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f7ee955c67b4e108f2b801113c5990a.gif

 

제97주년 3.1절을 맞아 연아마틴 상원의원이 3.1절 독립운동 기념 성명서를 발표했다. 연아마틴 상원의원은 성명서를 통해 3.1운동을 했던 순국 선열들의 독립 정신은 지금 한국인들의 긍지와 정신력의 원천이 되었고, 지금의 우리의 자유가 쉽게 얻어 진 것이 아님을 3.1절을 통해 다시 한번 깨닫게 되었다고 밝혔다. 성명서 전문은 본지 온라인 사이트에서 볼 수 있다.(www.joongang.ca)

 

다음은 성명서 전문이다. 

 

10 년의 가까운 일본의 군사적 지배와 식민 정책에 맞서 1919 년 3 월 1 일 대한민국 국민들은 정신력, 유대감, 투쟁 그리고 용기로 하나가 되어 그들의 자유, 자결권, 그리고 민족에 대한 고유 권리를 위해 싸웠습니다.

 

운명적인 오후 2 시, 33 명의 민족 대표들은 얼마 전 파리 평화회의에서 수용된 민족 자결권(自決權)에 대해 서술 되어 있는 미국 윌슨 대통령의 ‘14 개조(Fourteen Points)가 바탕이 된 독립선언서를 낭독 하기 위해 모였습니다. 독립선언서는 1,500 개가 넘는 비폭력 평화 투쟁을 전국적으로 확산되게 하였으며 이 민중운동은 한국의 독립을 가져다 주지는 않았지만 민족의식을 높이는데 기폭제 역할을 하였으며 1919 년 상하이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수립되는 역할을 하였습니다. 오늘 ‘3.1 절’은 한국의 독립을 위하여 독재를 향해 용감하게 맞선 200 만 명이 넘는 분들과 한국의 독립을 희망하며 목숨을 바친 수천명의 국민들을 기리는 날입니다.

 

3.1 운동은 많은 순국선열들과 영웅들을 만들어 내었습니다. 그 순국선열 중에 한 분이신 유관순 열사는 어린 고등학생 신분으로 고향인 천안에서 독립운동의 선봉자 역할을 하셨습니다; 유관순 열사는 4 월 1 일 아우내 장터에서 수천 명의 만세운동의 관중들을 용감하게 지위하셨습니다.

 

그녀의 부모님은 운동 당일 일본 헌병들이 쏜 총에 맞아 피살되셨습니다. 서대문형무소에서 복역하는 동안에도 대한민국의 자유를 위해 싸우시며 1920 년 3 월 1 일 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하셨습니다. 유관순 열사는 고문으로 망가진 몸을 뒤로한 채 1920 년 9 월 28 일 감옥 안에서 생을 마감하셨지만 그녀의 정신은 절대로 굴복되지 않았습니다. 유관순 열사는 한국의 독립운동의 상징이 되셨으며 지금의 한국인들의 긍지와 정신력의 원천이십니다.

 

독립운동 당시 캐나다 선교사, 수의사이자 학자인 프랭시스 (프랭크) 윌리엄 스코필드 박사는 대한민국 국민들을 지원하고 옆에서 함께 서있었습니다. 스코필드 박사는 그의 독립 활동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일본의 식민지 지배에 비판하였습니다. 스코필드 박사는 한국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본의 군사적 만행에 대해 확실한 증거를 제공하고 3.1 운동을 기록하며 세계의 관심을 이끄는 역할을 하였습니다.

 

스코필드 박사는 캐나다와 한국의 깊고도 지속되는 신의와 친선 관계의 상징이십니다. 한국은 그를 국가 영웅으로 기억하며 ‘34 번째 민족대표’라는 타이틀을 선사하였습니다. 외국인으로서는 유일하게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되셨습니다.

 

한국전쟁 65 주년을 기념하고 1919 년의 3 월 1 일 독립운동을 기리며, 자유는 자유롭게 이뤄지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다시 한번 깨닫습니다.[밴쿠버 중앙일보]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250 미국 재미과기협, 청년과학기술자 리더십 학술대회 코리아위클리.. 19.12.09.
3249 미국 워싱턴서 영아티스트 송년음악회 file 뉴스로_USA 19.12.06.
3248 미국 재미 플로리다대한체육회 출범 코리아위클리.. 19.12.02.
3247 미국 재외동포재단, '재외동포사회 지원사업' 수요 조사 코리아위클리.. 19.12.02.
3246 미국 뉴욕서 기독교 불교 원불교 성탄예배 눈길 file 뉴스로_USA 19.12.02.
3245 미국 해외동포들, 이주연 재미평화활동가 입국금지 해제 요청 file 뉴스로_USA 19.11.30.
3244 미국 워싱턴서 웹툰원작 영화 상영회 file 뉴스로_USA 19.11.28.
3243 미국 장익군 평통 회장, “한민족이 꾸는 꿈에 따라 민족의 미래 바뀔 것” 코리아위클리.. 19.11.27.
3242 미국 이노비 홀리데이 아웃리치 콘서트 시리즈 file 뉴스로_USA 19.11.27.
3241 미국 내년 한국 총선에 참여하려면 유권자 등록해야 코리아위클리.. 19.11.27.
3240 미국 서북부플로리다한인회, 제13대 한인회장 입후보 공고 코리아위클리.. 19.11.27.
3239 캐나다 이유식 시인, 신간 ‘뿌리’ 발표 file CN드림 19.11.27.
3238 캐나다 만나봅시다) 이영수 민주평통 에드먼튼 분회장 CN드림 19.11.26.
3237 캐나다 캘거리 한인아트클럽 오픈하우스 가져 file CN드림 19.11.19.
3236 캐나다 플레어사 상공의 날 맞아 모국 산자부 장관 표창 받아 file CN드림 19.11.19.
3235 캐나다 한국어 말하기 대회와 케이팝 콘테스트 성대히 열려 file CN드림 19.11.19.
3234 캐나다 캘거리 한인오케스트라 정기 연주회 열려 file CN드림 19.11.19.
3233 미국 워싱턴서 한국공연주간 행사 file 뉴스로_USA 19.11.16.
3232 미국 서민호 연합회장, "서로 사랑하고, 위로하고, 일으키자” 코리아위클리.. 19.11.15.
3231 미국 잭슨빌-창원, '35년 자매결연' 맞아 성대한 행사 코리아위클리.. 19.1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