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전기차 1).jpg

자동차 운용 비용의 효율성 측면에서 전기차(EV)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호주 전체로 볼 때 현재 EV는 신차 판매의 0.7%로 아직은 많지 않은 편이지만 멜번과 시드니 등 대도시에서는 EV 등록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사진은 현대자동차가 내놓은 새 전기차 모델 ‘IONIQ 5’. 사진 : Hyundai Motor Company

 

호주통계청 자료... 멜번 최다, 시드니 및 도심 인근은 네 번째

 

호주 전역 각 지역(suburb) 가운데 전기차 보유가 가장 많은 곳은 어디일까.

기후변화에 대한 위기감이 고조되고 탄소배출 제로를 실현하려는 움직임이 가시화되면서 자동차 구매자들 사이에서도 전기차량에 대한 관심이 한층 커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최근 호주 통계청(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ABS)이 호주 각지의 전기차 등록 현황 집계, 눈길을 끌었다.

ABS는 이 수치를 집계하면서 순수 전기차(electric vehicle. EV)는 물론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lug-in hybrid. PHEV)를 포함시켰다. 이 차량은 내연기관 작동 전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배터리 팩을 한 번 충전하여 최대 50킬로미터를 주행할 수 있다.

ABS 자료를 보면 EV 등록이 많은 상위 10개 지역 중 하나를 제외하고 모두 NSW 및 빅토리아 주에 집중됐다. 이는 호주 인구의 절반이 거주하며 또한 EV를 위한 충전 인프라가 다른 지역에 비해 잘 구축되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가장 많은 EV 보유 지역은 멜번(Melbourne city. 우편번호 3000)으로 현재 145대의 EV가 등록되어 있다. 현재 멜번 시티를 주소지로 등록된 전체 차량은 2만2,591대로, EV 비율은 0.64%를 차지한다. 멜번 CBD(Central Business District)의 낮은 EV 비율은 주차 공간을 가진 주거지가 많지 않다는 것도 하나의 요인으로 풀이된다.

보유 차량 수로는 멜번 시티가 가장 많았지만 지역별 전체 자동차 가운데 EV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빅토리아 주 더리무트(Derrimut) 및 레이버튼 노스(Laverton North)로 전체 차량 3,720대 가운데 EV는 102대, EV 비율은 2.74%이다.

NSW 주에서 EV 보유가 가장 많은 지역은 시드니 도심(Sydney city)과 인근 지역(Barangaroo, Dawes Point, Haymarket, Millers Point, The Rocks)으로 총 102대의 EV가 등록되어 있다. 이 지역 전체 차량 1만8,888대 가운데 EV 비율은 0.54%이다.

NSW 주에서 두 번째로 EV 등록이 많은 지역 또한 광역시드니로, 동부(eastern suburbs)의 도버헤이츠(Dover Heights), 로즈베이 노스(Rose Bay North), 버클루즈(Vaucluse), 왓슨베이(Watsons Bay)였으며, 현재 등록되어 있는 EV는 85대이다. 이 지역 전체 차량 9,550대와 비교하면 EV 비율은 0.94%였다.

 

부동산(전기차 2).jpg

최근 호주 통계청(ABS)이 집계한 호주의 EV 등록 현황에 따르면 빅토리아(Vitoria)와 NSW 주에서 전기차 이용이 가장 많았다. 이는 EV에 필요한 충전소 등의 인프라가 다른 지역에 비해 앞서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사진 : Pixabay / MrsBrown

 

빅토리아와 NSW 주 외 유일하게 상위 10개 지역 중 하나를 차지한 곳은 남부호주(South Australia)였다. 플린더스대학교(Flinders University)가 자리한 애들레이드(Adelaide) 남부 베드포드 파크(Bedford Park)를 비롯해 클로벌리 파크(Clovelly Park), 파사데나(Pasadena), 세인트 매리스(St Marys), 톤슬리(Tonsley)에 등록된 EV는 127대로, 수치만으로는 두 번째이다. 이들 지역의 전체 차량은 7,862대로, EV 비율은 1.72%였다.

특히 플린더스대학교는 교직원이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업무용 EV로 현대자동차의 ‘아이오닉’과 ‘코나 일렉트릭’ 등 10여 대를 보유하고 있으며 대학 내에 13개의 전기차 충전소를 갖고 있다.

멜번에 기반을 둔 교통-운송 관련 컨설팅 사인 ‘Institute for Sensible Transport’의 엘리엇 피시먼(Elliot Fishman) 박사는 “호주인들의 EV 선택은 두 가지 요소를 기반으로 한다”고 설명했다.

“지난 1년 사이 호주에서의 전기차 비율 증가는 상당히 강했다”는 피시먼 박사는 “이는 자동차 소유에 따른 비용절감 및 배기가스 감소 등 EV의 이점과 기능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음을 반영하는 것”이라며 “또한 보다 강력한 배터리 범위는 물론 저렴해진 차량 가격 등 사용 가능한 모델이 증가한 결과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또 다른 요소로 그는 “급속충전 네트워크가 확대됨에 따라 장거리 여행에서 EV 차량 이용이 가능해졌고 비용 효율적이라는 것이 이용자들에게 확신을 주고 있다”는 점을 꼽았다.

피시먼 박사는 이처럼 탄소배출이 없는 자동차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고 있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는 의견이다. 호주 전체로 볼 때 현재 EV는 신차 판매의 0.7%에 불과하다. 이런 상황에서 피시먼 박사는 “아직은 가격이 높은 EV에 대한 세금이나 인지세 면제, 기타 전기차 초기 비용을 낮추어주는 지원 등 EV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취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들이 있다”는 말로 전기차 확산을 위한 정부 조치가 필요함을 강조했다.

 

■ 전기차 등록

상위 10개 지역

(Suburbs / State : 등록 대수 / 전체 등록차량 / 전체 차량 중 EV 비율)

1. Melbourne / Vic : 145 / 22,591 / 0.64

2. Bedford Park, Clovelly Park, Flinders Uni, Pasadena, St Marys, Tonsley / SA : 127 / 7862 / 1.62

3. Derrimut, Laverton North / Vic : 102 / 3720 / 2.74

4. Sydney, Barangaroo, Dawes Point, Haymarket, Millers Point, The Rocks / NSW : 102 / 18,888 / 0.54

5. Mulgrave, Waverley Gardens / Vic : 100 / 18,875 / 0.54

6. Bangholme, Dandenong, Dandenong East, Dandenong North, Dandenong South, Dunearn / Vic : 97 / 38,642 / 0.25

7. Burnley, Burnley North, Cremorne, Richmond, Richmond East, Richmond North, Richmond South / Vic : 93 / 26,483 / 0.35

8. Gladstone Park, Gowanbrae, Tullamarine / Vic : 90 / 30,915 / 0.29

9. Dover Heights, Rose Bay North, Vaucluse, Watsons Bay / NSW : 85 / 9055 / 0.94

10. Hawksburn, Toorak / Vic : 75 / 10,088 / 0.74

*이 집계는 ABS 자료를 기반으로 멜번 소재 ‘Institute for Sensible Transport’이 정리한 것임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부동산(전기차 1).jpg (File Size:62.9KB/Download:13)
  2. 부동산(전기차 2).jpg (File Size:122.8KB/Download:14)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601 호주 NSW 주 정부, 전력망의 49% 민간에 임대 호주한국신문 14.06.12.
6600 호주 NSW 교통부장관, “시드니 고속철도 건설, 3년 내 착수” 호주한국신문 14.06.12.
6599 호주 ‘Y 세대’ 수요증가로 시드니 지역 아파트 건설 붐 호주한국신문 14.06.12.
6598 호주 한인회, 일본 및 중국정원 탐방 호주한국신문 14.06.12.
6597 호주 지난 주 부동산 경매 낙찰률 75.6%, 다소 낮아져 호주한국신문 14.06.20.
6596 호주 한국현대미술전, 카나본 골프클럽서 개막 호주한국신문 14.06.20.
6595 호주 NSW 주 고교연합, 세월호 피해자 ‘위로 메시지 북’ 제작 호주한국신문 14.06.20.
6594 호주 ‘행복을 전하는 한국민화’, 이번엔 어번 시에서 호주한국신문 14.06.20.
6593 호주 텔스트라(Telstra), ‘홈 번들-글로벌’ 상품 출시 호주한국신문 14.06.20.
6592 호주 “전 세계 시민단체와 논의, ‘G20’ 의제 결정할 것” 호주한국신문 14.06.20.
6591 호주 신종 마약 ‘스냅챗’ 복용으로 병원 치료 호주한국신문 14.06.20.
6590 호주 시드니 이너 시티 및 다윈, 실업률 가장 낮아 호주한국신문 14.06.20.
6589 호주 온라인 데이트 사기, “돈 잃고 마음 다치고...” 호주한국신문 14.06.20.
6588 호주 비만, 폭음 등으로 젊은 층 심장질환자 늘어 호주한국신문 14.06.20.
6587 호주 “길거리 스마트폰 문자 사용, 사고위험 높다” 경고 호주한국신문 14.06.20.
6586 호주 도심 및 유흥지구 대상 강화된 음주법 관련 호주한국신문 14.06.20.
6585 호주 아동 및 청소년 대상 카운셀러들, ‘업무 과다’ 호주한국신문 14.06.20.
6584 호주 호주의 검은 심장 ‘The Block’ 철거 호주한국신문 14.06.20.
6583 호주 NSW 주 예산안, 취약 계층을 위해 10억 달러 사용 호주한국신문 14.06.20.
6582 호주 달링스퀘어(Darling Square) 1차 분양, 하루 만에 ‘완판’ 호주한국신문 14.06.26.
6581 호주 “세월호 참사를 잊는 순간이 바로 제2의 참사입니다” 호주한국신문 14.06.26.
6580 호주 “언어 학습은 가정에서 시작됩니다” 호주한국신문 14.06.26.
6579 호주 김봉현 주호주대사 빅토리아 주 공식 방문 호주한국신문 14.06.26.
6578 호주 조선시대 화가들의 작품, ‘현대’로 재탄생되다 호주한국신문 14.06.26.
6577 호주 “평화헌법 입법 취지와 진정성 유린 말라” 호주한국신문 14.06.26.
6576 호주 한국문화원, ‘한식요리 경연’ 시드니 예선 개최 호주한국신문 14.06.26.
6575 호주 연방 정부, 테러 방지 위해 새 여권 도입 호주한국신문 14.06.26.
6574 호주 불법 바이키 갱 ‘헬스엔젤스’ 조직원 습격당해 호주한국신문 14.06.26.
6573 호주 ‘초이스’(choice), 아이들 인기 간식 영양 평가 발표 호주한국신문 14.06.26.
6572 호주 NSW 주 정부, 시드니 새 열차라인 계획 발표 호주한국신문 14.06.26.
6571 호주 주 정부의 부동산 매입 보상금, 현실성 떨어져 호주한국신문 14.06.26.
6570 호주 법원, 론 울프 바이키 갱 살해범에 징역 20년 구형 호주한국신문 14.06.26.
6569 호주 이집트 법원, 호주인 기자 등에 징역 7년형 선고 호주한국신문 14.06.26.
6568 호주 항우울제 등 신경치료제 복용 아동 크게 증가 호주한국신문 14.06.26.
6567 호주 서방국가들, 아랍계 자국민의 ISIS 합류로 ‘골치’ 호주한국신문 14.06.26.
6566 호주 ISIS는 어떤 세력인가... 호주한국신문 14.06.26.
6565 호주 호주인들, 수명 길어진 반면 만성질환도 많아 호주한국신문 14.06.26.
6564 호주 시드니, 새 아파트 수요 높아... 주택시장 활기 입증 호주한국신문 14.07.03.
6563 호주 6월 마지막 주 부동산 경매 낙찰률 74.1% 기록 호주한국신문 14.07.03.
6562 호주 “한인 동포를 비롯한 은행 고객들에게 감사...” 호주한국신문 14.07.03.
6561 호주 ‘코윈’ 호주지회, ‘건강’ 주제의 정기 세미나 마련 호주한국신문 14.07.03.
6560 호주 한인회, ‘문화 예술의 전당’ 순조로운 진행 기원 호주한국신문 14.07.03.
6559 호주 한국문화원, ‘Good Food & Wine Show 2014’ 참가 호주한국신문 14.07.03.
6558 호주 인종차별법을 둘러싼 조지 브랜디스와 ‘IPA’의 오류 호주한국신문 14.07.03.
6557 호주 UTS, 최신 영어교육 프로그램 한국 보급키로 호주한국신문 14.07.03.
6556 호주 퀸즐랜드 한인회, 영사관 민원업무 대행 협약 호주한국신문 14.07.03.
6555 호주 캠시 주민들과 만난 봅 카 전 NSW 주 수상 호주한국신문 14.07.03.
6554 호주 NSW 공정거래부, 비승인 USB 충전기 판매 조사 호주한국신문 14.07.03.
6553 호주 “다민족 사업자 지원 위한 산업자문관 임명 계획” 호주한국신문 14.07.03.
6552 호주 어번타운센터, 업그레이드 공사 마치고 공식 ‘오픈’ 호주한국신문 14.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