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6회 아메리카스컵 요트대회가 1, 2차 레이스부터 뉴질랜드와 이탈리아가 팽팽한 접전을 벌인 끝에 나란히 1승씩을 나눠가지며 일주일 동안의 치열한 경쟁에 돌입했다.

 

오클랜드 하우라키(Hauraki)만에서 3월 10일(수) 오후 4시 15분 시작된 첫 번째 레이스에서는, 피터 벌링(Peter Burling)이 이끄는 ‘에미레이츠 팀 뉴질랜드(Emirates Team NZ)’가 ‘루나로사 프라다 피렐리 팀(Luna Rossa Prada Pirelli Team)’을 31초 차이로 따돌리고 1승을 먼저 올렸다.

 

10~12노트 바람 속에 북단 코스에서 시작된 경기에서 뉴질랜드는 스타트에서 앞서며 순조롭게 레이스를 시작한 뒤 1번 게이트에서 루나로사를 14초 차이로 따돌렸다.

 

이후 2번 게이트에서는 23초까지 차이를 늘린 뉴질랜드는 루나로사의 만만치 않은 추격 속에서 끝까지 역전을 허용하지 않고 결국 31초 앞서서 결승선을 먼저 통과했다.

 

그러나 이어 5시 15분부터 열린 2번째 레이스에서는 스타트에서 앞섰던 루나로사가 몇 차례 실수가 있었던 뉴질랜드의 치열했던 막판 추격전을 물리치고 7초라는 간발의 차이로 결승선을 통과하면서 시리즈 승부를 원점으로 되돌려놨다.

 

이날 경기에서는 스타트에서 중요한 잇점을 가진 팀이 이긴다고 말했던 아메리카스컵의 영웅이었던 딘 바커(Dean Barker)의 믿음이 다시 한 번 증명되는 경기가 되기도 했다.

 

경기 후 벌링은 작년 말 크리스마스컵 경기에 참가했던 이후 긴 공백기로 다소 헝클어진 면이 있었지만 이날 경기 결과에 만족한다고 차분한 어조로 인터뷰에 응했다.

 

한편 2차전을 승리로 이끈 루나로사의 프란시스코 브루니(Francesco Bruni)는 1차전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었지만 실망하지 않았으며 더 좋은 스타트를 할 수 있다고 믿었다고 말했다.

 

170년 역사를 가진 이 대회에서는 총 13차례의 레이스 중 7차례를 먼저 이기는 팀이 우승컵을 차지한다.

 

이날 경기장 주변에는 오클랜드에 내려진 코로나19 경보 2단계로 인해 아메리카스컵 빌리지가 폐쇄됐지만 주변과 바다에는 전국에서 모인 많은 관중들이 경기를 지켜봤다.

 

또한 오클랜드와 크라이스트처치 시내는 물론 전국의 국민들도 TV로 응원했으며 스포츠바나 레스토랑에 모여 대형 화면으로 경기를 지켜보는 이들도 많았다.

 

3,4차 레이스는 12일(금) 진행되고 이후 13일부터 17일(수)까지 하루 2차례씩 레이스가 펼쳐지는데, 한 팀이 먼저 7승에 도달하면 컵의 주인이 결정되면서 남은 경기는 치러지지 않는다.

  • |
  1. 33.jpg (File Size:87.4KB/Download:1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051 호주 NSW 주 정부의 카운슬 강제 합병, 첫 타격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6050 호주 “호주의 미래가 위험하다”... 호주 교사들 ‘경고’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6049 호주 ‘메리톤’ 사 트리거보프 대표, 호주 ‘최고 부자’ 등극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6048 호주 호주 인구시계... 중간 연령 37세로 집계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6047 호주 NSW 베어드 정부 추진 정책에 시민들 격렬 항의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6046 호주 Australia’s strangest road signs...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6045 호주 안젤로 치레카스, 시장 상징하는 ‘로브’ 벗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44 호주 시드니 지역 폭풍우 불구, 경매 현장 구매자들 ‘북적’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43 호주 부동산 구매시 인지세 관련 비용 25% 추가 예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42 호주 NSW 주 정부, ‘세수’ 유지 위해 도박문제 ‘쉬쉬’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41 호주 “호주 대학들, 교내 성범죄 처리 원활치 않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40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1.75% 유지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39 호주 조지 펠 추기경, 바티칸 재정장관 사임 밝힐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38 호주 비판 직면 ‘곤스키’ 교육개혁, 향후 방향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37 호주 주식시장 회복... 상위 부자 자산, 빠르게 늘어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36 호주 시드니 폭풍, 콜라로이-나라빈 지역 ‘심각한 피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35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 유권자 조사, 노동당 지지도 앞서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34 호주 Australia’s strangest road & other signs-2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33 호주 한정된 공급, 주택구입자-투자자 가격경쟁 가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32 호주 뇌졸중 발병 요인, 국가 소득 수준 따라 달라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31 호주 최근 개통 베넬롱 브릿지, 승용차 불법 운행 ‘문제’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30 호주 NSW 주 정부, 시드니 지역 추가 버스노선 확정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9 호주 정규 과정서 제2외국어 선택 학생, 크게 줄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8 호주 빌 쇼튼 대표, “투표로 복지 축소 막아야...”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7 호주 “의료복지 예산 삭감, 그 피해는 우리들 모두...”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6 호주 “호주 정부, 지난 20년 넘게 유엔 아동협약 위반”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5 호주 “다문화 사회에서 반차별법의 축소나 변경은 안 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4 호주 성별에 따른 임금 격차 ‘상당’... 평균 38% 차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3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양당 대표의 선거 캠페인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2 호주 대화의 기술... 직장 내에서 피해야 할 말들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1 호주 모스만의 낡은 주택, 300만 달러도 싸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20 호주 호주인 골다공증 심각, 3분에 한 명 골절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9 호주 “불명예 전역 간부후보생 자살은 교육대 가혹행위 탓”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8 호주 ATO, 업무용 경비 세금환급 부문 집중 조사 방침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7 호주 이너 웨스트 카운슬 행정관, ‘조기선거 가능’ 언급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6 호주 광역 시드니 주택부족 심화... 공급 한계 이른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5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 실업률 영향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4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 양당 주택정책이 판세 가를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3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 양당의 시드니 서부 관련 공약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2 호주 NSW Budget- 기반시설 투자 집중... 취약계층 지원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1 호주 로얄 보타닉 가든(Royal Botanic Garden) 개장 200년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0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브렉시트 불안감’ 없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9 호주 왕립위원회, “군 내 성범죄는 국가적 망신...”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8 호주 시드니 동부 역사적 건축물, 매각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7 호주 리드 지역구 후보들, 연방 정부 교육정책 토론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6 호주 시드니 남서부 워윅팜 기차역서 승객 사고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5 호주 “공립 교육 확대를 위한 예산-변화 필요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4 호주 호주인 스마트폰 의존, 갈수록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3 호주 호주 가정 음식 폐기물, 연간 80억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2 호주 대중교통 시설의 갖가지 세균에 대한 불편한 진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