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56만개 추가, 실업률 6% 이하... 건설업은 회복 느려
 
hire.jpg
▲ 코로나 방역관련 영업제한 조치가 대부분 해제되면서 요식업소의 고용이 크게 늘고 있다. 사진은 플로리다주 올랜도 콜로니얼 선상의 한 식당 앞에 놓인 구인 광고판. ⓒ 코리아위클리
 
(올랜도=코리아위클리) 박윤숙 기자 = 미국내 일자리가 크게 늘고, 실업 수당을 새로 신청하는 사람은 계속 줄고 있는 등 미국의 고용 관련 경기 지표가 크게 호조를 보이고 있다. 그만큼 노동 시장이 안정을 찾아가고 있는 신호라고 할 수 있다. 

<워싱턴포스트>는  '경기 체질 강화 신호'가 나타났다고 전하는 등 미국 경제가 코로나 사태 충격을 딛고 회복세를 다지고 있는 평가들이 연일 나오고 있다.  

지난 4일 연방노동부가 발표한 월간 고용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미국의 비농업 분야 일자리 약 55만9천 개가 새로 생겼다. 실업률도 전달에 6.1%였던 데서 5.8%로 떨어졌다.  

시장의 기대에는 약간 못미치는 수치이기는 하지만 전달인 4월보다는 크게 늘었다. 전문가 예상치는 67만5천여 개였다.

한 달 만에 상황이 크게 나아진 이유는  음식점과 술집, 그밖에 식음료 제공 업종이 18만6천 개 일자리를 추가하는 등 요식업소의 고용 확대 때문이었다. 현재 코로나 방역 관련 영업 제한 조치가 대부분 해제되면서 요식업소의 고용이 크게 늘고 있다. 

서비스 관련 업종에서도 일자리가 크게 늘고 있다. 놀이공원과 도박업소 등을 포함하는 오락 산업에서 5만8천 개가 추가됐고, 호텔업에서도 3만5천 개 증가했다.  

이밖에 교육계도 약 14만4천 개 일자리가 새로 생기는 등 크게 활기를 띠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공립학교 일자리가 10만3천여 개, 그리고 사립학교는 4만1천여 개가 늘었다. 최근 미국 내 성인들의 코로나 백신 접종률이 높아지고 12세 이상으로 접종 대상이 확대되면서 대면 수업을 확대하고 있는 추세 때문이다.  

아직 회복이 느린 분야도 있다.  건설업은 전달과 비교해 일자리 2만여 개가 없어졌다. 건설업종은 전달인 4월에도 일자리가 줄었다. 건설업계는 연방 정부가 추진 중인 대규모 사회 기간시설 현대화 사업이 실현되면 상황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실업 수당 청구 통계치도 일단 호조를 보이고 있다.  노동부가 3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29일까지 한 주간의 신규 실업수당 청구가 38만5천여 건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코로나 사태가 본격화된 작년 3월 중순 이후 처음 40만 건 아래로 내려간 것이다. 5주 연속 하락세다.  

실업수당 청구 5주 연속 하락... "고용시장 정상화 시간 걸릴 듯"

전문가들은 실업 통계치가 개선은 되고 있지만 코로나 사태 이전 수준과는 차이가 크다며 빠른 경제회복을 낙관하지 않고 있다. 

코로나 이전 신규 실업수당 청구는 21만여 건에서 22만 건 정도였으나,  현재 38만5천여 건으로  아직 16만 건 이상 더 떨어져야 이전 수준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일자리 수치도 코로나 사태 직전인 작년 2월과 비교하면 여전히 760만 개 부족한 상태라고 <월스트리트저널>이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고용시장이 완전히 정상화되려면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한 달에 60만 개 씩 새 일자리를 추가해도 1년 이상 시간이 걸린다는 분석이 나온다. <블룸버그 통신>은 코로나 백신 접종률이 70% 이상  도달하는 집단면역 시점이 언제가 되느냐에 따라 고용시장 정상화로 가는 시간이 줄어들 수도 늘어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달 27일 경제 현안 연설에서 추후 일자리 관련 통계와 각종 경제 수치가 등락을 계속할 것이라면서 "결국 안정적이고 꾸준한 성장으로 돌아갈 것이다"라고 말했다.   

바이든 정부는  일자리를 늘려나가기 위해  두 방향으로 노력을 하고 있다. 우선 경제활동 재개 확대를 위해 백신 접종률을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 7월 4일까지 미국 내 성인 70%가 한차례라도 백신을 맞도록 하는 목표를 세웠다. 

아울러 대규모 인프라 현대화 사업을 통해 일자리도 늘리고 경기도 부양하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미국일자리계획(American Jobs Plan)’이라는 이름을 붙이며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공화당의 반대로 입법에 난항을 겪고 있다. 
  • |
  1. hire.jpg (File Size:110.8KB/Download:1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697 캐나다 집집마다 한해 생활비 6만2000달러 밴쿠버중앙일.. 17.12.15.
2696 캐나다 내년 고깃값 오르는 이유가... 밴쿠버중앙일.. 17.12.15.
2695 캐나다 밴쿠버 집값 내년엔 얼마나 오를까 밴쿠버중앙일.. 17.12.15.
2694 캐나다 점점 식어가는 선행의 손길 밴쿠버중앙일.. 17.12.15.
2693 미국 푸에르토리칸, 중앙플로리다 인구 지형 바꾼다 코리아위클리.. 17.12.14.
2692 미국 올랜도 경찰국, 순찰 경관 전원에 ‘바디 카메라’ 코리아위클리.. 17.12.14.
2691 미국 독감 ‘위험’ 경보… 플로리다 전역 환자 크게 증가 코리아위클리.. 17.12.14.
2690 캐나다 밴쿠버 미취학 자녀 보육비 높은 편 밴쿠버중앙일.. 17.12.14.
2689 캐나다 한국 기업, 북미 진출에 꼭 필요한 건? 밴쿠버중앙일.. 17.12.14.
2688 캐나다 보궐선거, 연방자유당 압승 밴쿠버중앙일.. 17.12.14.
2687 캐나다 밴쿠버 휴대폰 요금 가장 높게 증가 밴쿠버중앙일.. 17.12.14.
2686 캐나다 외국인 근로자 권익 위해 예산 투입 밴쿠버중앙일.. 17.12.14.
2685 캐나다 BC 고등교육 수준 전국 밑돌아 밴쿠버중앙일.. 17.12.14.
2684 캐나다 10억 달러 대마초 세수, 정부들 얼마씩 나누나 밴쿠버중앙일.. 17.12.13.
2683 캐나다 사이트C댐 계속 짓는다 밴쿠버중앙일.. 17.12.13.
2682 캐나다 메트로밴쿠버 1시간에 차 한대씩 털려 밴쿠버중앙일.. 17.12.13.
2681 캐나다 '주변 시세 맞춰야' 이유로 렌트비 못 올린다 밴쿠버중앙일.. 17.12.13.
2680 미국 뉴욕 도심 폭탄테러 file 뉴스로_USA 17.12.12.
2679 미국 ‘폐지 노인, 성매매 할머니’ 충격보도 file 뉴스로_USA 17.12.12.
2678 캐나다 캐나다 가구순자산 29만5100달러 밴쿠버중앙일.. 17.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