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모식 주변 정경

 

22일 크라이스트처치 지진 발생 10주년을 맞아 전국 공공기관에 조기가 게양된 가운데 크라이스트처치에서 ‘국가 추도식(national memorial service)’이 열렸다.

 

에이본(Avon) 강변에 조성된 ‘국립 캔터베리 지진 추모지(Oi Manawa Canterbury Earthquake National Memorial)’의 북쪽 강변에서 열린 이날 행사에는 데임 팻시 레디(Dame Patsy Reddy) 총독과 재신다 아던 총리 등 정부 요인이 대거 참석했다.

 

또한 이상진 뉴질랜드 주재 한국대사를 포함해 당시 희생자가 발생했던 국가들의 외교사절들과 희생자 유가족들을 포함한 수 천명의 시민들도 함께 자리한 가운데 오후 12시 30분부터 공식 행사가 시작됐다.

 

뉴질랜드 군악대가 '어메이징 그레이스' 등을 연주하면서 시작된 행사는 마오리 전통 의식이 진행된 뒤 리안 댈지엘(Lianne Dalziel) 크라이스트처치 시장과 ‘지진가족재단(Quake Families Trust)’의 마안 알카이시(Maan Alkaisi) 박사의 환영 인사가 이어졌다.

 

이후 참가자들이 모두 기립해 종소리와 함께 당시 지진이 발생했던 시간인 12시 51분에 맞춰 희생자 이름들이 새겨진 강 건너의 추모벽(Memorial Wall)을 바라보는 1분간의 묵념 시간을 가졌다.

 

이어 소방관과 경찰관, 학생과 구급대원 등 각 기관을 대표하는 이들이 등단해 당시 어학연수 중 유명을 달리했던 한국 유학생인 고 유길환(당시24세), 유나온(당시 21세) 씨를 비롯한 희생자 185명의 이름을 하나씩 호명했다.

 

연설하는 아던 총리 

 

추모시 낭독에 이어 군악대 여성대원이 추모곡인 ‘호키호키 토누 마이(Hokihoki Tonu Mai, Return to me)’를 불렀으며, 이어 팻시 레디 총독이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추모사를 대독했다.

 

또한 아던 총리가 등단해 희생자들을 추모하고 유족을 위로했다. 아던 총리는 많은 이들에게는 10년 전 지진이 여전히 어제 일처럼 느껴질 것이라면서 부상자들을 포함해 지진이라는 큰 재난을 당해 지금까지도 고통받는 시민들에게 위로와 격려의 말을 전했다.

 

아던 총리는 많은 이들에게 복잡하고 다양한 영향을 끼친 지진이 당시 어린이와 청소년들에게도 큰 영향을 주었지만 이들은 새로운 유산을 만들 세대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당시 구조와 이후 재건을 위해 노력 중인 시청을 포함한 각 기관의 직원들과 함께 이번 행사에 협력해준 외교사절들과 지진가족재단을 비롯한 관계자들에게도 감사를 전했다.

 

약 45분간에 걸쳐 진행된 본 행사가 끝난 후에는 백파이프 연주가 울리는 가운데 레디 총독과 아던 총리가 선두에 서고 정부 및 시청 인사들과 외교사절, 유가족 대표들이 그 뒤 따르는 긴 행렬이 다리를 건너 추모벽으로 향했다.

 

추모곡을 부르는 군악대원

 

먼저 총독과 총리가 추모벽에 화환을 내려놓은 데 이어 외교사절과 유족 대표들도 화환을 놓았다. 이상진 대사는 필 태픈든(Phli Tappenden) 크라이스트처치 한국 명예영사와 함께 고 유길환 유나온 씨의 이름이 새겨진 벽 앞에 화환을 놓고 이들을 추모했다.

 

주요 인사들의 헌화에 이어 경찰과 소방관, 군인, 적십자, 세인트 존 앰뷸런스 등 비상구호기관들의 헌화가 이어진 뒤 유가족들을 비롯한 일반 시민들의 헌화 행렬이 뒤를 따라 추모벽으로 향했다.

 

이날 행사 참가자들은 다리와 강변에서 강물로 꽃을 던지면서 희생자들을 위로했다. 이와 같은 ‘강물 헌화 의식(River of flowers)’은 이곳 외에도 크라이스트처치 일대의 10곳에서 동시에 이뤄졌다.

 

이날 추도식 전 장면은 온라인으로 중계되 가운데 현장에는 대형 스크린이 설치되었다. 주변을 지나가는 투암(Tuam) 스트리트와 캠브리지(Cambridge) 테라스 사이의 몬트리올(Montreal) 스트리트 구간은 오전 9시부터 행사가 끝날 때까지 전면 차단됐다.

 

추모벽으로 향하는 이상진 한국대사

 

행사장에는 이른 시간부터 저마다 손에 꽃을 든 시민들이 삼삼오오 찾기 시작해 정오 경에는 이미 행사장이 만원을 이뤘고 일부는 자녀들과 함께 찾아온 모습들이었다. 군악대는 기다리는 이들을 위해 잔잔한 음악으로 추모 분위기를 돋우었다.

 

한편 당시 28명으로 가장 많은 외국인 희생자를 냈던 일본에서도 추모행사가 열린 가운데, 특히 12명이나 한꺼번에 희생됐던 일본 북부지방인 도야마(Toyama)시에서는 따로 추모 행사를 개최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011년 2월 22일 오후 12시 51분 규모 6.3의 지진이 시내 중심부에서 남동쪽으로 10km 떨어진 리틀턴(Lyttelton) 인근의 지하 5km를 진원지로 발생해 뉴질랜드인들은 물론 87명의 외국인을 포함한 15개 국적 185명이 숨졌다.

 

특히 어학원과 TV 방송국이 있던 4층 건물인 C-TV 빌딩이 엘리베이터 타워만 남기고 완전히 붕괴되면서 한국 유학생 오누이를 비롯해 지진 재단의 알카이시 박사의 부인을 비롯한 115명이 한곳에서 사망했다. 

  • |
  1. 33.jpg (File Size:152.6KB/Download:2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051 호주 NSW 주 정부의 카운슬 강제 합병, 첫 타격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6050 호주 “호주의 미래가 위험하다”... 호주 교사들 ‘경고’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6049 호주 ‘메리톤’ 사 트리거보프 대표, 호주 ‘최고 부자’ 등극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6048 호주 호주 인구시계... 중간 연령 37세로 집계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6047 호주 NSW 베어드 정부 추진 정책에 시민들 격렬 항의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6046 호주 Australia’s strangest road signs...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6045 호주 안젤로 치레카스, 시장 상징하는 ‘로브’ 벗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44 호주 시드니 지역 폭풍우 불구, 경매 현장 구매자들 ‘북적’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43 호주 부동산 구매시 인지세 관련 비용 25% 추가 예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42 호주 NSW 주 정부, ‘세수’ 유지 위해 도박문제 ‘쉬쉬’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41 호주 “호주 대학들, 교내 성범죄 처리 원활치 않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40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1.75% 유지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39 호주 조지 펠 추기경, 바티칸 재정장관 사임 밝힐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38 호주 비판 직면 ‘곤스키’ 교육개혁, 향후 방향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37 호주 주식시장 회복... 상위 부자 자산, 빠르게 늘어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36 호주 시드니 폭풍, 콜라로이-나라빈 지역 ‘심각한 피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35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 유권자 조사, 노동당 지지도 앞서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34 호주 Australia’s strangest road & other signs-2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33 호주 한정된 공급, 주택구입자-투자자 가격경쟁 가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32 호주 뇌졸중 발병 요인, 국가 소득 수준 따라 달라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31 호주 최근 개통 베넬롱 브릿지, 승용차 불법 운행 ‘문제’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30 호주 NSW 주 정부, 시드니 지역 추가 버스노선 확정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9 호주 정규 과정서 제2외국어 선택 학생, 크게 줄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8 호주 빌 쇼튼 대표, “투표로 복지 축소 막아야...”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7 호주 “의료복지 예산 삭감, 그 피해는 우리들 모두...”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6 호주 “호주 정부, 지난 20년 넘게 유엔 아동협약 위반”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5 호주 “다문화 사회에서 반차별법의 축소나 변경은 안 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4 호주 성별에 따른 임금 격차 ‘상당’... 평균 38% 차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3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양당 대표의 선거 캠페인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2 호주 대화의 기술... 직장 내에서 피해야 할 말들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1 호주 모스만의 낡은 주택, 300만 달러도 싸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20 호주 호주인 골다공증 심각, 3분에 한 명 골절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9 호주 “불명예 전역 간부후보생 자살은 교육대 가혹행위 탓”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8 호주 ATO, 업무용 경비 세금환급 부문 집중 조사 방침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7 호주 이너 웨스트 카운슬 행정관, ‘조기선거 가능’ 언급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6 호주 광역 시드니 주택부족 심화... 공급 한계 이른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5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 실업률 영향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4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 양당 주택정책이 판세 가를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3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 양당의 시드니 서부 관련 공약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2 호주 NSW Budget- 기반시설 투자 집중... 취약계층 지원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1 호주 로얄 보타닉 가든(Royal Botanic Garden) 개장 200년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0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브렉시트 불안감’ 없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9 호주 왕립위원회, “군 내 성범죄는 국가적 망신...”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8 호주 시드니 동부 역사적 건축물, 매각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7 호주 리드 지역구 후보들, 연방 정부 교육정책 토론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6 호주 시드니 남서부 워윅팜 기차역서 승객 사고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5 호주 “공립 교육 확대를 위한 예산-변화 필요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4 호주 호주인 스마트폰 의존, 갈수록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3 호주 호주 가정 음식 폐기물, 연간 80억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2 호주 대중교통 시설의 갖가지 세균에 대한 불편한 진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