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마약배달).jpg

불법 마약 밀수입 및 길거리 유통 가격, 밀수입 가격이 내려간 것은 그만큼 범죄조직들의 밀수입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진단이다.

 

시드니 범죄조직, 배달 총책 고용해 불법 마약시장 확대

 

조직범죄들이 코카인, 대마초, 불법 환각제인 속칭 ‘아이스’(ice) 등 다양한 불법마약을 시드니 전역의 수백여 고객(?)들 집까지 직접 배달해주는 택배 서비스를 통해 2주 만에 15만 달러 이상의 이윤을 남기고 있다고 지난 일요일(14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가 보도했다.

동 신문을 발행하는 페어팩스 미디어(Fairfax Media)는 최근 시드니 남서부 지역에서부터 시드니 도심에 이르기까지 마약사용자 자택으로 코카인을 공급한 혐의로 기소된 한 남성이 법정에 선 다음날, 자체 취재를 통해 시드니 지역에만 이미 수십 개의 마약 배달 조직이 활동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수사 당국의 한 고위 관계자에 따르면 마약 배달은 시드니 교외 범죄 조직의 자생분이며 다른 범죄 행위 및 그들의 화려한 암흑세계 생활의 주요 자금줄이 되고 있다. 이 때문에 마약 배달 영역권 다툼은 시드니 지역에서 종종 차량 총격전까지 야기하고 있다.

페어팩스 미디어는 수사 당국이 지난 수년 간 길포드(Guildford) 지역을 활동 기반으로 조직원당 수백만 달러의 수익을 챙긴 한 범죄조직에 대한 정보를 입수, 수사 중임을 확인했다.

이 범죄조직은 2주 단위로 해외에서 고품질의 코카인을 들여와 호주 내에서 다른 물질과 혼합, 희석된 코카인을 다시 0.8그램짜리 상품으로 포장하여 최소 200달러의 가격으로 마약사용자들에게 판매했다.

이들은 1킬로그램의 코카인 밀수입 비용 20만~22만 달러를 지출하고도 2주 간격으로 순수익 15만 달러를 챙기는 것으로 드러났다.

경찰에 따르면 불법 마약 택배는 조제 및 포장 가능한 장소 섭외는 물론 그 과정 전반을 관리하는 ‘배달 총책’을 고용한 범죄조직에 의해 소규모 비즈니스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배달 총책은 이후 마약 구매자들의 거주지 부근에서 두세 명의 사람들을 고용하여 직접 배달을 시키고 있다.

이 과정에서 직접 배달을 맡은 이들은 경찰 수사망을 피하기 위해 렌트 차량을 이용하거나 체포될 것에 대비해 한 번에 20건 이상의 배달 마약을 소지하지 않는다.

경찰 정보원에 의하면 마약 판매를 위한 ‘택배’ 전략은 최근 코카인, 아이스, 대마초 등의 불법유통 시장에서 급부상했다. 정보원은 또 마약구입을 위해 한 장소에 여러 사용자가 몰려 시선을 끄는 것보다 택배 방식이 보다 더 신중한 방법이라고 말했다.

아시안 범죄조직들이 여전히 길거리 거래를 이어가고 있는 반면, 이 같은 ‘택배’ 방식은 중동계 조직들이 특히 선호하는 마약거래 방법이다.

불법 마약 사용자들이 구매를 위해 취하는 연락처는 하나의 휴대전화 번호이다. 이 번호는 대개 입소문을 타고 마약사용자들 사이에 은밀히 알려지며, 이 때문에 다른 범죄조직은 수백만 달러를 들여 이 번호를 사들이기도 한다.

거래된 마약유통 전화번호가 경찰 손에 넘어가거나 하는 경우 번호를 판매한 조직과 사들인 조직 사이에 오해가 생겨 총격전으로 비화된 사례도 있다.

NSW 범죄위원회(NSW Crime Commission)는 시드니 남서부 지역을 기반으로 광역 시드니 전역의 마약시장을 장악한 배달조직에 대한 첩보를 입수했다고 밝혔다.

범죄위원회의 한 관계자는 “마약 배달 통제권을 갖는다는 것은 엄청난 이윤을 챙길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 수익은 마약 수입이나 배달 행위 자체를 방어하기 위한 무기 구입 등 다른 범죄행위의 기반이 되기도 한다”고 말했다.

지난 18개월간 지나친 밀수입으로 코카인과 아이스 구입 가격이 폭락(본지 1177호 보도)한 가운데서도 불법 유통을 벌이는 범죄조직들은 지속적으로 수익을 불려왔다.

페어팩스 미디어 조사에 따르면, 코카인의 경우 3년 전만 해도 1킬로그램 밀수입 가격은 28만 달러였으나 18개월 전부터 하락하기 시작해 현재는 20만 달러, 심지어 18만 달러에 들여오기도 한다.

‘아이스’의 원가 역시 지난 18개월간 꾸준한 하락세를 보여 종전 22만 달러에서 9만5천 달러로, 엑스터시의 경우 6만5천 달러에서 3만7천 달러까지 떨어졌다.

그러나 최근 마약 사용자를 대상으로 국립 약물 및 알콜연구센터(National Drug and Alcohol Research Centre)가 실시한 조사 결과 이 기간 실제 길거리 마약시판 가격은 차이가 없었다는 응답임을 감안하면, 마약 밀수입 가격 하락은 범죄조직의 배만 불려준 꼴이다.

수사당국은 이 마약 밀수입가가 큰 폭으로 하락한 것은, 그만큼 호주 내 범죄조직이 성공적으로 불법 마약 밀수에 성공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강세영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마약배달).jpg (File Size:41.1KB/Download:6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201 호주 3D 횡단보도, 길 건널 때 더욱 안전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19.09.05.
2200 호주 NSW•QLD 산불사태 악화…주택 20여채 전소 톱뉴스 19.09.10.
2199 호주 녹색당, 호주내 홍콩 학생 영주 대책 촉구 톱뉴스 19.09.10.
2198 호주 호주 이민자 지방분산정책, 영주 이민자 수 감소 초래 톱뉴스 19.09.10.
2197 호주 호주 44년만의 첫 경상흑자 기록…2분기에 $59억 흑자 톱뉴스 19.09.10.
2196 호주 시드니 노숙자 증가…비상 숙소 ‘포화’ 톱뉴스 19.09.10.
2195 호주 호주, 대북제재 감시용 해상 초계기 일본 근해 배치 톱뉴스 19.09.10.
2194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봄 시즌 9월 첫 주말 경매, 81.9%의 높은 낙찰률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19.09.12.
2193 호주 비싸게 팔리는 퀸즐랜드 휴양지 아파트들 file 호주한국신문 19.09.12.
2192 호주 8월 시드니-멜번 주택 가격 상승, 부동산 시장 성장 이끌어 file 호주한국신문 19.09.12.
2191 호주 늘어난 중국 유학생들, 호주 ‘정치 요람’을 지배하고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9.12.
2190 호주 지난 달 자동차 판매 순위... ‘Hyundai i30’, 2813대로 네 번째 file 호주한국신문 19.09.12.
2189 호주 아시아 ‘큰손’들 경기 침체로 울상 짓는 ‘The Star’ 카지노 file 호주한국신문 19.09.12.
2188 호주 ‘한 주’의 시작... 일요일? 아니면 월요일을 기준으로 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19.09.12.
2187 호주 “정치 비용 지나치다”... 일부 의원들, 선거비 수백 만 달러 지출 file 호주한국신문 19.09.12.
2186 호주 NSW 베레지클리안 정부, “시드니 야간 경제 살려야...” file 호주한국신문 19.09.12.
2185 호주 연방정부, 기술이민대상 직업군 재분류…내년 3월 갱신 예정 톱뉴스 19.09.17.
2184 호주 시드니 시내 일대 유흥업소 심야영업제한조치 폐지될 듯 톱뉴스 19.09.17.
2183 호주 복지수당 수급자 약물 테스트 법안 재상정 ‘가시화’ 톱뉴스 19.09.17.
2182 호주 호주의 첫 중국계 여성 연방의원 글래디스 리우 ‘구설수’ 확산 톱뉴스 19.09.17.
2181 호주 NSW 낙태 허용법 결사 반대 의원 3인 ‘당권 표결 발의’ 계획 백지화 톱뉴스 19.09.17.
2180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봄 시즌, 주택시장 활기... 매물은 크게 부족 file 호주한국신문 19.09.19.
2179 호주 NSW 주 ‘바이런 베이’, 2014년 이래 집값 117% ‘껑충’ file 호주한국신문 19.09.19.
2178 호주 Spring festival & events in Bluemountain 2019 file 호주한국신문 19.09.19.
2177 호주 “환자 10명 중 1명이 병원서 감염”... Hospitals make us sicker! file 호주한국신문 19.09.19.
2176 호주 시드니 주부들 ‘보톡스-명품’ 때문에 매춘에 나선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9.19.
2175 호주 전 세계 안전한 도시‘... 시드니는 5위, 멜번은 10위 차지 file 호주한국신문 19.09.19.
2174 호주 “지나친 ‘중국’ 논쟁, 호주 백호주의 사고 자극할 수도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9.19.
2173 호주 NSW 주 공립학교, 지난해 ‘정학’ 징계 학생 수 3만2천 명 file 호주한국신문 19.09.19.
2172 호주 태권도·사물놀이 등 한국 전통 공연에 '리틀 코리아' 분위기 '후끈' 톱뉴스 19.09.24.
2171 호주 홍경일 변호사, 가장 영향력 있는 아시아계 호주인 40인에 선정 톱뉴스 19.09.24.
2170 호주 시드니 다문화 지원팀 구성…의료 정보 제공 톱뉴스 19.09.24.
2169 호주 시드니서 '한글사랑 도서관' 10주년 후원 음악회 개최 톱뉴스 19.09.24.
2168 호주 호주한인총연합회, 차세대 한인들 정계진출 욕망 일깨워 톱뉴스 19.09.24.
2167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부족한 매물에 예비 구매자들, 끈질긴 입찰 경쟁 file 호주한국신문 19.09.26.
2166 호주 시드니 14개 ‘통계 구역’ 중 5개 지역, 2001년 이후 인구 50%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19.09.26.
2165 호주 호주 여행 중국인들, “휴가 및 주거용 부동산 구매 계획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9.26.
2164 호주 ‘Upsizing’ 원한다... 수요 많으나 공급은 크게 부족 file 호주한국신문 19.09.26.
2163 호주 현대자동차 호주 법인, ‘유트’ 차량으로 호주 시장 확대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19.09.26.
2162 호주 호주 로또 사상 최고 잭폿 터졌다! 1억5천 만 달러 돈벼락 file 호주한국신문 19.09.26.
2161 호주 8월 호주 실업률, 5.3%로 높아져... 12개월 만에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19.09.26.
2160 호주 연방 예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처음으로 ‘균형’ 인접 file 호주한국신문 19.09.26.
2159 호주 뉴질랜드 야생에서의 5개월, 그것이 40대 여성에게 준 것은... file 호주한국신문 19.09.26.
2158 호주 NSW 낙태 허용법 마침내 통과…119년만에 형사 처벌 제외 톱뉴스 19.10.01.
2157 호주 호주, 해외 유학 산업 ‘장악’…전 세계 유학생 10% 호주로 톱뉴스 19.10.01.
2156 호주 호주·한국 정상회담, 국방·방산·자원개발 협력 강화 합의 톱뉴스 19.10.01.
2155 호주 이민자 신원조회 강화법안 연방하원 통과 톱뉴스 19.10.01.
2154 호주 NSW주, 비상차량 통과 시속 위반 차량 과태료 인상 톱뉴스 19.10.01.
2153 호주 호주 등 전 세계 수백만 학생들 기후변화대응 촉구 톱뉴스 19.10.01.
2152 호주 트럼프-모리슨, 미·호 정상 13년만의 국빈만찬 톱뉴스 19.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