니 북부 뉴카슬(Newcastle)에서 A15번 도로를 따라 북서쪽 내륙으로 접어들면 전형적인 농장지대가 펼쳐진다. 이 도로는 NSW 내륙을 통해 퀸즐랜드(Queensland)로 이어지는 주요 루트이며, 뉴잉글랜드 지역(New England region)의 중심도시이자 호주 컨트리 음악의 산실로호주인들에게 잘 알려진 탐워스(Tamworth)가 이 도로 상에 자리해 있다.

A15 도로에서 자동차로 약 2시간, ‘Tanworth Country Music Festival’이 열리는 탐워스를 1시간 정도 남겨둔 지점의 노스웨스트 슬로프 지역(North West Slopes region)은 퀸즐랜드 북쪽 끝 케이프 요크 반도(Cape York Peninsula)에서 시작해 시드니 인근 블루마운틴(Blue Mountains)에서 대협곡을 만든 뒤 빅토리아(Victoria) 주 서쪽까지 장장 3,500km 길이로 뻗쳐 있는 그레이트 디바인 산맥(Great Divine Ranges)이 지나는 곳으로, 웅장하지는 않지만 제법 높은 산들이 도로 양쪽으로 펼쳐진다.

이 산줄기는 노스웨스트 슬로프 지역에 넉넉한 초지를 제공했고, 특히 이 지역의 리버풀 플레인 카운슬(Liverpool Plains Shire) 구역을 NSW 주의 대표적 양 목장지대로 만들었다.

바로 이 리버풀 플레인 지역, 100여 년 전에 만들어진 40여개 이상 양 목장들이 NSW 주의 새로운 관광루트에 표기될 것으로 보인다.

노스웨스트 슬로프 지역의 중심 타운인 퀴린디(Quirindi) 서쪽, 블랙빌(Blackville)에 자리한 윈디 목장(Windy Station)의 오래된 창고는 이제 더 이상 농장 인부들의 양털깎기 작업장(woolshed)으로 기능하지 않는다. 현재 이 지역 목장들이 개발 중인 ‘농장체험 여행 트레일’(agritourism trail)의 일부로 여행자에게 개방한 것이다.

 

3-2.jpg

리버풀 플레인 카운슬 지역, 파인릿지(Pine Ridge)에 자리한 윈디 목장. 1901년 문을 연 이 목장 농가는 NSW 주 문화유적(heritage)으로 지정되어 있다. 사진 : Windy Station

 

이 목장 소유주인 클레어 리(Clare Lee) 매니저는 “여러 가지 이유로 울쉐드를 사용하고 싶어하는 이들이 거의 매주 연락을 해 온다”며 “농장체험을 원하는 이들이 우리 지역 사람들에게 새로운 기대를 주고 있다”고 말했다.

리 매니저는 문화유산(heritage) 목록에 올라 있는 이 창고를 복원, 컨퍼런스 센터로 개방하려는 야심찬 계획을 갖고 있다. 리씨의 목장은 리버풀 플레인을 새로운 브랜드 관광지로 조성하기 위해 협력하는 이 지역 농장 기반의 비즈니스 중 하나이다.

이 그룹은 서로간의 협력이 지역 경제에 이바지할 뿐 아니라 각 개별농장들에게도 추가 수익을 안겨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호주 각 지역의 ‘팜투테이블’(Farm-to-table. 이름을 내건 농장의 식재료를 활용한 식품) 부가가치 개발을 전문으로 하는 ‘Regionality’ 사의 로즈 라이트(Rose Wright)씨는 “리버풀 플레인 농장들과 이 지역 농산물을 결합한다면 아주 매력적인 여행 소재를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라이트씨는 지난 2년 동안 관련 개발 응용 프로그램, 바이오 보안(biosecurity. 동물, 식물의 질병 확산을 차단하는 조치), 마케팅 및 개발계획 부문에서 각 지역 사람들과 협력해 왔다.

 

3-3.jpg

리버풀 플레인 카운슬 지역의 농장을 찾은 여행자들. 양 목장은 물론 갖가지 농산물이 풍성하게 생산되는 곳이다. 사진 : ABC 방송

 

“이 계획(농장체험 여행)의 성공을 좌우하는 핵심은 여행자들로 하여금 해당 지역에서의 경험이나 제품에 관심을 가질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설명한 라이트씨는 “Agritourism은 소비자와의 연결, 교육에 관한 것”이라며 “그들과의 정서적 연결을 만들어내는 일”이라고 덧붙였다.

호주관광연구원(Tourism Research Australia)에 따르면 코로나 바이러스 록다운이 시행되기 전인 지난 3월까지, 노스웨스트 슬로프 지역 인근인 뉴잉글랜드(New England) 북서부 지역을 여행한 이들이 농장지역에 머문 기간은 평균 4박이다. 또 이들의 69%는 NSW 주 거주민이었으며 이 가운데 35%는 친구 또는 친척의 주거지에서 체류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점에서 리버플 플레인의 농장체험 여행 루트를 개발하려는 이들은 이 지역 여행자들에게 보다 다양한 여행 소재를 제공하기 위한 계획에 몰두하고 있다.

 

상호 협력에 의한 연쇄 효과 기대

 

클레어 리씨의 농장에서 20킬로미터 거리, 파인릿지의 분델라 로드(Bundella Road, Pine Ridge)에는 공예품 판매, 음식제공, 워크숍 장소 및 숙박 서비스를 제공하는 ‘리틀 킥커벨’(Little Kickerbell)이 있다.

이곳에서 요리를 담당하는 캐시 암스트롱(Cathy Armstrong)씨와 예술가인 남편 로웬 매튜(Rowen Matthews)씨는 지난 수년 동안 여행자를 유치하고자 노력해 왔다.

오래된 농가를 펑션센터(function centre)로 개조해 문을 연 ‘리틀 킥커벨’은 직조(weaving), 꽃 장식, 요가 등의 워크숍에서 숙박까지 제공하는 곳으로 ‘힐링 여행자’들의 중심이 되어 왔다.

 

3-4.jpg

파인릿지(Pine Ridge)에 자리한 펑션센터 ‘리클 킥커벨’(Little Kickerbell)에서 꽃 장식 워크숍에 참가한 여행자들. 리버풀 플레인의 ‘농장체험 여행 트레일’은 이 지역 비즈니스들에게 연쇄 효과를 줄 것으로 기대된다. 사진 : Cathy Armstrong(Little Kickerbell)

 

암스트롱씨는 “파인릿지 지역은 비교적 근래 이주한 이들이 많아 농장체험 여행 루트 개발에 대한 기대가 많다”고 말했다.

그녀는 “케이터링(catering)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 내 사람들과도 협력하고 있다”며 “현재 추진 중인 관광 트레일이 서로를 더 알리는 데 도움이 되고 각 비즈니스의 활성화를 꾀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라이트씨는 이 지역 비즈니스를 연계하는 농장체험 트레일 계획에 대해 “각 비즈니스의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라며 “여행자들이 특정 농장을 방문한 뒤 다른 곳으로 이동하여 다른 체험을 할 수 있도록 연계시키는 게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지역 공예품에서 먹거리까지

 

현재 추진 중인 농장체험 트레일를 벗어나면, 보다 넓은 관광영역을 조성할 수 있는 예술가들의 작업공간이 있다.

타냐와 로드니 하티건(Tania and Rodney Hartigan)씨는 13년 전 왈라바다(Wallabadah) 인근의 윌가바(Wilgabah) 농장에 특별한 목적의 갤러리를 만들었다. 타냐 하티건씨는 호주 원주민 고메로이(Gomeroi) 부족 후손으로, 그녀는 자신이 작업하는 원주민 예술을 방문객들과 공유하기로 했다.

 

3-5.jpg

왈라바다(Wallabadah) 인근, 윌가바(Wilgabah) 농장의 타냐 하티건(Tania Hartigan)씨는 농장체험 여행자를 위해 원주민 전통 식재료(사진)를 직접 재배하기 시작했다. 사진 : Tania Hartigan

 

그녀의 농장에는 NSW 문화유적관리위원회(NSW Heritage Council)가 지정한 5곳의 원주민 유적지가 있다. 타냐씨는 또한 여행자들에게 특별한 요리를 선보이고자 원주민들이 식재료로 활용했던 식물을 재배하고 있다.

타냐 하티건씨는 “리버플 플레인 지역의 농정체험 트레일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어 기쁘다”며 “이는 우리(Gomeroi 부족) 문화와 부시(bush) 전통 음식, 재생농업에 대한 지식을 보다 많은 이들과 폭넓게 공유하게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환 기자 kevinscabin3@gmail.com

 

  • |
  1. 3-1.jpg (File Size:115.4KB/Download:20)
  2. 3-2.jpg (File Size:99.2KB/Download:16)
  3. 3-3.jpg (File Size:92.6KB/Download:22)
  4. 3-4.jpg (File Size:137.6KB/Download:27)
  5. 3-5.jpg (File Size:155.0KB/Download:2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201 호주 모건스탠리 선정 ‘10개 유망 호주 기업’은? file 한호일보 16.03.14.
6200 호주 호주인 5대 사망요인은? file 한호일보 16.03.14.
6199 호주 “기후 비상사태 직면” file 한호일보 16.03.15.
6198 호주 신차 매입자 60% 5년래 하자 경험 file 한호일보 16.03.15.
6197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낙찰가격 ‘고공’ 이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7.
6196 호주 각 주 주요 도시 주택 중간가격, 3년 만에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7.
6195 호주 NDIS 시행으로 장애인 서비스 증가 예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7.
6194 호주 뱅스타운-리버풀 노선 확장, 새 기차역 협의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7.
6193 호주 시드니-멜번 알코올 폭력, 밤거리가 무섭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7.
6192 호주 노동당 당원, ‘바턴 지역구’ 후보 경선 요구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7.
6191 호주 지난 2년 사이 당뇨환자 25%, 절단 수술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7.
6190 호주 호주도 청년실업 심각, NSW 실업률 12.2%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7.
6189 호주 호주 유권자들, 세금인상 우려해 연립 여당 지지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7.
6188 호주 시드니 지역 ‘피크아워’ 교통정체, 갈수록 심화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7.
6187 호주 Top 10 best coffees around the world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7.
6186 뉴질랜드 노동당 “이민자 수 제한하고 소수민족기술 국내 자체 보급해야” 굿데이뉴질랜.. 16.03.17.
6185 뉴질랜드 “아시안에 대한 뉴질랜드인 태도 다소 냉각” 설문조사 굿데이뉴질랜.. 16.03.23.
6184 뉴질랜드 뉴질랜드 웰링턴-포리루아 통합 문제 2017년 주민투표 가능성 굿데이뉴질랜.. 16.03.23.
6183 호주 시드니 최대 주말 경매... 911채 등록, 활황세 이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16.03.24.
6182 호주 크라운 그룹, 그린스퀘어 ‘인피니티’ 기공 file 호주한국신문 16.03.24.
6181 호주 스마트폰 상의 데이트 상대 매력 관련 새 연구 file 호주한국신문 16.03.24.
6180 호주 보건 전문가들, 호주인 설탕 섭취 ‘경고’ file 호주한국신문 16.03.24.
6179 호주 로즈(Rhodes)서 3개 그룹 청소년 집단 패싸움 file 호주한국신문 16.03.24.
6178 호주 “STEM 학부 입학생들, 중급 수학 이수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6.03.24.
6177 호주 현 경제상황, 여성이 남성보다 더 ‘비관적’ file 호주한국신문 16.03.24.
6176 호주 지난 달 호주 실업률 5.8%로 다소 감소 file 호주한국신문 16.03.24.
6175 호주 향후 10년 사이 호주인 수백만 명, 대장암 위험 file 호주한국신문 16.03.24.
6174 호주 UN의 전 세계 행복지수, 호주는 아홉 번째 file 호주한국신문 16.03.24.
6173 호주 말콤 턴불 수상, 상원 의회 개혁 강행 처리 file 호주한국신문 16.03.24.
6172 호주 캔버라 정가의 핫이슈, ‘더블 디솔루션’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3.24.
6171 호주 How to find the best discounts in Sydney file 호주한국신문 16.03.24.
6170 뉴질랜드 뉴질랜드 국기 안 바뀐다… 56.6%가 기존 국기 지지 file 굿데이뉴질랜.. 16.03.25.
6169 뉴질랜드 오타고 치과대학, 세계 치과대학 중 12위로 선정 file 굿데이뉴질랜.. 16.03.26.
6168 호주 비상장 대기업 30% ‘법인세 안냈다’ file 한호일보 16.03.30.
6167 호주 백만달러 이상 소득자 54명 ‘세금은 제로 file 한호일보 16.03.30.
6166 호주 호주 올림픽 선수단 유니폼 공개 file 한호일보 16.03.30.
6165 호주 느려터진 호주 인터넷속도 '세계 60위' file 한호일보 16.03.30.
6164 호주 첫 아시아태평양판 유로비전 열린다 file 한호일보 16.03.30.
6163 호주 호주 주택대출 부채 사상 최고 file 한호일보 16.03.30.
6162 호주 이스터 기간의 시드니 주말 경매, ‘화제의 주택’ file 호주한국신문 16.03.31.
6161 호주 혼스비 바비큐 식당서 살인사건 발생 file 호주한국신문 16.03.31.
6160 호주 “시드니 지역 주택구입, 실제로 어렵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3.31.
6159 호주 ‘파라마타 스퀘어’ 카운슬 건축물 디자인 공개돼 file 호주한국신문 16.03.31.
6158 호주 시드니 지역 주택가격 가장 저렴한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3.31.
6157 호주 NSW 주 주택 부족, “전례 없는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16.03.31.
6156 호주 연방 정부, 고등교육 학자금 대출 상환 고삐 당기나... file 호주한국신문 16.03.31.
6155 호주 NSW 정부, 카운슬 합병 계획 ‘마무리’ 방침 file 호주한국신문 16.03.31.
6154 호주 치명적인 여름 대재앙, 4건의 자연재해 보험료 5억5천만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6.03.31.
6153 뉴질랜드 헬렌 클락 UN 사무총장 후보로, 존 키 “아낌없는 응원” 굿데이뉴질랜.. 16.04.07.
6152 뉴질랜드 제 20대 총선 재외선거 전체 실제 투표율 3.2%, 뉴질랜드 32% 기록 굿데이뉴질랜.. 16.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