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내 소도시들, 인터넷 세대 유인 위해 주택 자금 지원도



(올랜도=코리아위클리) 박윤숙-김명곤 기자 = 산업화.정보화가 가속화 되면서  인구의 대도시 집중 현상을 불러왔지만, 최근  미국 내  소도시들이  아연 활기를 띠고 있다.   이른바  ‘디지털 노마드’가 늘면서  생기고 있는 현상이다.    

 ‘노마드(nomad)’는  ‘유목민’을 뜻하는 영어 단어로  이리저리  떠돌아다니면서  생활하는 사람들을  가리킨다. 얼마전 영화 '노마드'가 오스카상 작품상을 타면서 더 익숙해진 단어가 되었다.

 ‘디지털 노마드’는  전자 장비와  인터넷 등을  활용해서  장소에  상관없이  일할  수  있는  사람들을  가리킨다.  특히 코로나  사태  이후  이런  디지털  노마드가  미국뿐  아니라  전 세계에서  크게  늘고 있다.  사회적  거리 두기  목적으로  집에서  근무를  하거나  사무실 이외  장소에서  원격 근무하도록  주요 기업과  기관들이  나서고 있기 때문이다.  

nomad.jpg
코로나 팬데믹 세상이 도래한 살고 싶은 지역에 주택을 구해 자택근무를 하는 '디지털 노마드'가 늘고 있다. (위키피디어)
 
고정된  일터로  출퇴근하지  않는 대신 직장마다  원격 근무에  관한  규칙이  있다.  사전에  일하는  장소의  주소를  적어 내고  매일  업무 시작  시각과  종료 시각 등을  통보하도록  하고 있다. 

장소 변경도  가능하다.  본사 가까운 자택에서 일하다 외국으로 나가서 일하는 경우도 생기고 있다. 근로자  입장에서는   통근  편의성을  위해  굳이  물가가  비싼  곳에  살  필요가  없게된 것이다. 

생활에  융통성이  생기면서 좀더 조용하고 넉넉한 교외로 이사를 원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이때문에 미국내 소도시들이 노마드 원격  근무자들을  끌어들이기 위해 각종 아이디어를 내놓고 있다.  저렴한 가격에  유리한  거주 조건을  제공하거나  대도시보다  나은  여가 환경을  제안하는 도시도 있다. 

영화 '미나리'를 촬영한 도시로 더 유명해진 오클라호마 털사 같은 도시는 돈을 주기도 한다.  시 이름에  ‘원격’이라는  뜻의  ‘리모트’를  붙여,  ‘털사 리모트(Tulsa Remote)’라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데,  시 당국은 실제로 새로 이사오는 원격 근무자가 털사에 집을 사면 1만 달러 지원금을 지급한다. 

"털사로 이사오면 주택 자금 1만불 지원"

털사  일대  주택  중간값이  약  20만5천 달러로 알려져 있다. 미국에서  보통  집을  살  때  전체 가격의  20%를  선납하는데 1만불은 선납금의  4분의 1에 해당하는 큰 돈이다.  

부동산  관리회사  ‘커먼’은  아예  원격 근무자들이  모여서  살  수  있는  마을을  조성하고  있다.  물가가  싸고  자연환경이  좋으면서  인터넷을  비롯한  통신 기반이  잘  갖춰진  곳을  후보지로  물색하고  있는데,  소도시  다섯 곳이  최종 후보에  올랐다고 한다.  

이 회사가 ‘원격 근무자 마을’을  세울  후보 도시들로 꼽은 곳 가운데 하나는   유타주 오그든이다.  오그든은  솔트레이크 시티  바로  북쪽에  있으면서  그레이트  솔트  레이크라는  큰 호수에  면한  소도시다.  서부 산악 지형인 솔트레이크시티는  2002년  겨울철  올림픽을  개최하기도  했다.  

동부 해안의  노스캐롤리아나주  로키마운트도  최종  후보지  가운데  하나다.  인구  5만4천 명  정도  되는  소도시로, 주도인  랄리에서  차로  한 시간  거리다.  첨단 정보 산업과 연구에 관한  기반도  잘  갖춰져   랄리와  더럼,  채플힐까지  세 도시를  잇는  ‘연구 삼각지대(research triangle)’가  인근에  있다.   듀크대학교 같은  명문 교육시설들도  가까이  자리 잡고  있다.  

남부의  아칸소주  벤턴빌도  최종 후보에  올랐다.  벤턴빌은 인구  6만2천 명 가량의  소도시로 209km에  달하는  산악 자전거  도로를  갖춘  지역이다. 

이렇게  마을까지  조성하는 이유는  원격 근무가  오래  계속될  것이란  예측 때문이다.

코로나  사태가  잦아든  뒤에도  일부  원격 근무를  지속하겠다는  기업이  잇따르고  있다.  정보 통신 업종에서  이런  흐름이  두드러지는데,  ‘구글’은  사무실을  다시  열더라도 20%  정도 인원은  원격 근무를  허용하겠다고  지난달  임직원들에게  밝혔다.  ‘트위터’와  ‘마이크로소프트’ 등도  원격 근무를  선택할  수  있게  했다. 

연방 정부도 이런 흐름이 동참하고 있다. 바이든  행정부는  이번 달에 기관별로  복귀 일정과  규모에  관해  자체  결정을  내리되,  가능한  인원에는  원격 근무와  출퇴근  혼합 근무 등을 선택할  기회를  준다는 계획이다.   
  • |
  1. nomad.jpg (File Size:7.4KB/Download:1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677 캐나다 트랜스 마운틴 파이프라인 공사 파란불 밴쿠버중앙일.. 17.12.12.
2676 캐나다 加, 이스라엘 대사관 텔아비브에 유지 밴쿠버중앙일.. 17.12.12.
2675 캐나다 캐나다 이민 희망한 가장 큰 이유가... 밴쿠버중앙일.. 17.12.12.
2674 미국 세금 후 가격에 팁? … 한인들 ‘눈쌀’ KoreaTimesTexas 17.12.11.
2673 미국 텍사스 플로리다 눈..기상이변 file 뉴스로_USA 17.12.10.
2672 미국 텍사스 플로리다 눈..기상이변 file 뉴스로_USA 17.12.10.
2671 미국 한인등 美이민자 수천명 워싱턴 시위 file 뉴스로_USA 17.12.10.
2670 캐나다 러시아 평창 참가 불허, 캐나다가 강력 주장한 까닭은? 밴쿠버중앙일.. 17.12.08.
2669 캐나다 "산책 나갔다 자칫 바지 적실라..." 밴쿠버중앙일.. 17.12.08.
2668 미국 마이애미 비즈카야 뮤지엄, 약혼 사진 장소 '전국 탑 10'에 코리아위클리.. 17.12.08.
2667 미국 트럼프 세제개편안, 최대 고비 상원서 통과 코리아위클리.. 17.12.08.
2666 미국 백합 등 할러데이 꽃들, 애완동물에게는 ‘독’ 코리아위클리.. 17.12.08.
2665 미국 전 플로리다 연방하원의원 코린 브라운 징역 5년 코리아위클리.. 17.12.08.
2664 미국 공포의 탬파 권총 연쇄살인 용의자 검거 코리아위클리.. 17.12.08.
2663 미국 김홍걸 "북핵 완성 선언은 대화의 신호탄" 코리아위클리.. 17.12.08.
2662 미국 문 대통령, ‘세계 사상가 50인’에 선정 코리아위클리.. 17.12.08.
2661 미국 사상 첫 민주당계 여성시장 탄생 file 뉴스앤포스트 17.12.07.
2660 캐나다 대마초 구매 연령 19세로 밴쿠버중앙일.. 17.12.07.
2659 미국 美LA인근 초대형산불…주민 2만7천명 대피 file 뉴스로_USA 17.12.06.
2658 미국 美이민국 업무지체 심각 뉴스로_USA 17.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