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모기).jpg

두 계통의 올바키아 박테리아(Wolbachia bacteria)에 감염된 모기를 통해 앞으로 뎅기열(dengue fever) 및 지카(Zika) 바이러스 등을 통한 전염을 통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멜번대학교 피터 도허티 연구소 시몬스 교수팀 연구서 ‘성과’

과학 저널 ‘PLOS Pathogens’, “이집트 숲모기 실험 효과” 보도

 

‘지카’(Zika) 바이러스로 각국 보건당국이 비상 상태인 가운데 호주 과학자들이 뎅기열(dengue fever)과 소두증 유발 가능성이 있는 지카 바이러스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하는 새로운 종류의 모기를 만들어냈다고 지난 주 금요일(19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가 보도했다.

과학 저널 ‘PLOS Pathogens’는 인간에게 전염되는 뎅기열의 위험률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알려진 올바키아(Wolbachia) 바이러스 두 종류에 감염시킨 이집트 숲모기(Aedes aegypti)에 대한 실험에서 성과가 있었다고 보고했다.

멜번대학교 산하 피터 도허티 연구소(Peter Doherty Institute)의 카메론 시몬스(Cameron Simmons) 교수는 “수퍼 감염된(super-infected) 모기는 단일 감염(single-infected, 한 종류의 바이러스에게만 감염된)된 곤충보다 뎅기열을 막는 데에 더 효과적”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한 이 곤충류가 올바키아 바이러스에 내성을 일으키는 뎅기 바이러스를 예방하는 데도 효과적이라며 “수퍼 감염은 뎅기 바이러스가 넘기 어려운 높은 장벽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과학자들은 실험을 통해 올바키아 생체통제(biocontrol)가 이집트 숲모기에 의해 전염되는 지카, 치쿤구니아(chikungunya. 뎅기열과 유사한 전염병), 그리고 황열병(yellow fever) 등 다른 바이러스에도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최근 몇 년 사이 과학자들은 ‘wMel’이라 불리는 올바키아 계통을 모기들에게 주입함으로써 이런 바이러스들의 개체 내 복제를 제한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뎅기열에 대한 연구에서는 모기가 감염된 사람을 물었을 때, 올바키아에 감염된 곤충의 조직 세포를 통해 전염되는 바이러스의 능력을 약화시킨다는 것도 밝혀냈다.

만약 뎅기 바이러스가 모기의 침샘까지 다다르지 못하면, 그 곤충은 사람에게 바이러스를 전파할 수가 없다는 것이다.

시몬스 교수는 “바이러스에게 이는 필연적으로 막다른 길”이라며 “올바키아는 모기가 그 바이러스를 인간 숙주에게 계속해서 전파시키는 것을 막는다”고 설명했다.

올바키아는 여성을 통해 다음 세대로 전파되는데 이는 모기 개체수를 통해 급격하게 전파되는 박테리아성 감염을 의미한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바이러스들은 올바키아에 대한 내성을 쌓을 수도 있다. 시몬스 교수 연구팀은 내성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wMel’과 실험을 통해 모기 개체 내의 뎅기열 복제 감소 효과가 입증된 올바키아의 두 번째 계통 ‘wAlbB’ 등 두 종류 모두에게 감염된 이집트 숲모기를 개발했다.

이 연구는 올바키아에 감염된 초기 모기 계통에서보다 성인 뎅기열 환자의 혈액을 먹은 모기들의 조직 세포 속에 훨씬 더 적은 양의 바이러스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시몬스 교수는 “이 이중 감염된 모기는 wMel에만 감염된 모기보다 훨씬 더 강한 차단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수퍼 감염된 모기들도 단일 감염 모기들과 마찬가지로 야생 모기 개체군을 통해 급격하게 전파시키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시몬스 교수팀은 내년 초, 인도네시아와 베트남, 라틴 아메리카에서 올바키아의 ‘wMel’ 계통에 감염된 모기에 대한 3단계 현장 실험을 시행할 예정이다.

시몬스 교수는 “이 실험에서는 뎅기열 감염에 대한 생체통제(biocontrol)의 효력뿐 아니라 지카 바이러스 등 다른 모기 매개 바이러스들에 대한 효과도 함께 테스트할 것”이라고 밝혔다.

시몬스 교수는 지카와 같은 바이러스들도 뎅기열 바이러스와 마찬가지로 올바키아 수퍼 감염 모기에 취약할 것으로 예상했다.

 

■ 시몬스 교수팀의 연구 내용 핵심

-올바키아는 모기를 감염시키는 박테리아의 일종이다.

-감염된 모기는 뎅기열의 전염성을 감소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두 계통의 올바키아 감염은 뎅기열을 막는 데 더 효과적이며 올바키아에 대한 뎅기열 바이러스의 내성 발생을 막을 수 있다.

-올바키아를 이용한 모기의 생체 통제는 지카 바이러스를 치료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올바키아와 뎅기열

-올바키아는 모든 곤충의 40%에서 75%까지 감염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올바키아의 ‘wMel’ 계통은 과일파리(초파리)로부터 생성된다.

-‘wAlbB’ 계통은 흰줄 숲모기(Aedes albopictus) 종으로부터 생성된다.

-올바키아는 곤충배아에 미세주입법을 통해 이집트 숲모기에게 주입된다.

 

강세영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모기).jpg (File Size:35.3KB/Download:5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051 호주 호주 최고 디자인의 레스토랑-카페-바-호텔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19.11.21.
2050 호주 호주 정부, 인공지능(AI) 가이드라인 만든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11.21.
2049 호주 “부동산 시장 회복 탄력 받았다”... 주택 가격 크게 반등해 가는 중 file 호주한국신문 19.11.21.
2048 호주 “2020년 시드니-멜번 주택 가격, 두 자릿수 성장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19.11.21.
2047 호주 ‘Get our priorities right’... 시드니 새해맞이 불꽃놀이 취소 청원 확산 file 호주한국신문 19.11.21.
2046 호주 사라 핸슨-영, ‘막말’ 파동 레이욘헬름 전 상원의원 상대 명예훼손 승소 톱뉴스 19.11.26.
2045 호주 AMP캐피털 "호주달러 하락세 끝” 전망 톱뉴스 19.11.26.
2044 호주 호주 前 정보수장 "中, 스파이 행위로 호주 정치권 장악 시도" 톱뉴스 19.11.26.
2043 호주 봉준호 감독 ‘기생충’ 2019 APSA 최우수 작품상 수상 톱뉴스 19.11.26.
2042 호주 “호주 산불, 인도양 다이폴 현상 때문” 톱뉴스 19.11.26.
2041 호주 한국산 김치, 호주 시장 ‘장악’…수출량 2010년 이후 계속 증가 톱뉴스 19.11.26.
2040 호주 시드니 수돗물 사용제한 조치 강화...12월 10일부터 2단계 적용 톱뉴스 19.11.26.
2039 호주 두터운 연무에 뒤덮인 시드니…대기 오염 10배 악화 톱뉴스 19.11.26.
2038 호주 중국, 인권 문제 제기 연방자유당 의원 2명에 입국 불허 논란 확산 톱뉴스 19.11.26.
2037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헌터스 힐 소재 타운하우스, 잠정가서 17만 달러 높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19.11.28.
2036 호주 광역시드니에서 ‘가장 살기 좋은 지역’은 ‘밀슨스 포인트’ file 호주한국신문 19.11.28.
2035 호주 시드니 여성들, 호주 다른 도시 여성들 비해 은퇴 빠르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11.28.
2034 호주 산불 피해 온정... ‘코알라 병원’에도 100만 달러 이상 기금 접수 file 호주한국신문 19.11.28.
2033 호주 Australia burns... 호주 전역, 전례 없는 산불 확산 ‘비상’ file 호주한국신문 19.11.28.
2032 호주 [NSW] 운전 자 휴대전화 사용 단속 카메라 ‘전면 가동’ 톱뉴스 19.12.03.
2031 호주 폴린 핸슨, 자유당 연립에 일격…노조 정상화 법안 부결 톱뉴스 19.12.03.
2030 호주 아프간 탈레반 '3년 억류' 호주인 학자 위크스 교수 귀환 톱뉴스 19.12.03.
2029 호주 내년 1월 14일, 시드니 유흥업소 심야영업제한조치 해제…킹스 크로스 제외 톱뉴스 19.12.03.
2028 호주 말레이시아서 마약 밀반입 혐의로 사형 직면했던 호주 여성 ‘구사일생’ 톱뉴스 19.12.03.
2027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봄 시즌 마지막 경매, 올 들어 최대인 888채 매물 나와 file 호주한국신문 19.12.05.
2026 호주 ‘거주적합성’ 중간 순위 이상 중 평균 임대료 이하 지역 17개 file 호주한국신문 19.12.05.
2025 호주 지난 한해 주택 가격 25% 이상 오른 교외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19.12.05.
2024 호주 호주의 ‘무지개 수도’는 시드니 아닌 캔버라... 동성커플 ‘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12.05.
2023 호주 Drive Car of the Year 2020- 올해의 자동차에 ‘Toyota RAV4 Hybrid’ file 호주한국신문 19.12.05.
2022 호주 럭셔리한 고급 분위기에서 즐기는 호주 자연 속 캠핑의 맛 file 호주한국신문 19.12.05.
2021 호주 정계 인사 후원금이 호주 정치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file 호주한국신문 19.12.05.
2020 호주 NSW 주, “내년 1월 14일 기해 ‘Lockout Laws’ 해제”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19.12.05.
2019 호주 광역 시드니, 10년 만에 2단계 급수 제한 조치 발령 file 호주한국신문 19.12.05.
2018 호주 시드니 일대, 10일부터 제2단계 수돗물 사용제한 조치 시행 톱뉴스 19.12.10.
2017 호주 ‘최악’의 시드니 대기 오염에 마스크 착용 시드니 주민 급증 톱뉴스 19.12.10.
2016 호주 한-호주 10일 외교·국방장관 회의…신남방·태평양전략 논의 톱뉴스 19.12.10.
2015 호주 ‘난민 환자 이송법’ 폐지…'노조 정상화법' 파동 수모 만회 톱뉴스 19.12.10.
2014 호주 호주 정치권, 황화론 재연 공방 가열 톱뉴스 19.12.10.
2013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 스탠모어 소재 주택 소유자, 7개월 만에 40만 달러 수익 올려 file 호주한국신문 19.12.12.
2012 호주 시드니-멜번, 낮은 기준금리로 ‘부동산 광풍’ 다시 올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19.12.12.
2011 호주 조직화되는 구걸... “멜번의 ‘프로 거지들’은 전 세계적 트렌드” file 호주한국신문 19.12.12.
2010 호주 증가하는 시드니 인구, 각 공립학교 수용 능력에 직접적 ‘압박’ file 호주한국신문 19.12.12.
2009 호주 “더 나은 도시 디자인, 거주민 정신건강 증진시킨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12.12.
2008 호주 멜번 주요 도로 교통위반 단속 카메라, 범칙금만 1천200만 달러 적발 file 호주한국신문 19.12.12.
2007 호주 퀸즐랜드대학교 산모연구기관, ‘비아그라’의 또 다른 용도 확인 file 호주한국신문 19.12.12.
2006 호주 호주인 ‘비만’ 비율 상승, 거주 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 file 호주한국신문 19.12.12.
2005 호주 풍자와 익살... 호주 정치 상황 담은 카툰 전시회 개막 file 호주한국신문 19.12.12.
2004 호주 럭셔리한 고급 분위기에서 즐기는 호주 자연 속 캠핑의 맛 (2) file 호주한국신문 19.12.12.
2003 호주 자녀들 위한 크리스마스 선물,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19.12.12.
2002 호주 시드니 경전철 내일(14일)부터 개통... 총 공사비 29억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9.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