웰링턴 한인회(회장 이장흠)가 수익용 건물 구입을 축하하는 잔치를 열었다.

 

한인회의 전언에 따르면, 이번 축하식은 지난 3월 28일(일) 어퍼 헛(Upper Hutt)의 메인(Main) 스트리트에 새로 구입한 ‘메이페어 빌딩(Mayfair Building)’의 1층 카페에서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오후 4시 반부터 2시간 동안 진행됐다.

 

행사장에는 웰링턴 지역 동포들이 자리한 가운데 이상진 NZ주재 한국대사를 비롯해 NZ한인회 총연합회 이상열 회장, 변경숙 오클랜드 한인회장과 윤교진 크라이스트처치 한인회장 등 초청 인사들이 축하 인사를 했다.

 

웰링턴 사물놀이팀인 ‘세비소리'의 오픈닝 무대 후 윤교진 회장의 부채춤 축하공연이 이어졌다. 축하 케익 절단과 함께 참석자들은 “건강한 한인회 화합하는 한인사회, 가자 가자 가자!”라는 건배사를 외쳤다.

 

이 한인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기록된 역사가 생명력을 갖는 것처럼 웰링턴 한인회는 역사에 기록될 자랑스러운 날을 맞이했다'면서 '새로 구입한 수익성 건물이 건강하고 화합하는 한인사회를 위해 귀하게 쓰이도록 동포 모두가 주인이 되어야 하며 특히 건물의 전문적인 유지 관리를 위해 교민들의 협력과 후원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이번 행사에 축하 화환과 후원금을 보내준 기관과 개인들에게 감사를 전하면서 지역별 한인회간의 상호 협력 관계도 더 증진시켜 나가자고 제안했다.

 

웰링턴 한인회에 따르면 지난 1991년 지역별 한인회로 분리된 후 1999년에 웰링턴 도심에 한인회관을 구입해 2019년까지 20년간 한인 커뮤니티 공간으로 사용했으나 지진 보강을 필요로 하는 시점에서 이를 매각하기로 결정했었다.

 

이후 건물관리위원회를 구성해 회관 재구입을 추진했으나 재정적 어려움으로 우선 수익성이 좋은 건물을 구입해 기금을 마련하는 쪽으로 방향을 정했다. 이어 여러 차례 시도한 끝에 해당 건물을 대상으로 정하고 지난 1월 임시총회를 통해 최종 구매 의결을 한 뒤 2월말에 190만달러에 최종 구매 했다.

 

건물은 지상층에 상가 5개, 2층에는 주거용 아파트등 총 6~7개 세입자가 있다. 한인회에서는 현재 건물 관리 전문인과 자문위원들을 새로 구성해 건물 관리에 신중히 임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한인회는 수익성 건물의 재정 수입과 지출분, 그리고 한인회 운영 비용과 기금 적립 예상 시나리오와 함께 향후 10년 내 한인회관 건물 구입의 청사진도 발표했다.

 

이장흠 회장은 '20년간의 회관 운영 경험과 함께 올해부터는 수익성 건물이라는 새로운 운영방법으로 선도적인 한인회 역할을 주도해가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한인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전하고 많은 응원을 부탁했다.

 

웰링턴 한인회는 이날 행사에 이어 4월 한마음 야유회 체육 행사와 5월의 시니어 회원 후원 행사와 다문화가족 문화 행사, 6월 2040세대 커리어 세미나 행사 등을 열어 세대간 교류 활성화와 차세대의 한인 커뮤니티 활동 참여 확대를 중점으로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 |
  1. 33.jpg (File Size:164.1KB/Download:24)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051 호주 NSW 주 정부의 카운슬 강제 합병, 첫 타격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6050 호주 “호주의 미래가 위험하다”... 호주 교사들 ‘경고’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6049 호주 ‘메리톤’ 사 트리거보프 대표, 호주 ‘최고 부자’ 등극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6048 호주 호주 인구시계... 중간 연령 37세로 집계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6047 호주 NSW 베어드 정부 추진 정책에 시민들 격렬 항의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6046 호주 Australia’s strangest road signs...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6045 호주 안젤로 치레카스, 시장 상징하는 ‘로브’ 벗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44 호주 시드니 지역 폭풍우 불구, 경매 현장 구매자들 ‘북적’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43 호주 부동산 구매시 인지세 관련 비용 25% 추가 예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42 호주 NSW 주 정부, ‘세수’ 유지 위해 도박문제 ‘쉬쉬’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41 호주 “호주 대학들, 교내 성범죄 처리 원활치 않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40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1.75% 유지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39 호주 조지 펠 추기경, 바티칸 재정장관 사임 밝힐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38 호주 비판 직면 ‘곤스키’ 교육개혁, 향후 방향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37 호주 주식시장 회복... 상위 부자 자산, 빠르게 늘어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36 호주 시드니 폭풍, 콜라로이-나라빈 지역 ‘심각한 피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35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 유권자 조사, 노동당 지지도 앞서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34 호주 Australia’s strangest road & other signs-2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33 호주 한정된 공급, 주택구입자-투자자 가격경쟁 가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32 호주 뇌졸중 발병 요인, 국가 소득 수준 따라 달라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31 호주 최근 개통 베넬롱 브릿지, 승용차 불법 운행 ‘문제’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30 호주 NSW 주 정부, 시드니 지역 추가 버스노선 확정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9 호주 정규 과정서 제2외국어 선택 학생, 크게 줄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8 호주 빌 쇼튼 대표, “투표로 복지 축소 막아야...”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7 호주 “의료복지 예산 삭감, 그 피해는 우리들 모두...”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6 호주 “호주 정부, 지난 20년 넘게 유엔 아동협약 위반”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5 호주 “다문화 사회에서 반차별법의 축소나 변경은 안 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4 호주 성별에 따른 임금 격차 ‘상당’... 평균 38% 차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3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양당 대표의 선거 캠페인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2 호주 대화의 기술... 직장 내에서 피해야 할 말들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1 호주 모스만의 낡은 주택, 300만 달러도 싸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20 호주 호주인 골다공증 심각, 3분에 한 명 골절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9 호주 “불명예 전역 간부후보생 자살은 교육대 가혹행위 탓”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8 호주 ATO, 업무용 경비 세금환급 부문 집중 조사 방침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7 호주 이너 웨스트 카운슬 행정관, ‘조기선거 가능’ 언급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6 호주 광역 시드니 주택부족 심화... 공급 한계 이른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5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 실업률 영향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4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 양당 주택정책이 판세 가를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3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 양당의 시드니 서부 관련 공약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2 호주 NSW Budget- 기반시설 투자 집중... 취약계층 지원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1 호주 로얄 보타닉 가든(Royal Botanic Garden) 개장 200년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0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브렉시트 불안감’ 없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9 호주 왕립위원회, “군 내 성범죄는 국가적 망신...”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8 호주 시드니 동부 역사적 건축물, 매각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7 호주 리드 지역구 후보들, 연방 정부 교육정책 토론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6 호주 시드니 남서부 워윅팜 기차역서 승객 사고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5 호주 “공립 교육 확대를 위한 예산-변화 필요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4 호주 호주인 스마트폰 의존, 갈수록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3 호주 호주 가정 음식 폐기물, 연간 80억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2 호주 대중교통 시설의 갖가지 세균에 대한 불편한 진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