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려드는 불법 산악 오토바이와 등산객에 자연환경 훼손

 

9.png

 

코비드19 피해 산을 찾는 탐방객들이 급증하면서 탐방로 일대 생태환경 훼손 우려가 커지고 있다. 사람의 발길이 이어지다 보면 환경 훼손이 불가피하고 회복하기까지 시간이 더디게 걸린다.

 

신계 람츈 컨트리파크(Lam Tsuen Country Park)에 위치한 까이쿵랭(Kai Kung Leng) 일대는 한때 은빛 억새 물결로 장관을 이루었지만, 지금은 곳곳이 패고 모래 먼지가 일고 있다. 산악 오토바이(dirt bike) 타이어 자국들이 깊게 패면서 토양을 훼손해 산사태의 위험도 높아졌다.

 

까이쿵랭은 오래전부터 산악 오토바이로 인한 환경 파괴 문제를 겪고 있었지만, 지난해 코비드19 팬데믹이 시작된 이후 바이커와 등산객이 모두 급증했다. 컨트리파크 및 특별 구역 규례에 따라, 산악오토바이를 포함한 모든 차량은 허가 없이 컨트리파크에 진입할 수 없다. 위반 시, 최고 2천 홍콩달러와 3개월 징역형에 처해진다.

 

환경단체 더 그린어스(The Green Earth)의 비비안 챙(Vivien Cheng) 대외협력 책임자는 “11월 중순부터 매주 주말마다 산악오토바이를 포착한다. 이들 대부분 번호판도 없는 미등록 차량인데다 운전자 대부분이 불법인지 모른 채 이곳에서 바이킹을 즐기고 있다”고 말했다.

 

농수산보존국(AFCD)은 정기적으로 모든 컨트리파크를 순찰하고 있으며 2018년에 7건, 2019년에 18건, 작년에 4건의 벌금 딱지를 발행했고 14건이 현재 조사 단계다. 위반자에게는 300~600 홍콩달러의 벌금이 부과되었다. 비비안 챙 책임자는 “지금까지 부과된 벌금이 낮았다. 최고 벌금액을 부과해야만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등산객이 늘면서 산불로 인한 피해도 늘고 있다. 2016년부터 연 평균 2,3회 산불이 일어났으며 지난 5년 동안 911헥타르가 산불에 훼손되었다. 지난해에만 축구장 약 170개에 해당하는 344헥타르가 훼손되었다. 산불로 인한 토양 손실이 식물이 다시 뿌리를 내리기 어렵게 만든다. AFCD는 “산불로 인하여 복원 작업이 더디고 식물이 토양이 충분한 수분을 제공하지 못해 산사태와 산불의 위험이 더 커지는 악순환을 겪고 있다”고 전했다.

 

하이킹 블로그 팔로미(FolloMe)를 운영하는 애드먼드 야우(Admond Yau)는 산악오토바이크는 일반 등산객들의 안전에도 위협이 된다고 지적했다. 바이킹으로 등산로가 엉망이 되고 미끄러워지면서 등산객의 부상 위험이 커졌다. 게다가 바이커들이 무분별하게 새로운 길을 내면서 비숙련 등산객이 이들이 만든 잘못된 길을 따라가다 길을 잃을 수도 있다고 우려를 제기했다. 에드먼드 야우는 “오토바이에 번호판도 없고 바이커들이 헷멧을 쓰고 있기 때문에 이들을 발견해도 적절한 신고를 할 수가 없다. AFCD는 순찰을 강화하고 바이커들이 입산하기 전에 저지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농수산보존국은 입산 규칙 안내판을 설치하고 불법 산악오토바이를 막기 위해 다른 법 집행 기관과 협력할 뿐 아니라 순찰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산불 시즌에는 24시간 대응반이 배치하고 불길이 번지지 못하게 하는 방화대를 설치할 것이라고 말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9.png (File Size:651.0KB/Download:1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176 홍콩 미중 무역전쟁 격화로 부동산 거래량 큰폭 감소 file 위클리홍콩 19.05.28.
1175 홍콩 웨스턴 하버 터널 6월부터 통행료 인상…최대 8% 1997년 개통 이후 18번째 요금 인상 file 위클리홍콩 19.06.04.
1174 홍콩 정부, 스마트업과 협력해 첨단 기술 공공 서비스 향상, 스마트 랩 개회식에서 로봇 택배, 나무 움직임 센서 등 선보여… file 위클리홍콩 19.06.04.
1173 홍콩 유치원 교사 주당 70시간 근무, 인력 부족 문제 직면 우려 행정 업무 증가로 2년 전보다 20시간 늘어나 file 위클리홍콩 19.06.04.
1172 홍콩 IMD, 홍콩, 세계에서 가장 국가경쟁력 있는 국가 2위 유지 file 위클리홍콩 19.06.04.
1171 홍콩 하버프론트 산책로와 함께 친환경 보행자 육교 프로젝트 승인돼 갤러리·전망대 등 문화 공간 있는 인도교 조성 예정 file 위클리홍콩 19.06.04.
1170 홍콩 미중 무역전쟁 여파로 홍콩 소매 판매 및 관광객 수 감소 국경 간 이동 쉬워져 숙박비가 싼 인근 도시에 머물러… file 위클리홍콩 19.06.04.
1169 홍콩 골드 사기 피해 중국인 신고자, 조직 폭력배 13명에게 폭행 당해 피해자 3년 간 약 USD 2억 상당 피해 주장 file 위클리홍콩 19.06.04.
1168 홍콩 공공 아파트에도 베란다, 다용도실 생겨…변모하는 공공 아파트 도시 소음 차단을 위한 정부의 해결방안 file 위클리홍콩 19.06.04.
1167 홍콩 의료 사보험 가입자 10명 중 4명, 여전히 공립 병원 선호, 의료 사보험에 대한 신뢰 부족 시사… 개선 촉구 file 위클리홍콩 19.06.04.
1166 홍콩 주택 담보 대출 월 소득 70% 차지… 감당 안 되는 부동산 가격, 부동산 붐이던 1997년 수준 넘어서 file 위클리홍콩 19.06.11.
1165 홍콩 1월 ~ 5월 부동산 거래규모, 22년래 최고 수준.. 그러나 미중 무역전쟁 장기화로 하반기에는 둔화 전망 file 위클리홍콩 19.06.11.
1164 홍콩 미중 무역전쟁에 폐지 가격 하락… 저소득층 생계 위협, 12월 대비 쓰레기 수출 가격 45% 하락해 file 위클리홍콩 19.06.11.
1163 홍콩 홍수 피해로 빅 웨이브 베이 해변 임시 폐쇄, 자연 강 관활 부서 없어 피해 복구 더뎌져 file 위클리홍콩 19.06.11.
1162 홍콩 홍콩, 세계 IPO 시장에서 뉴욕와 나스닥에 밀려 3위 차지 file 위클리홍콩 19.06.11.
1161 홍콩 HK택시, 고급 택시 운행 입찰 계획 있어… HK$ 1억 투자 의향 file 위클리홍콩 19.06.11.
1160 홍콩 단오절 맞아 곳곳에서 용선 경기…즐거움과 열기로 가득 차 file 위클리홍콩 19.06.11.
1159 홍콩 세금 감면과 노후 저축,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다... 새로운 연금 보험 제도 소비자에게 큰 인기 얻어 file 위클리홍콩 19.06.11.
1158 홍콩 홍콩 전통 차 file 위클리홍콩 19.06.11.
1157 홍콩 홍콩으로 돌아온 역 이민자들 다시 캐나다로 발길 돌려, 홍콩 정치적 불안·개인적 사유·인구 고령화… 여러 주장 엇갈려 file 위클리홍콩 19.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