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CNC for Social Justice Youtube

조사에 따르면 코로나19 전염병이 시작된 이후 아시아계 캐나다인에 대한 증오범죄가 많이 증가했으며, 주요 도시들은 전년보다 600%~700% 높은 범죄율을 보인다.

 

파이트 코비드 레이시즘(Fight COVID Racism)의 실시간 자료에 따르면 3월 17일 현재 캐나다 전역에서 891건의 아시아계 증오범죄 사건이 보고되었다.

 

팬데믹 시작 이후, 아시아계 캐나다인들을 대상으로 한 증오범죄가 증가하고 있으며 캐나다 통계청(Statistics Canada)은 2020년 7월 통계청이 발표한 보고서에서 인종, 민족, 피부색에 따른 괴롭힘이나 공격의 증가를 경험한 가시적 소수민족의 비율이 나머지 인구 대비 3배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가장 큰 증가세를 보인 커뮤니티는 중국인이었으며, 다음으로 한국인과 동남아시아인이 뒤를 이었다.

 

캐나다 인종교류재단(Canadian Race Relations Foundation)의 테레사 우-파우(Teresa Woo-Paw) 회장은 “우리는 깊은 편견과 고정관념을 가진 반(反)아시아 차별의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라면서 “어떻게 해서든 사람들은 우리가 이 나라에서 반(反)아시아 차별 겪고 있다는 사실을 아직 완전히 인식하지 못하고 있으며, 그것은 또한 우리의 시스템과 일상생활에도 내재되어 있다.”라고 덧붙였다.

 

캐나다가 팬데믹 기간 아시아계 캐나다인들을 대상으로 한 증오범죄가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주요 도시들도 보고된 사건들이 급증했다고 보고했다.

 

CTV News

밴쿠버
밴쿠버 경찰(Vancouver Police Department)이 발표한 보고서에서 반(反)아시아 증오범죄는 2019년부터 2020년까지 717% 증가했다.

 

현재까지 브리티시컬럼비아주 역시 아시아 1인당 반(反)아시아 증오범죄 사건이 가장 많이 보도된 것으로 북미의 어느 지역보다도 높다. '프로젝트 1907'은 특히 여성들이 불균형적으로 영향을 받는다고 보고했는데, 이는 이 주에서 보고된 모든 사건 중 거의 70%를 차지한다.

 

오타와
오타와 경찰청(Ottawa Police Service)은 전체 증오범죄가 약 57% 증가했지만 동아시아와 동남아인을 대상으로 한 증오범죄는 2019년보다 600% 증가했으며, 2019년에는 2건, 2020년에는 14건이 신고됐다고 밝혔다.

 

몬트리올
몬트리올 경찰청(SPVM)은 2020년 3월부터 12월까지 몬트리올에서 22건의 범죄와 8건의 아시아계 캐나다인에 대한 증오사건이 보고됐다고 밝혔다. 보고된 사건들 중 거의 40%는 재산 범죄, 장난, 낙서로 간주하였다.

 

토론토
조사에 따르면 반(反)아시아 증오범죄 발생 건수는 토론토가 밴쿠버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토론토 경찰청(Toronto Police Service)의 2020년 연례 증오범죄 통계 보고서는 아직 발표하지 않았지만, 경찰 대변인은 아시아인들에 대한 사건 등 인종이나 민족성이 하나의 요인으로 작용한 증오범죄 사건이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프로젝트 1907에 따르면 캐나다는 아시아 1인당 반(反)아시아 증오범죄 신고 건수가 미국에 비해 높은 편이며, 국내에서 보고된 사건 중 언어폭력과 괴롭힘은 65%, 신고된 사건의 약 30%가 폭행이다.

 

우-파우 회장은 “영향받은 지역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우리는 고통을 느끼고 있고 영향을 받은 공동체의 구성원 중 많은 사람은 그다음 목표가 자신 혹은 자녀들이 다음 차례가 될지 모른다는 불안감과 공포감에 휩싸이고 있으며, 이것이 현실이라고 생각한다.”라고 전했다. 

몬트리올 한카타임즈

  • |
  1. crime.png (File Size:396.2KB/Download:1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977 미국 콜로라도주 식품점 총기 난사, 경찰 포함 10명 사망 file 코리아위클리.. 21.03.27.
2976 미국 플로리다주 증오 단체 68개, 인구 대비 전국 1위 file 코리아위클리.. 21.03.27.
2975 미국 '코비드 밀물'에 달아오른 마이애미 주택시장 file 코리아위클리.. 21.03.27.
2974 미국 플로리다 변종 코로나 환자 912명 '미국 최고치' file 코리아위클리.. 21.03.27.
2973 미국 디즈니 월드 등 올랜도 테마파크 관광객 '우글우글' file 코리아위클리.. 21.03.27.
2972 미국 플로리다 코로나19 접종연령, 50세 이상으로 낮춰 file 코리아위클리.. 21.03.27.
2971 캐나다 실내 종교 서비스 제한적 허용 밴쿠버중앙일.. 21.03.30.
2970 캐나다 BC주 3차 코로나19 대유행 지옥문 열리다...26일 확진자 908명 file 밴쿠버중앙일.. 21.03.30.
2969 캐나다 노스밴도서관서 마구 칼 휘둘러 7명 사상 file 밴쿠버중앙일.. 21.03.30.
2968 캐나다 써리RCMP, 성범죄 피해자의 신고 요청 file 밴쿠버중앙일.. 21.03.31.
2967 캐나다 BC 30일부터 4월 19일까지 다시 식당 실내 영업 금지 file 밴쿠버중앙일.. 21.03.31.
2966 캐나다 BC주 사상 일일 최다 코로나19 확진자 발생 file 밴쿠버중앙일.. 21.03.31.
2965 캐나다 퀘벡주, 3월 26일부터 체육관 재개 허용 Hancatimes 21.03.31.
2964 캐나다 퀘벡주와 연방정부, 전기자동차 배터리 공장을 위해 1억달러 투자 Hancatimes 21.03.31.
2963 캐나다 캐나다 총리와 퀘벡주 총리,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안전성을 다시 한번 강조 Hancatimes 21.03.31.
2962 캐나다 몬트리올 지역, 3월 17일부터 통행금지 완화 Hancatimes 21.03.31.
2961 캐나다 공중보건국장, 몬트리올 3차 웨이브 경고 Hancatimes 21.03.31.
2960 캐나다 코비드19 확진 캐나다인 96%, '경고 앱' 제대로 이용 못해 Hancatimes 21.03.31.
» 캐나다 COVID-19 이후 ‘아시안 증오범죄’ 급증 file Hancatimes 21.03.31.
2958 캐나다 BC주로 1톤의 아편 몰래 들여오다 적발 file 밴쿠버중앙일.. 21.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