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jpg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로 호주 국경이 폐쇄, 해외에서의 노동 인력 유입이 막힌 가운데 연방정부가 각 농장 지역의 부족한 노동력 문제 해결을 위해 현재 비자조건 위반 상태에서 불법으로 일하는 노동자를 대상으로 사면을 검토하고 있다. 사진은 빅토리아(Victoria) 주의 한 농장. 사진 : ABC 방송

 

연방정부, 전염병 사태로 인한 노동인력 부족으로 ‘사면’ 검토

농장 지역 인력부족 감안... 농업부 장관, “수주 이내 결정될 것”

 

호주 정부가 또 한 번 불법체류자에 대한 사면령을 발동할까.

COVID-19로 국경이 폐쇄됨으로써 해외에서의 노동인력 입국이 막히고 농장지역 인력부족 사태가 빚어짐에 따라 연방정부가 현재 비자 상태를 위반한 채 불법 체류자 신분으로 농장 지역에서 일 하는 이들의 사면을 검토하고 있다.

지난 10월 3일(토) ABC 방송 보도에 따르면 베이빗 리틀프라우드(David Littleproud) 연방 농업부 장관은 “불법 노동자들이 추방될 염려 없이 일을 할 수 있도록 호주정부가 사면을 도입할 수 있다”면서 “농장 지역 노동자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잠재적 시책으로 노동 허가가 없는 외국인에 대해 사면을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장관은 “이민부, 내무부, 노동부 장관까지 이 문제를 갖고 논의를 진행하고 있으며, 우리가 정확한 정보를 갖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이라면서 “현재 검토되는 이 사안은 향후 몇 주 이내 결정되리라 본다”고 덧붙였다.

호주 농장 지역의 노동인력 부족 문제는 오래 전부터 제기돼 왔다. 지난 2017년 ‘빅토리아 주 농민연맹’(Victorian Farmers Federation)은 원예산업 부문에서 일하는 불법체류자들에 대해 “허가받지 않은 노동력(비자 상태를 위반한 불법 노동)에 문제가 있다”는 점을 인정하면서 이들에 대한 사면을 요구한 바 있다.

이어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로 호주가 국경을 폐쇄한 후 몇 개월 뒤인 지난 7월, 빅토리아 주 농업부의 재클린 사임스(Jaclyn Symes) 장관도 농산물 수확 시기에 앞서 농장 지역 불법체류 노동자들을 사면해 달라고 연방정부에 제안했다.

빅토리아 주뿐 아니라 서부호주(Western Australia) 주의 알라나 맥티어넌(Alannah MacTiernan) 농업부 장관 또한 노동력 부족 해결을 위한 이 아이디어를 지지했다.

이에 대해 연방정부의 리틀프라우드 장관(농업부)은 “불법체류 노동자의 사면은 성급하게 받아들일 수 없는 복잡한 사안”이라며 일단 유보의 뜻을 전한 바 있다.

장관은 “우리는 보안 측면에서 뿐 아니라 노동력 부문에서도 이 문제(사면)를 살펴보고 더불어 (이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노동자 착취 사안의 해결 방안도 동시에 고민할 것”이라며 “호주 농업 부문의 경우 불법 체류 상태의 노동자가 과도하게 있는 분야로 생각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이는 농업부 장관이 노동력 부족 해결을 위한 사면 방안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5-2.jpg

호주정부는 오래 전부터 농장 지역민들로부터 노동력 부족을 감안해 농장에서 일하는 불법체류 노동자들을 사면해야 한다는 압력을 받아 왔다. 사진은 빅토리아 주의 한 과일 농장. 사진 : ABC 방송

 

장관은 이어 “노동력 착취가 전국적으로, 대규모로 일어나는 문제라고 일반화해서는 안 된다는 생각이고, 이는 또한 위험한 것”이라고 전한 뒤 “물론 농업부문뿐 아니라 모든 산업 분야에서 실제로 일어나는 일이기는 하다”고 말했다.

빅토리아 농민연맹의 엠마 게르마노(Emma Germano) 부회장은 3년 전 동 연맹이 요구한 사면이 받아들여지지 않았음을 언급하면서 “다가오는 농산물 수확시기에 필요한 2만6천여 명의 노동력 부족을 해결할 수 있을지 확신할 수 없다”며 사면의 필요성을 다시금 제기했다.

게르마노 부회장은 “현재 이들은 불법 상태에서 취업해 세금을 내지 않는 가운데 이들로 하여금 합법적 상태에서 일을 하게 하고 소득에 대한 세금을 납부하도록 하는 것은 인도주의 차원에서도 합리적”이라고 주장했다.

그녀는 농장 지역 불법 노동자의 사면이 현재 각 주(State) 경계 봉쇄로 인해 중단된 호주 내 노동력 이동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것이 국가 안보위험으로 간주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을 제기했다.

그 동안 연방정부는 매년 해외에서 유입되는 수만 명의 근로자들을 호주 원예산업 부문에 배치해야 한다는 압력을 받아왔다.

연방정부는 조만간 전염병 사태로 미루었던 예산 계획을 발표한 예정인 가운데 각 지방 농장 지역으로 이주하는 젊은 실업자들에게 청년수당 인센티브와 일회성 이주 보조금 지급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COVID-19 사태로 국경을 폐쇄했을 당시, 태평양 지역에서 온 워킹홀리데이 메이커와 노동자 비자를 가진 이들의 비자 기간을 연장해 준 바 있다.

 

김지환 기자 kevinscabin3@gmail.com

 

 

  • |
  1. 5-1.jpg (File Size:103.2KB/Download:32)
  2. 5-2.jpg (File Size:95.7KB/Download:54)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301 호주 타스마니아 주, 법적 흡연 가능 연령 높일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5.12.23.
6300 호주 시드니 지역 주택부족 심화로 ‘그래니 플랫’ 붐 file 호주한국신문 15.12.23.
6299 호주 시드니 주택 부족... 노숙자 평균 5년 ‘길거리서’ file 호주한국신문 15.12.23.
6298 호주 NSW 베어드 정부, 카운슬 합병 강제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15.12.23.
6297 뉴질랜드 뉴질랜드, 세계에서 가장 살기 좋은 나라 순위 2위에 올라 [1] file 굿데이뉴질랜.. 15.12.30.
6296 뉴질랜드 재외국민 주민등록증 제도 실시, 7월1일부터 국내거소신고증 효력 상실 file 굿데이뉴질랜.. 16.01.10.
6295 뉴질랜드 '옹알스 (ONGALS)' 결성 10주년 기념 첫 공연 뉴질랜드에서 무언 코미디로 언어의 장벽을 넘어 K-코미디 선보여 file 굿데이뉴질랜.. 16.01.13.
6294 뉴질랜드 세계은행, TPPA로 2030년까지 뉴질랜드 수출 규모 10% 성장 예상 굿데이뉴질랜.. 16.01.13.
6293 호주 시드니 훈련 중인 두산베어스, 호-뉴 대표팀과 친선경기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1.
6292 호주 2015년 ACT 부동산 최고 상승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1.
6291 호주 Good life... 고대 철학자에게서 길을 찾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1.
6290 호주 지난 12년간 호주인 주류소비 전반적 감소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1.
6289 호주 어린이 5명 중 1명, 학업습득 능력 ‘취약’ 상태서 입학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1.
6288 호주 시드니 사립학교 학부모들, 학비 25만 달러 예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1.
6287 호주 고위 공직자들, 납세자 세금으로 만찬 즐겨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1.
6286 호주 상위 62명의 자산, 전 세계 절반의 재산 규모와 동일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1.
6285 호주 고령의 호주인 의사 부부, 이슬람 지하디스트에 납치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1.
6284 호주 디지털 시대의 직업 전망, 호주 청년들 “우울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1.
6283 호주 호주 국가 형성의 시작 Australia Day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1.
6282 호주 버클루스 소재 저택, 1천800만 달러 경매에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8.
6281 호주 호주 범죄조직의 불법 마약 저가공급 ‘심각’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8.
6280 호주 2015년 호주 영화업계, 최고의 호황 누려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8.
6279 호주 호주 주택가격, 세계 1위 홍콩에 버금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8.
6278 호주 “부동산 시장, 중국 정부 외화유출 통제에 영향 없을 것”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8.
6277 호주 호주 원주민들, 여전히 ‘Australia Day'서 소외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8.
6276 호주 호주 ‘공화제 전환’ 움직임, 다시 수면 위로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8.
6275 호주 에어 비앤비가 꼽은 전 세계 Top 10 인기 숙소는...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8.
6274 호주 멜번 경매 시장, 올해에도 호황 이어갈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2.04.
6273 호주 강풍에 지붕 날아간 아파트... 황당, 분통 file 호주한국신문 16.02.04.
6272 호주 스트라스필드 횡단보도서 젊은 대학생 숨져 file 호주한국신문 16.02.04.
6271 호주 패리 오키든, 드러나지 않았던 호주 최고의 부자 file 호주한국신문 16.02.04.
6270 호주 ‘Lockout Laws’, 시드니 도심, ‘고스트 타운’ 되나... file 호주한국신문 16.02.04.
6269 호주 NSW 베어드 주 수상, GST 관련 새 제안 내놔 file 호주한국신문 16.02.04.
6268 호주 호주인 정서, “아직은 군주제 지지 우세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2.04.
6267 호주 시드니, 주요 도시 중 소득 불평등 가장 심각 file 호주한국신문 16.02.04.
6266 호주 Best experiences in Australia: The things we do better than anywhere else file 호주한국신문 16.02.04.
6265 호주 시드니 경매 낙찰률, 지난해 봄 시즌 이후 최고치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6264 호주 NSW 주 상어위험 대처 프로그램, 실효성 ‘의문’?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6263 호주 알 카에다에 납치, 조설린 엘리엇 여사 풀려나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6262 호주 경기회복 조짐? 지난 1월 구직광고 1%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6261 호주 늦은 밤 호텔에 또 무장 강도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6260 호주 NSW 의회, “원주민 ‘잃어버린 세대’에 보상 이뤄져야...”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6259 호주 “높은 주택 임대료, 심한 ‘스트레스’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6258 호주 정부의 세제개혁, 어디로 가나...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6257 호주 “교육 부문에서 우리 사회는 결코 평등하지 않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6256 호주 “시드니 야간경제 몰락, ‘새 음주법’ 때문이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6255 호주 시드니 억만장자(super-rich)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6254 호주 호주 현지인들도 잘 모르는 시드니 하버의 섬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6253 호주 시드니 주택가격 고공행진 이어가... 3침실 주택 150만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6252 호주 ABS, 올 8월 센서스에 지역사회 협조 당부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