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업 부동산, 공실률 10% 초과 예상

 

4.png

(사진=scmp)

 

 

스탠다드 차타드, HSBC 등 여러 대형 상업은행들이 코비드19 종식 이후에도 재택근무·유연근무제를 실시할 것으로 전해져, 향후 홍콩 내 A급 사무용 부동산 매물에 대한 수요가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코비드19 사태를 경험하면서 은행들도 보다 더 유연한 근무방식을 도입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상업용 부동산 임차 비율이 가장 높은 은행이 유연근무제를 실시하게 되면 홍콩 A급 사무용 부동산에 대한 수요가 줄어들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스탠다드 차타드의 타뉴 카피라쉬라미(Tanuj Kapilashrami) 그룹 인사팀 책임자는 “오랫동안 미래 근무환경에 대한 문제를 줄곧 고민해왔다. 이번 코비드19 사태가 촉매제가 되어 유연근무제를 도입하게 되었다”고 말했다. 스탠다드 차타드는 2021년부터 홍콩을 포함한 9개 시장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에게 유연근무제를 실시할 예정이다. 신청 직원들은 사무실, 자택 또는 기타 공간에서 자유롭게 일을 할 수 있다.

 

스탠다드 차타드가 전 세계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진행했던 설문조사에서 10~15%의 응답자가 매일 사무실로 출근해서 일을 해야 한다고 답변한 반면 나머지는 재택근무와 유연근무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원 스티븐슨(HSBC Ewen Stevenson) 이사는 “코비드19 사태를 겪으면서 얻은 경험에 따라, 운영방식을 디지털화하고 더 많은 직원들이 재택근무할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지난 10월 27일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일주일 중 절반을 사무실에서, 그리고 나머지 절반은 자택에서 근무하는 것이 적절한 균형이다”라고 밝힌 바 있다.

 

스탠다드 차타드와 HSBC는 홍콩 3대 통화 발행 은행으로, 홍콩에서 근무하는 직원 수만 각각 약 2만2천 명과 6천 명에 달한다. 두 은행이 홍콩에서 임차하고 있는 상업 부동산 면적이 약 440,000sqft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에이미 뤄(Amy Lo) 유비에스(UBS) 홍콩지사 책임자는 유연근무제가 ‘뉴노멀’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재택근무가 하나의 ‘뉴노멀’로 자리 잡게 되면 향후 은행들의 사무실 임차 수요가 줄어들 것이다”고 말했다. UBS가 직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최신 설문조사에서 일주일에 적어도 한번은 집에서 근무할 수 있는 유연근무제를 원한다고 답변한 직원이 80%에 달했다.

 

나이크 프랭크(Knight Frank)의 3분기 데이터에 따르면, 전체 상업용 부동산에서 은행이 임차하고 있는 비중이 가장 크다. 특히 센트럴 지역 A급 사무용 부동산 중 73%를 은행들이 임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틴 웡(Martin Wong) 나이크 프랭크 중화권 리서치 AD는 “앞으로 몇 달 내로 홍콩섬 상업용 부동산 공실률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센트럴 상업 지구의 임대율이 계속 하락할 것이다”고 전망했다.

 

센타라인 커머셜(Centaline Commercial)은 올해 말까지 홍콩섬 핵심 상업 지구의 공실률이 10%를 초과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빈콘 컨설팅(Vincorn Consulting and Appraisal)은 회사가 재택근무를 도입해도 재택근무를 원치 않는 직원도 있을 것이라고 말하며 “홍콩 주거환경은 비교적 좁은 편이다. 그렇기 때문에 여전히 많은 직원들, 특히 자녀가 있는 직원들은 재택근무를 마냥 선호하진 않을 것이다”고 말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4.png (File Size:718.3KB/Download:16)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476 중국 송중기, 상하이 팬미팅 돌연 취소돼 홍콩타임스 16.06.17.
1475 홍콩 천안문 민주화 운동 27주년… 촞불 집회 열려 홍콩타임스 16.06.17.
1474 홍콩 천안문 사태 27주년 추모 촛불집회 열어 홍콩타임스 16.06.17.
1473 홍콩 [포토뉴스] 12만 명의 홍콩시민, 27주년 천안문 사태 추모 촛불집회 참석해 홍콩타임스 16.06.17.
1472 홍콩 랑콤, 반중국성향 가수 행사 모델로 선정했다가 돌연 취소 홍콩타임스 16.06.17.
1471 홍콩 홍콩 가금류 시장서H7N9바이러스가 검출돼 홍콩타임스 16.06.17.
1470 홍콩 홍콩 대표 누아르 영화 ‘무간도’ 웹드라마로 제작 홍콩타임스 16.06.17.
1469 홍콩 홍콩 MTR, 케네디타운역~센트럴역 구간 정전돼 홍콩타임스 16.06.17.
1468 홍콩 21억 HKD 고급주택 구입한 사업가 1억7천만HKD 인지세 면제받아 논란 홍콩타임스 16.06.17.
1467 중국 대마초 협의 받은 성룡 아들 ‘방조명’ 컴백 준비해 홍콩타임스 16.06.17.
1466 홍콩 MTR 요금 2.65% 인상돼...지난 7년간 2.7% 지속적으로 상승 홍콩타임스 16.06.17.
1465 홍콩 스칼렛 요한슨 주연 ‘공각기동대’ 홍콩서 촬영해 홍콩타임스 16.06.17.
1464 홍콩 송중기, 홍콩서 첫 팬미팅 성황리에 마쳐 홍콩타임스 16.06.17.
1463 홍콩 홍콩 교도소서 패싸움, 자살 시도하는 영상 유출돼 홍콩타임스 16.06.18.
1462 홍콩 사라진 홍콩 출판업자 람윙키, 8개월 만에 홍콩으로 돌아와 홍콩타임스 16.06.18.
1461 홍콩 홍콩 거주 만족도 싱가포르, 상하이보다 현저히 낮아 홍콩타임스 16.06.18.
1460 홍콩 오는 8월 홍콩서 초대형 워터슬라이드 글로벌 페스티벌 열려 홍콩타임스 16.06.18.
1459 홍콩 실종됐던 홍콩 서점 점장 “불법적인 구금 당했다”며 폭로해 홍콩타임스 16.06.18.
1458 중국 세계에서 가장빠른 컴퓨터 file YTN_인도 16.06.22.
1457 홍콩 랑콤 논란의 홍콩 가수, 예정대로 콘서트 진행해 홍콩타임스 16.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