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0-1934279980_2xqfodbJ_9379910f3c87379

 

 

지난해 1,800건...피해액 3백만 달러

비대면 상거래 증가로 결제 송금 늘어

 

 

코로나19 사태로 비대면 접촉 상거래가 부쩍 늘어남에 따라 캐나다에서는 지난해 시중은행 간의 송금 서비스 ‘e-transfer’를 통해 돈을 주고받는 양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드러났다. 하지만 이와 함께 부친 돈이 중간에서 사기꾼 계좌로 흘러 들어가는 피해 사례도 크게 늘었다는 게 관련 사법당국의 보고이다.

 

CBC가 은행 간 환거래 관장기관 인터랙(Interac)을 통해 입수한 통계자료를 보면 코로나19 사태가 본격화된 지난해 4월 이후 e-transfer를 통해 돈이 오간 건수가 크게 늘어, 12월 한 달 동안만 이 서비스 이용 횟수가 총 7,700만 건에 달했다.

 

이 송금 서비스는 서로 다른 은행의 계좌 간 송금을 온라인 뱅킹과 연계해 용이하게 해주는 기능으로 대부분의 은행들이 ‘저렴하고, 간편하며, 안전한 송금 방식’으로 홍보함에 따라 지난 몇 년간 이용자가 크게 늘어났다.

 

하지만 이 같은 온라인 송금 서비스의 인기몰이는 온라인 사기의 온상을 제공하는 격이기도 하다는 게 캐나다 반사기범죄 센터(Canadian Anti-Fraud Centre)의 설명이다. 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e-transfer와 관련된 사기가 총 1,800건 발생, 그 피해액이 300만 달러에 달했다. 이는 2019년 집계된 피해액 40만 달러보다 무려 7배 이상 많은 것으로 코로나 사태가 부른 또 하나의 현상으로 풀이된다.

 

센터 관계자는 이처럼 대폭 늘어난 피해 사례에 대해 “예전 같으면 집 밖으로 나가 쇼핑했을 사람들이 코로나 사태로 대거 비대면으로 물건과 서비스를 주문하고 그 결제 대금을 은행 간 송금 서비스로 보냄으로써 잠재적인 사기 대상의 절대적 수를 키웠다”고 설명했다.

 

문제가 되고 있는 e-transfer 서비스는 이용 방법이 간편한 만큼 사기 피해에 더욱 취약하다는 게 이들 전문가의 견해다. 송금인은 우선 온라인 뱅킹을 통해 돈 수취인을 그의 이메일이나 전화번호와 함께 등록한 뒤 자신만의 질문과 답을 설정한다. 송금인은 이후 다른 경로를 통해 그 답을 수취인에게 알려둔다.

 

송금인의 거래은행은 이렇게 등록된 이메일이나 전화 문자 메시지를 통해 송금인이 설정한 질문을 수취인에게 보내고 수취인은 그 정답을 댐으로써 그 돈을 자신이 지정하는 은행 계좌에 이체시킬 수 있게 된다.

 

문제는 송금인이 설정한 질문이 일반인도 답을 추측할 수 있는 쉬운 질문이거나 이메일 등을 통해 수취인에게 그 답을 알리는 과정에서 제삼자에게 노출됐을 경우이다. 사기꾼은 수취인 이메일 등을 해킹해 들어가 송금인 거래은행이 보낸 질문에 답한 뒤 자신의 계좌로 이체함으로써 범죄를 완료한다.

 

지금까지 드러난 피해 사례를 보면 대체로 은행은 책임을 이용자에게 전가하는 경향을 보여 왔다. 개인 이메일을 해킹당하지 않게 지키는 일은 은행의 책임 소관이 아니라는 주장이다. 한 은행 고객 상담원은 이런 피해를 제기하는 고객에게 ‘ATM에서 현금을 찾아 길에 나서다 소매치기를 당하는 것과 같다’면서 은행의 책임을 회피한 사례도 있다.

 

하지만 소비자 보호 단체들은 대부분의 은행이 e-transfer 홍보에 있어 ‘안전한 송금 서비스’ 등의 문구를 이용해 소비자를 현혹함으로써 이용자들을 무방비 상태에 빠트린 점이 명백한 책임이라고 주장한다. 일부 은행은 이 주장을 받아들여 피해 금액을 배상하기도 하지만 이를 위해선 피해자의 적극적인 문제 제기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전문가들은 이 문제의 근본 해결을 위해 은행이 수취인 확인 방식을 더 안전하게 바꿔야 한다고 강조한다. 소위 이중 확인 시스템이라고 불리는 이 방식은 보통 질문의 답과 함께 은행이 다른 경로로 발송하는 핀 번호(PIN)을 추가로 대도록 함으로써 수취인 확인의 정확도를 높이는 방법이다.

 

CBC 취재에 따르면 미국에서는 15년 전부터 이 이중방식이 의무화됐고, 유럽연합도 2019년부터 모든 금융기관이 이 방식의 도입을 강제했다. CBC는 캐나다 은행연합(Canadian Bankers Association)에 이메일을 보내 캐나다에서는 왜 이것이 의무화되지 않는지에 관해 물었으나 만족할만한 답변을 받지 못했다고 밝혔다.

 

은행연합 대변인은 다만 답신에서 은행이 금융거래 안전을 위해 많은 경비를 쓰고 있다면서 “거래의 안전을 지키는 것은 이용자 고객의 공동 책임이기에 그 책임을 다해줄 것을 당부한다”고 밝힌 것으로 이 방송은 전했다.

 

밴쿠버 중앙일보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317 캐나다 BC주민 36%, 단기렌트가 장기렌트비 인상 부추긴다 밴쿠버중앙일.. 18.04.21.
6316 캐나다 치솟는 기름값 과연 BC주 몽니 때문인가 밴쿠버중앙일.. 18.04.21.
6315 캐나다 '먹방, MUKBANG' 세계 공용어, 신 한류로 등장 밴쿠버중앙일.. 18.04.21.
6314 캐나다 퀘벡 아동 64명당 1명꼴로 Autisme 자폐 Hancatimes 18.04.21.
6313 캐나다 차에 탄 아이는 Carpool 대상에서 제외? Hancatimes 18.04.21.
6312 캐나다 Jacques-Cartier다리 보행로 다시 열려 file Hancatimes 18.04.21.
6311 캐나다 CBC/Radio-Canada에 여성사장 취임 Hancatimes 18.04.21.
6310 캐나다 퀘벡 주 신규 웰페어 시스템에 수급자들 반발 커져 Hancatimes 18.04.21.
6309 캐나다 안락사 판결로 같은 날 같은 시 죽음 맞이한 노부부 Hancatimes 18.04.21.
6308 캐나다 퀘벡의 교육대학 지원율 급감 file Hancatimes 18.04.21.
6307 캐나다 퀘벡의 학부모들, 아이들이 더 많은 시간 뛰어 놀기 원해 Hancatimes 18.04.21.
6306 캐나다 McGill, 학생들의 요구에 교수들 동참하고 나서 file Hancatimes 18.04.21.
6305 캐나다 30년동안 코마상태에 빠져 있던 경찰관 끝내 숨져 Hancatimes 18.04.21.
6304 캐나다 아도니스 딸기 관련제품 리콜 Hancatimes 18.04.21.
6303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불법총기 제작업체 적발 Hancatimes 18.04.21.
6302 캐나다 도로표지판에 고라니 사체 내걸려 Hancatimes 18.04.21.
6301 캐나다 학생 성추행 혐의로 체포된 여교사, 추가혐의 드러나 Hancatimes 18.04.21.
6300 캐나다 비둘기떼에 총을 쏜 커플 적발 Hancatimes 18.04.21.
6299 캐나다 당첨복권 빼돌린 한인가족 유죄판결 file Hancatimes 18.04.21.
6298 캐나다 운전자의 대마초흡연 탐지장비 준비 미비 Hancatimes 18.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