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리슨(Scott Morrison) 총리가 ‘국가 위험 제로’를 최종 목표로 하는 COVID-19 극복 4단계 전략을 발표한 가운데 전문가들은 더 적은 제한과 더 많은 일상에서의 자유를 누리기 위해서는 호주인들이 적극적으로 백신접종에 참여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면서, 이것이 바로 1단계 전략이라고 강조했다. 사진 : Pixabay / sergo75-75
‘국가 위험 제로 4단계 전략’ 발표... 연방정부, “우선은 백신접종 필수”
지난해 초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세계적 대유행으로 선포된 이후 16개월 이상 지속되는 가운데 호주에서는 지역별 록다운, 국경 폐쇄, 다양한 사회적 거리두기 등이 이어져 왔다.
이런 가운데 국가 방역을 주도하는 연방정부는 최근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4단계 전략을 발표했다(한국신문 1450호 참고).
‘국가 위험 제로’를 최종 목표로 하는 이 전략의 핵심은 코로나19를 독감 등 ‘다른 전염병’처럼 관리하는 수준으로의 전환이다. 결국 훨씬 적은 제한, 일상생활에서의 자유를 누리기 위해 호주인들이 적극적으로 백신접종에 참여해야 한다.
모리슨(Scott Morrison) 총리는 “백신을 접종하면 이전과 다르게 생활할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
그렇다면, 얼마나 더 많은 접종이 필요할까. 언제쯤 정부가 계획하고 모든 국민들이 바라는 일(보다 적은 제한, 자유로운 일상 등)이 일어나 정상으로 복귀할 수 있을까.
당분간 엄격한 ‘제한 조치’ 있지만 상황은 나아질 것
정부가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각 단계별로 진행하는 것은 아직 확정하지 않은 특정 예방접종 목표에 도달하는 것이 우선이다. 즉 ‘어느 정도의 호주인들이 접종을 완료해야 하는가’ 하는 것으로, 정부는 이를 산정하기 위해 호주 감염 및 면역연구기관인 ‘도허티연구소’(The Peter Doherty Institute for Infection and Immunity)이 모델링을 확인할 것이라고 말했다.
‘예방접종’ 단계로 알려진 첫 전략은 ‘지금’ 호주인들이 진행하는 상황이다. 현재 단계에서 정부는 ‘바이러스 억제’를 추구하며, 전문가들은 이를 위해 더 많은 호주인이 예방접종을 받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여기에는 광범위한 바이러스 감염 검사, 양성 반응자와의 접촉자 추적, 필요할 경우 특정 지역사회 전체의 봉쇄(lockdown)가 포함된다.
전염병 학자인 멜번대학교(University of Melbourne) 토니 블레이클리(Tony Blakely) 교수는 최근 ABC 방송의 뉴스 팟캐스트(podcast)인 ‘The Signal’에서 “백신접종률이 훨씬 높아질 때까지 우리는 매번 바이러스 전파를 차단해야 하며, 불행하게도 그렇게 하려면 봉쇄(lockdown)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달 둘째 주, 연방정부의 ‘COVID-19’ 극복 4단계 전략을 발표하는 모리슨(Scott Morrison) 총리. 사진 : ABC 방송 뉴스 화면 캡쳐
그러면서 그는 정부의 첫 단계 목표에 대해 “대부분의 호주인들이 코로나19의 심각한 영향으로부터 보호되는 지점에 이르기까지 백신적용 범위를 높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디킨대학교(Deakin University)의 역학자인 캐서린 버넷(Catherine Bennett) 교수는 이에 대해 “아마도 내년까지는 첫 단계가 완료되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하지만 그 이전에 제한조치를 해제하는 진전이 있을 수 있으며 호주 인구의 3분의 1만이라도 백신접종이 완료되면 바이러스의 확산 능력에 ‘측정 가능한 차이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즉 “록다운이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을 수 있지만, 이(높은 접종률)로 인해 우리가 (바이러스 전파 억제를 위한) 우선적 조치로 록다운을 서두를 가능성은 확실하게 줄어들 것”이라는 설명이다.
첫 단계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정부는 백신접종을 완료한 여행자를 대상으로 7일간의 자택 격리 등 해외에서 입국하는 이들을 위한 대안적 검역 과정을 시험적으로 시행한다는 방침이다.
충분한 백신접종률 도달 후에는 봉쇄 해제
‘백신접종’ 다음 과정인 2단계의 초점은 ‘바이러스 억제’에서 ‘심각한 질병, 입원 및 사망 최소화’이다.
이 단계의 조치에 대해서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지만 모리슨 총리는 “예방접종을 받은 이들에 대한 제한조치 및 국경통제를 완화하고, 해외 입국자 한도를 높이고, ‘극단적 상황’에서만 록다운을 결정하는 조치가 포함될 것”이라고 밝혔다.
블레이클리 교수는 “정부가 추진하는 두 번째 단계의 비전은 바이러스의 지역사회 전파를 억제하기 위한 록다운이 필요하지 않고 국경 개방을 결정할 수 있는 수준까지 백신적용 범위를 확보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렇다면 2단계 진입을 위해 어떤 종유의 백신이 필요할까. 보건 전문가들에 따르면, 단일 목표에 도달하는 것은 어려운 문제이다.
집단면역의 한계는 질병에 따라 다르며 COVID-19의 경우 현재 사용 중인 백신, 새로운 종류의 변이 바이러스에 현재의 백신이 얼마나 효과적인지 등에 따라 또한 달라진다.
정부는 어느 정도의 백신접종률이 필요할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으면서, 관련 연구소의 모델링을 참고할 것이라고 밝혔다. 사진은 접종 클리닉에서 COVID 백신접종을 하는 의료진. 사진 : Pixabay / KitzD66
호주에서는 지금까지 집단면역에 대한 추정치가 약 80%를 맴돌고 있다. 하지만 블레이클리 교수의 모델링을 보면 ‘델타’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지금의 COVID 백신의 효과 감소는, 집단면역을 달성하기 위해 80% 이상의 국민들이 예방접종을 받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블레이클리 교수는 “지금의 COVID 백신은 훌륭하지만 완벽하지는 않다”고 말한다. 그의 의견은, 이를(집단면역) 달성할 가능성이 적다는 것이다. 그는 이어 “그렇지만, 우리가 집단면역을 이루기 위해 예방접종에만 의지할 필요는 없다”고 덧붙였다.
백신은 필수이지만 유일한 도구는 아니다
높은 백신 보급률 외에도 감염자와의 접촉자 추적, 사회적 거리두기, 안면 마스크 착용 등을 지속하는 경우 호주가 ‘개방’으로 나가는 안전한 지점에 도달할 것이라고 말했다.
블레이크 교수는 “백신접종은 필요하지만 충분하지는 않다”며 “따라서 우리가 설정한 예방접종 목표에 도달하더라도 이전 조치의 일부를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즉 접촉자 추적, 출입하는 공공 장소에서의 QR 코딩을 계속해야 하며 대중교통, 사람이 많은 실내 환경 등 고위험 장소에서의 안면 마스크 착용을 계속해야 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하지만 얼마나 오랜 기간 이런 상태를 이어가야 하는가에 대해 블레이클리 교수는 “단정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예상하는 것은, 호주가 개방으로 간다는 것”이라고 언급한 그는 “우리는 지역사회에서의 산발적인 감염자 발생을 보게 되고, 또 사망자도 나올 것”이라며 “많지는 않지만 어느 시기까지는 그렇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블레이클리 교수는 “이는 우리 모두에게 (바이러스 극복의) 기회가 될 것이고 우리는 더욱 많은 이들이 백신접종에 참여하는 것을 볼 것”이라고 말했다.
“언젠가 우리는 코로나19를 ‘독감처럼’ 다루게 될 것”
통합 과정으로 알려진 정부의 세 번째 단계는 모리슨 총리가 발표한 대로 ‘호주가 코로나19를 독감처럼 치료하기 시작할 수 있는 시기이다.
3단계의 잠재적 조치에는 록다운을 시행하지 않고 해외에서 호주로 입국하는 여행자 수 한도의 폐지, 백신접종 완료자 대상으로 해외여행 허용이 포함된다.
버넷 교수는 “이 단계에서 보건당국은 더 이상 ‘바이러스에 노출된 모든 이들을 추적하거나 격리하지 않을 것”이라며 “(보건당국은) 하지만 감시를 계속하고 도 새로 나타나는 변이 바이러스에 대해서도 주시하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블레이클리 교수는 “중요한 것은, 3단계까지 백신 부스터 프로그램(vaccine booster program)이 도입될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 중 대부분은 백신접종을 받은 후에도 바이러스에 대해 면역력이 약해진 것을 보충하고자 매년 백신을 접종받을 것이고 또한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도 다루어 나갈 것”이라는 설명이다.
현재 호주의 COVID-19 백신공급은 저조한 수준으로, 정부가 계획한 4단계 전략 가운데 현재의 1단계를 넘어 다음 전략으로 가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사진 : Pixabay / WiR_Pixs
정부 계획의 네 번째이자 마지막 단계는 ‘정상으로의 복귀’를 의미하지만 백신접종을 완료한 이들에게만 검역이 면제되는 것과 같은 전염병의 일부 잔재는 잠정적으로 남아 있음을 전제로 한다.
블레이클리 교수는 “일반적으로 다른 유행병 이후 일어났던 것처럼 앞으로 일어날 일은 바이러스가 계속 변이되는 것이지만, 어느 시점에서는 덜 치명적으로 되어 질병과 사망률을 높일 가능성은 줄어든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그는 COVID 이전의 정상으로 돌아가기까지는 비교적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하면서 구체적으로 어느 정도인지에 대해서는 확신할 수 없다는 의견을 전했다.
미흡한 부분에 대한 해결
호주는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현재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국경을 봉쇄하고 있다. 때문에 이의 개방 계획에 대한 논의는 필수적이지만 NSW대학교 전염병 전문가 라이나 매킨타이어(Raina MacIntyre) 교수는 “지금의 백신접종률 개선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현재 호주는 충분한 백신을 (국민들에게) 제공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것이 최우선 과제가 되어야 한다”고 못박았다. 매킨타이어 교수에 따르면 현재의 백신공급 제약으로 정부 계획처럼 2단계 전략으로의 진행에 필요한, 높은 수준의 백신접종률을 얻는 데에는 2022년까지 가야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 종합(back to normal 1).jpg (File Size:142.4KB/Download:17)
- 종합(back to normal 2).jpg (File Size:48.1KB/Download:17)
- 종합(back to normal 3).jpg (File Size:82.6KB/Download:18)
- 종합(back to normal 4).jpg (File Size:78.3KB/Download: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