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애틀랜타총영사관, 피해 전후 대처 방법 제공
 


(올랜도=코리아위클리) 박윤숙 기자 = 주애틀랜타총영사관(총영사 김영준)이 최근 한인을 포함한 아시안 이민자들을 대상으로 한 증오범죄나 인종차별 관련 유의사항을 전했다.

총영사관은 관할지역 내 치안관련 기관 등을 지속적으로 접촉하여 한인들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며, 동포들 역시 조심할 것을 당부했다.

다음은 총영사관이 제공한 인종차별 혐오범죄 관련 유의사항이다.

우선 신체에 대한 공격, 욕설, 폭력 등의 범죄와 관련된 피해를 입은 경우에는 즉시 긴급전화 911로 연락하여 경찰의 도움을 받는다. 이 과정에서 만일 영어 구사가 어려운 경우, 911 상담원에게 한국어 통역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긴급하지 않은 상황의 경우에는 가까운 관할지역 경찰서에 신고한다.

신고방법 및 경찰관서 연락처 확인 등 도움이 필요한 경우에는 총영사관 긴급전화(404-295-2807)를 이용할 수 있다. 총영사관은 동포들에게 △현지 문화 준수 △과잉 대응 자제 △범행 현장 신속히 탈출 △인적 드문 곳 야간 외출을 자제하는 등 범죄피해에 노출되지 않도록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미국에서는 지난해 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이후 아시아계 미국인에 대한 증오범죄와 인종차별 행위가 부쩍 늘어나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미국 백악관은 5일 아시아계 미국인을 겨냥한 증오범죄가 늘어나는 것과 관련, 조 바이든 행정부는 이를 규탄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백악관 고위 관리들은 아시아계에 대한 괴롭힘과 폭력 증가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최근 아시아계 미국인과 태평양 섬 주민, 지역사회 지도자들과 화상 회의로 만나 의견을 청취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 법무부는 아시아계 미국인에 대한 증오범죄를 연방 차원에서 수사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 |
  1. oknews.jpg (File Size:13.4KB/Download:4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490 캐나다 새스캐추완 주 정부, EE 500건 받는다 file CN드림 15.11.17.
3489 캐나다 앨버타, 실업률 증가로 11,000명 실직 CN드림 15.11.17.
3488 미국 축제로 들뜬 밤, 남행길에 오르다 file 코리아위클리.. 15.11.18.
3487 미국 6살 한인소녀, 전국 포스터대회 대상 file KoreaTimesTexas 15.11.20.
3486 미국 한국 제20대 총선 유권자 등록 시작 코리아위클리.. 15.11.20.
3485 미국 69세 한인 노인, 아들에게 ‘살해당해’ file KoreaTimesTexas 15.11.21.
3484 미국 이길식 교수, 저소득층 학생 장학금 전달 file KoreaTimesTexas 15.11.24.
3483 미국 달라스 한인사회, 역대급 잔치로 ‘들썩’ file KoreaTimesTexas 15.11.24.
3482 캐나다 레드디어 한인장로교회 설립 2주년 기념예배 드려 CN드림 15.11.24.
3481 캐나다 캘거리 여성회 주최 꽃꽂이 강의 열려 CN드림 15.11.24.
3480 미국 "간나 XX들, 소지품 내려놓고 손들엇!"; file 코리아위클리.. 15.11.25.
3479 미국 '재외동포사회 지원사업' 수요 조사 코리아위클리.. 15.11.26.
3478 미국 초일류 대학 입학, 무조건 좋을까 코리아위클리.. 15.11.26.
3477 캐나다 블랙 프라이데이 맞아 '도난 주의' 캠페인 시작 file 밴쿠버중앙일.. 15.11.27.
3476 캐나다 버크 마운틴, 개발 계획 변경 두고 시의회 vs 주민 마찰 file 밴쿠버중앙일.. 15.11.27.
3475 캐나다 시리아 난민 4백 명, 12월 중 BC주 도착 file 밴쿠버중앙일.. 15.11.28.
3474 캐나다 밴쿠버 동계 올림픽 현장 찾은 한국 언론인들 file 밴쿠버중앙일.. 15.11.28.
3473 캐나다 캘거리 뿌리패 국제교육주간 행사 빛내 CN드림 15.12.02.
3472 캐나다 캘거리에 김치 요리교실 열려 CN드림 15.12.02.
3471 캐나다 캘거리 시민 86%, “삶의 질 높다” CN드림 15.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