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라이스트처치에서 캔터베리 지역 한국전 참전용사들의 후손 모임이 정식으로 결성됐다.

 

4월 19일(월) 오후 4시부터 크라이스트처치의 파파누이(Papanui)의 재향군인회(RSA) 회관에서 참전용사들과 후손, 그리고 한인 동포들이 참석한 가운데 발기 모임이 열렸다.

 

‘캔터베리 한국전 참전용사 후손 모임(Canterbury Korean War Veterans Descendants Association, 약칭 CKVDA)’으로 명칭이 정해진 이 모임은 지난 2월 홀스웰 자매도시 공원에서 열린 참전용사 초청 모임에서 알라나 피젼(Alana Pidgeon) 등 후손들을 중심으로 결성 논의가 시작됐다.

 

이후 크라이스트처치-송파구 자매도시위원회와 코리안가든 운영위원회 측에서 모임 결성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고 나서면서 정식 모임으로 시작할 수 있게 됐다.

 

이날 모임에는 용사들이 노령으로 거동이 어려운 경우가 많아 두 명의 참전용사, 한 명의 용사 미망인 , 그리고 세 명의 후손들과 함께 메리 윤 코리안가든 운영위원장과 윤교진 한인회장을 비롯한 동포들이 참석했다.

 

또한 한국대사관에서도 이정한 서기관이 모임 결성 지원을 위해 참석했다. 이 서기관은 용사들에게 다시 한번 감사 인사를 전하는 한편 '돌아가시는 용사들이 점점 많아지는 상황에서 양국의 유대 관계를 이어나가기 위해서는 후손들의 모임이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국 보훈부에서 그동안 시행해온 용사들과 그 후손들의 한국 방문 행사와 더불어 작년 2월 웰링턴에서 양국의 참전용사 후손 대학생들이 모였던 비젼 캠프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이 자리에는 자매도시위원회의 아담 커틴(Adam Curtin) 위원장과 사이먼 어 부위원장도 참석했으며 참가자들은 알라나 피젼을 모임의 첫 번째 회장으로 선출했다.

 

참전용사들 중 테리 히칭스(Terry Hitchings)를 참전용사 명예 후원회장으로 선출하고 참전용사 미망인인 투이 레이(Tui Ray)를 회계로 선출했다. 총무는 참석하지 못한 회원들과 논의해 추후 선출하기로 했다.

 

한편 회원들은 오는 7월에는 그동안 중단했던 한국전 종전 기념행사를 한인회의 협조 속에 다시 개최하기로 했다. 매년 성탄절을 앞두고 열었던 오찬도 오는 11월 20일 한인회와 자매도시위원회 등을 비롯한 교민단체들의 협조 속에 갖기로 결정했다.

 

또한 아직 미정이지만 현재 건립 논의가 진행 중인 자매도시공원의 정자에 참전용사들의 명패를 새겨 그들의 헌신을 영원히 기리는 작업도 함께 진행하기로 결정했다.

 

한편 결성 모임을 마친 참석자들은 한국관으로 자리를 옮겨 2시간에 걸쳐 저녁식사 자리를 갖고 화기애애한 가운데 이야기를 이어갔다. 이날 2부 행사는 한국 대사관 측에서 지원했다.

 

뉴질랜드는 한국전에 육군 포병부대와 해군 구축함이 참전하는 등 연인원 6000여명이 영연방군의 일원으로 가평 전투 등에서 활약했으며 모두 43명의 희생자가 났다.

 

참전용사들은 전쟁 후에도 전국적인 모임을 결성해 교류해왔으며, 연금을 갹출해 자신들이 싸웠던 가평 지역의 학생들에게 오랫동안 장학금을 지급하는 등 한국과의 인연을 소중히 여겨왔다.

 

이날 참석한 참전용사도 8명의 자녀들이 전부 한국의 평화 캠프에 참가했었다고 밝혀 참석자들로부터 감동어린 박수를 받는 등 그동안 참전용사들이 한국과의 인연을 얼마나 소중히 여겨왔는가를 실감하게 했다.

 

그러나 점점 회원들이 줄면서 지난 2017년 모임이 공식적으로 해체됐다. 그럼에도 크라이스트처치와 더니든, 웰링턴 등 여러 지역에서는 여전히 한인 동포들과의 만남이 이어지고 있다.

 

 

 

현재 캔터베리 지역에는 10여명의 참전용사들이 생존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올해에도 이미 2명이 유명을 달리한 것으로 확인된 가운데 이들의 고귀한 희생을 잊지 않기 위한 차원에서도 후손들 모임이 결성되고 이들과 한인 동포들과의 교류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같은 상황에서 이번 크라이스트처치 후손 모임 결성을 계기로 전국적으로 같은 성격의 모임이 결성될 가능성도 있다. 이런 이유로 현재 한국대사관 측에서도 모임 지원에 적극 나서고 있다.

  • |
  1. 33.jpg (File Size:111.2KB/Download:2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501 호주 촛불만큼 뜨거운 시드니 동포들의 ‘특별법’ 촉구 호주한국신문 14.07.24.
6500 호주 호주 현지 요리사들, 다양한 재료의 비빔밥 선뵈 호주한국신문 14.07.24.
6499 호주 말레이시아 항공기 격추... 호주인 희생자 36명 호주한국신문 14.07.24.
6498 호주 전 세계 민간 항공기 격추, 최대 인명 피해 5건은... 호주한국신문 14.07.24.
6497 호주 탄소세 폐지 불구, 애보트 정부 지지율 하락 호주한국신문 14.07.24.
6496 호주 탄소세 폐지 법안, 연방 상원에서 가결 호주한국신문 14.07.24.
6495 호주 탄소세 관련 Timeline 호주한국신문 14.07.24.
6494 호주 ACCC, ‘탄소세 폐지에 따른 제품가격 인하’ 조사 강화 호주한국신문 14.07.24.
6493 호주 시드니 도심, 2침실 아파트에 최대 14명까지 입주시켜 file 호주한국신문 14.07.24.
6492 호주 “주택가격 연간 상승 2.4% 미만이면 임대, 경제적” 호주한국신문 14.07.31.
6491 호주 ‘세월호 참사 특별법’ 청원 서명, 시드니서 1천280명 확보 호주한국신문 14.07.31.
6490 호주 올 한국영화제, 호주 전역 6개 도시로 확대 호주한국신문 14.07.31.
6489 호주 연방 경찰, 이라크 테러 가담 호주인에 체포영장 발부 호주한국신문 14.07.31.
6488 호주 호주사업위원회, “호주는 근본적 사고 변화가 절실하다” 호주한국신문 14.07.31.
6487 호주 시드니 카운슬, 도심에 800만 달러 규모 예술품 설치 호주한국신문 14.07.31.
6486 호주 ‘크라운’ 슈퍼 펜트하우스, 호주 최고가 주택 될 듯 호주한국신문 14.07.31.
6485 호주 까다로운 실업수당 조건, 구직자를 범죄로 내몰 수도! 호주한국신문 14.07.31.
6484 호주 연방 정부, 새 고용 서비스 모델 발표 호주한국신문 14.07.31.
6483 호주 NSW 주, 말기환자 위한 대마초 사용 합법화 추진 호주한국신문 14.07.31.
6482 호주 호주인 알코올 관련 질병 사망자, 하루 15명달해 호주한국신문 14.07.31.
6481 호주 제1차 세계대전 발발 100년... 사진으로 보는 참전 호주군들 호주한국신문 14.07.31.
6480 호주 시드니 주택경매 낙찰률 4주 연속 77% 이상 기록 호주한국신문 14.08.07.
6479 호주 “통일 한국은 동북아 및 세계 평화의 중심...” 호주한국신문 14.08.07.
6478 호주 재호한인상공인연합회 제17대 회장단 출범 호주한국신문 14.08.07.
6477 호주 한국문화원, 영화제 알리기 적극 나서 호주한국신문 14.08.07.
6476 호주 어번 보타닉 가든, 8월16일(금) ‘벚꽃축제’ 개막 호주한국신문 14.08.07.
6475 호주 인종차별, 학생들에게 무력감 배가시켜 호주한국신문 14.08.07.
6474 호주 전 시드니 대주교 에드워드 클런시 추기경 선종 호주한국신문 14.08.07.
6473 호주 호주인 미디어 이용, TV보다 디지털 기기 선호 호주한국신문 14.08.07.
6472 호주 호주인 부부, 대리모가 낳은 장애아 대리모에게 떠넘겨 호주한국신문 14.08.07.
6471 호주 호주 군 섹스 스캔들 핵심 멤버 프레데릭슨, ‘유죄’ 인정 호주한국신문 14.08.07.
6470 호주 People power, 기차역에서 위험 처한 시민 구해 호주한국신문 14.08.07.
6469 호주 10대 청소년들, 유태인계 학생 대상 인종 학대 호주한국신문 14.08.07.
6468 호주 호주 주택가격, ‘가을 침체’ 이후 회복세로 호주한국신문 14.08.07.
6467 호주 치사율 최대 90%... 에볼라 바이러스 공포 확산 호주한국신문 14.08.07.
6466 호주 애보트 정부, 인종차별법 개정안 추진 철회 발표 호주한국신문 14.08.07.
6465 호주 파라마타, 가장 높은 주택가격 성장률 기록 호주한국신문 14.08.14.
6464 호주 제5회 호주 한국영화제, 이벤트 시네마서 시작 호주한국신문 14.08.14.
6463 호주 “건국절 제정은 대한민국 헌법 정신에 위배” 호주한국신문 14.08.14.
6462 호주 호주 젊은이들의 K-Pop 댄스 실력은... 호주한국신문 14.08.14.
6461 호주 숙명여대 음대생들, 시드니대학서 연주회 호주한국신문 14.08.14.
6460 호주 시드니 주택 가격, 올 2분기 3.1% 올라 호주한국신문 14.08.14.
6459 호주 NSW 주 하원의원 2명, 부패 혐의로 의원직 사퇴 호주한국신문 14.08.14.
6458 호주 NSW 주 정부, 고속도로 제한 속도 상향 고려 호주한국신문 14.08.14.
6457 호주 정부, 취약 계층에 GP 진료비 $7 면제 ‘고려’ 호주한국신문 14.08.14.
6456 호주 호주 노동자 임금 인상, 물가 상승 못 따라가 호주한국신문 14.08.14.
6455 호주 “중동 지역 긴장으로 호주내 인종차별 증가...” 호주한국신문 14.08.14.
6454 호주 12세 딸 불법 결혼시킨 아버지, 첫 범정 심리 호주한국신문 14.08.14.
6453 호주 맹견 공격으로 이웃집 남성 손가락 절단 호주한국신문 14.08.14.
6452 호주 기획①-제1차 세계대전 발발 100년 호주한국신문 14.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