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VID Alert app - Government of Canada

캐나다 연방정부는 앱 사용자에게 코로나19 노출을 알리기 위해 설계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에 2천만 달러를 투자했지만, The Canadian Press에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투입된 노력과 비용에 비해 효과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말 여러 주에서 도입된 연방정부의 COVID Alert 앱은 블루투스를 사용하여 모바일 기기에 앱을 설치한 다른 사람들과의 근접성을 감지하고, 사용자가 코로나19 양성 반응을 보인 사람과 밀접한 접촉이 있을 때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앱이다.

 

해당 앱은 약 660만 명의 사람들이 다운로드했으며 이는 캐나다인 5명 중 1명에 해당한다. 현재 캐나다에서 3천만 명 이상의 휴대폰 사용자가 등록되어 있다. 맥길대학 메디컬센터(McGill University Health Centre)의 에슬리 오스마닐루(Esli Osmanlliu) 박사에 따르면, 비교적으로 적은 수의 캐나다인들이 이 앱을 사용하면서 실망스러운 결과를 초래했다고 전했다.

 

디지털 의료서비스 이니셔티브의 전문가인 오스마닐루 박사는 최근 인터뷰에서 “돌아보면 전혀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라고 언급했다.

 

The Canadian Press가 검토한 서류에 따르면 앱 예산의 대부분인 1,590만 달러가 홍보와 광고에 투입되었으며, 앱 개발과 유지 및 보수에 350만 달러가 추가로 투자했다.

 

연방정부는 2020년 9월 출시된 앱임에도 불구하고 2월 이후에 자료만 수집할 수 있었다. 2월 25일부터 5월 31일까지 앱을 통해 약 7만건의 노출 알림이 발생했지만, 데이터가 한 사람에 대한 여러번의 알림을 포함하는지 여부 (예: 정기적으로 코로나19 노출되는 의료 종사자 등)는 분명하지 않다.

 

오스마닐루 박사는 낮은 참여율(다운로드 횟수와 다운로드 받은 사람들의 코로나 확진 신고율)이 주요한 원인이며, 데이터를 살펴보면 COVID Alert 앱이 바이러스 확산을 늦추고 사람들의 경각심을 일깨우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분명히 알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이에 연방정부는 COVID Alert앱이 코로나19 관련 중요한 수단이 아닌 캐나다인들 사이에서 코로나19 확산을 늦추도록 돕기 위해 이용할 수 있든 많은 수단 중 하나일 뿐이라고 설명했다.

 

오스마닐루 박사는 앱이 더 작은 규모 시설 혹은 더 명확하게 규정된 상황에서 잠재적으로 더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고 하며, 요양시설, 학교 또는 필수 근로자들 사이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몬트리올 한카타임즈

  • |
  1. break-the-chain-pink-1200x1200-en-696x696.jpg (File Size:47.2KB/Download:1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557 캐나다 코로나19 상황, 이젠 한국보다 캐나다가 더 안전 file 밴쿠버중앙일.. 21.07.15.
2556 캐나다 넬리 신 의원, 에린 오툴 보수당 대표와 밴쿠버 사업가 고충 경청 file 밴쿠버중앙일.. 21.07.16.
2555 캐나다 밴쿠버 한인신협, 올해 세계한인의 날 포상 대상 후보로 선정 file 밴쿠버중앙일.. 21.07.16.
2554 캐나다 필수 인력 9만 명 및 유학생, 영주권 신청 중 취업 자격 유지 file 밴쿠버중앙일.. 21.07.16.
2553 캐나다 7월 6일부터 백신접종 주기 4주로… 2차 접종 예약 재변경 가능 file Hancatimes 21.07.17.
» 캐나다 200억 투자한 COVID Alert 앱 “결과는 여전히 기대에 못미쳐” file Hancatimes 21.07.17.
2551 캐나다 메리 사이먼, 원주민 출신 최초 캐나다 총독으로 임명 file Hancatimes 21.07.17.
2550 캐나다 퀘벡주 12일부터 상점에서 사회적 거리두기 및 이용객 제한 완화 file Hancatimes 21.07.17.
2549 캐나다 최근 캐나다에서 발견된 “람다 변이”에 대해 file Hancatimes 21.07.17.
2548 캐나다 퀘벡주 9월부터 “백신여권” 시스템 본격 도입 file Hancatimes 21.07.17.
2547 캐나다 수용 인원 제한 완화에 한시름 놓은 퀘벡주 소매업체들 file Hancatimes 21.07.17.
2546 캐나다 FDA, 얀센 백신 부작용으로 신경성 질환 가능성 언급 file Hancatimes 21.07.17.
2545 캐나다 캐나다, 개발도상국에 AZ 백신 1,770만 회분 기증...백신 구매 자금 지원도 file Hancatimes 21.07.17.
2544 캐나다 퀘벡주, 이전 COVID-19 감염자에게도 2차 백신 접종 허용 file Hancatimes 21.07.17.
2543 캐나다 12세 미만 어린이 COVID-19 백신접종은 언제쯤? file Hancatimes 21.07.17.
2542 캐나다 트뤼도 총리, 가스페 지역 풍력 발전소에 2,500만 달러 투자 발표 file Hancatimes 21.07.17.
2541 캐나다 연방-퀘벡주 정부, 항공우주산업에 대규모 투자 file Hancatimes 21.07.17.
2540 캐나다 접종률 상위국들 변이확산에 결국 봉쇄 재강화... BC주의 미래는? file 밴쿠버중앙일.. 21.07.17.
2539 캐나다 BC주 의무교육에 '반인종주의' 포함 논의 file 밴쿠버중앙일.. 21.07.17.
2538 캐나다 한인 비즈니스 창업 설명회, 다양한 정보와 성공 노하우 제공 file 밴쿠버중앙일.. 21.0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