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며칠 사이에 대법관 후보자 지명 절차를 놓고 변호사 등 일반인들 사이에 논쟁이 벌어졌고, 일부 책임 있는 사람들이 이 책임 있는 과정에서 지나치게 정치화되고 부당한 공격을 받게 된 것을 눈치챘다. 그러므로 재판부를 표현하기로 했다.이 헌법 절차에 관한 연구자 또는 제삼자의 입장, 그리고 이 간략한 텍스트가 포함되어 있다.
한 나라의 대법원은 사법적 행동주의와 사법적 자제의 균형이 있다. 첫째, 법을 발전시키기 위해서, 둘째, 법의 청렴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법정 결정). 이 기능을 수행하면서 모든 사건이나 분쟁을 고려하는 것은 아니고, 사법 실무에서 법의 청렴성을 확립하는 데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근본적인 법률상 중요성이 있는 경우에 한한다. 그러나 몽골에서는 이런 대법원의 중요한 기능들이 방치되어 있다는 것을 전문적인 논의에서 거듭 언급해 왔다.
분명한 것은 고도의 이론적 지식과 기술, 실무경험, 그리고 사법 원칙과 법치주의에 대한 헌신을 가진 세계적인 변호사 네트워크로서 대법원에 대한 우리의 헌신이 걸린다는 점이다. 그러나 이렇게 많은 수의 법관 후보자를 선정하고 임명하는 과정은 나라마다 다르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두 가지 예를 들어보자. 독일의 경우 연방대법원 판사는 16개 주 법무부 장관과 연방 법무부 장관으로 구성된 16명의 번데스타그(Bundestag)와 32명으로 구성된 연방대법관 선임위원회가 임명한다. 위원회는 이 같은 선정을 하면서 대법관 재직에 필요한 후보자의 전문적·개인적 자질을 꼼꼼히 살핀다. 선정된 후보자는 연방 법무부 장관의 승인을 받고 연방 대통령이 직접 지명한다. 이 과정에서 대법원 판사들이 번데스타그에 후보자를 소개할 수 있는 절차가 없다. 이면의 개념은 대법원의 판사들이 번스타그 임명권을 갖고 있지 않다는 사실과 직결된다.
미국의 경우 상황이 다르다. 그 나라에서, 미국 대법원의 판사 지명자들은 대통령이 지명하고 상원의 승인을 받는다. 상원에서 인준을 받으면 대통령이 (공식적으로) 임명하기로 한다. 상원 인준 권한이 있는 독일과 달리 상원에는 후보자를 공청회에 올리는 등 모든 세부 절차를 책임지는 법사위가 설치돼 있다. 이상에서 보면 양국의 규정과 과정, 경험 등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몽골의 경우 헌법 51조 2항에는 "법관총회가 대법원의 법관을 국가대법관에 도입하고 대통령이 임명한다."라고 명시되어 있다. 후보자는 의회의 지명이나 승인이 아니라 대통령이 지명할 권한을 갖고 있어 대통령이 직접 지명할 수 있다. 의회에서 토론, 투표 또는 공청회를 위한 법적 근거가 된다. 이상적으로는 대통령이 공직에 임명되기 전에 후보자의 법 준수를 감시해야 한다. 게다가, "…를 도입함으로써"라는 법적 공식은 국회가 이 의무를 전혀 수행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상기 내용의 증빙은 다른 유기 법칙에 수록되어 있다. 예를 들어 헌법 25.4조는 '국가의 다른 권한, 조직 및 절차는 법률에 따라 결정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그에 따르면 "대법원 판사를 국가대법관에 소개하는 절차":
104.1. 법원 총회는 대법원 판사 선임을 통과한 후보자의 프로필을 정부에 제출해야 한다.
104.2. 후보자는 법사위 상임위원장과 전체회의에 부친다.
104.3. 상임위원회와 총회 위원은 법관총회의 의장과 후보자를 질의하고 연설할 수 있다.
104.4. 상임위원회나 총회에서 후보자에 대해서는 표결할 수 없다.
104.5. 국회의장은 몽골 대통령에게 후보자 지명을 서면으로 통지하여야 한다."라고 명시되어 있다.
이 과정은 후보자를 의회에 소개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법은 어떤 투표도 제공하지 않는다. 또한, 국회의 "운영의 헌법"으로서, 회원들은 법이 허용하는 행동수칙 내에서만 행동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특히 위의 104조에서도 이 절차로는 타인에 대한 비 익명화, 연기 또는 직접 입국이 허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실, 현 국회의원들은 이전의 국회가 그렇게 잘못된 기준을 세우지 않았다는 것을 알아챘어야 했다. 그렇게 하지 않는 것은 재정상의 행위, 헌법 원칙의 위반, 헌법과 "알아맞힐" 수 있는 헌법적 권리를 자의적으로 남용하는 행위, 그리고 헌법에 안치된 또 다른 기관인 대통령 기관의 헌법적 권위에 대한 중대한 위반이 될 것이다. "엄격한 기준"을 설정하는 것은 심각한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연구원이자 변호사로서 만약 후보자가 법률을 준수하지 않는 '실제적' 문제가 있었다면 국회는 다른 '법적' 방식으로 후보자를 지명할 권한을 가진 대통령에게 알리는 '법적 문화'가 있었을 것이라고 본다.
P.S.: 나는 누구에 대해 말하는 것이 아니라, 국가 권력을 행사하는 조직들 사이의 헌법과 법치주의, 그리고 법률과 직장 문화를 말하고 있다는 것을 강조하고 싶다.
몽골국립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강사, 독일 슈피어 행정연구소 객원연구위원
[news.mn 2020.11.10.]
몽골한국신문 편집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