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0-758783364_O4G7Zols_f6cbe2f77ac697bf

2단계에 걸쳐서 질병과 상해 종류 확인

개정 근로기준법 내년 1월 1일부터 시행

 

758783364_f2BMYAQV_8d390024be7cef8b275a72d982fc5f34e8e929d9.jpg

BC주 정부가 노동자의 안정적인 직장 유지를 목적으로 발의한 '영구 유급 병가'에 대해 주민의 의견을 듣기 시작했다.

 

BC주의 해리 베인스 노동부 장관은 “세계적 대유행으로부터 얻은 가장 중요한 교훈의 하나는 노동자가 몸이 아플 때는 질병의 전파를 막고 직장의 안전과 생산성을 유지하기 위해 집에서 쉬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라며, “그러나, 특히 병가 혜택이 없는 저임금의

노동자를 비롯하여 많은 노동자가 질병이나 상해로 결근 할 경우 임금을 상실하기 때문에 병가를 내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런 이유로 베이슨 장관은 "BC주정부가 '영구 유급 병가 제도(BC's Permanent Paid Sick Leave)' 입법화를 추진 중이고, 이에 따라 이 법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주민들의 의견을 듣고자 한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주민 의견 수렴을 위한 사이트(engage.gov.bc.ca)를 개설했는데, 주정부는 2단계로 나누어 시민의 의견을 받을 예정이다. 

 

8월 5일부터 9월 14일까지 진행되는 1 단계에서는 현재 제공되고 있는 유급 질병/상해 휴가의 종류, 노동자의 필요를 충족하는 방식 등에 관하여 고용주 및 노동자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설문조사이다.

 

9월 20일부터 10월 25일까지 진행 예정인 2 단계에서는 설문조사에서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유급 병가일수 및 기타 지원 등, 다양한 유급 병가 모델에 대한 여러 가지 옵션의 초안을 만든 다음 공시하여 공공의 피드백 및 의견 수렴을 하게 된다.

 

베인스 장관은 “아픈 몸을 이끌고 출근할 것인지, 아니면 임금을 상실할 것인지 선택해야 하는 일은 있을 수 없는 것”이라며, “유급 병가는 기업과 노동자와 우리 지역사회에 좋은

것이다. 사람과 기업을 지원함으로써 우리는 BC 주의 경제 회복을 촉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주정부는 지난 5월, 고용기준법(Employment Standards Act) 개정안이 영구 유급 병가 혜택에 대한 최저 기준 수립의 토대를 구축했다. 공공 참여가 완료된 후, 규정을 통해 유급 병가가 제도화되고 2022년 1월 1일에 발효될 예정이다.

 

고용기준법 개정은 2021년 12월 31일까지 최장 3일간의 휴가를 주는 임시 코로나10(COVID-19) 유급 병가 프로그램의 토대가 되기도 했다. 세계적 대유행의 영향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정부는 고용주들에게 노동자 임금 보조 명목으로 노동자 1명당 최고 하루 200달러를 지급한다.

 

현재 BC 주 전체 고용인의 50%가 유급 병가 혜택을 누리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즉, BC 주 노동자 100 만 명 이상이 이 신설 유급 병가의 혜택을 누리게 된다.

 

많은 취약 및 저임금 노동자(흔히 부녀자 또는 이주 노동자)가 유급 병가를 받지 못했기 때문에 이 제도가 시행되면 이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됐다.

 

공공 협의 참여: engage.gov.bc.ca/paidsickleave/ko/home

BC 주 고용 기준: https://www2.gov.bc.ca/gov/content/employment-business

 

밴쿠버 중앙일보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477 캐나다 써리 여성 성추행 사건 재발 밴쿠버중앙일.. 17.10.20.
2476 캐나다 밴쿠버에 새로운 축제 열려... 스쿠컴 뮤직 페스티벌 밴쿠버중앙일.. 17.10.20.
2475 캐나다 퍼니 실내체육관서 암모니아 누출 3명 사망 밴쿠버중앙일.. 17.10.20.
2474 캐나다 캐나다 유소년 일일 운동량 절대 부족 밴쿠버중앙일.. 17.10.20.
2473 미국 릭 스캇 주지사, 백인우월주의자 집회에 비상사태 선포 코리아위클리.. 17.10.19.
2472 미국 디즈니월드 엡캇 센터 음식 축제 갈수록 인기 코리아위클리.. 17.10.19.
2471 캐나다 가을 폭풍우로 BC주 곳곳 전력 불통 밴쿠버중앙일.. 17.10.19.
2470 캐나다 "중소기업세 인하보다 더 큰 문제는..." 밴쿠버중앙일.. 17.10.19.
2469 캐나다 '우버' BC주서 당분간 보기 어렵다 밴쿠버중앙일.. 17.10.19.
2468 캐나다 밴쿠버 암표 없어지려나... 내년초 법안 마련 밴쿠버중앙일.. 17.10.19.
2467 캐나다 하늘에서 보는 유콘 오로라! 에어 노스 오로라 360 밴쿠버중앙일.. 17.10.19.
2466 캐나다 중소기업세 공약대로 9%로 인하 밴쿠버중앙일.. 17.10.18.
2465 캐나다 "담배 때문에" 연간 연간 162억 달러 지출 밴쿠버중앙일.. 17.10.18.
2464 캐나다 "새로 선출된 교육위원, 교육만 생각해야" 밴쿠버 학부모 일침 밴쿠버중앙일.. 17.10.18.
2463 캐나다 밴쿠버교육위 협치 정책으로 나아갈 듯 밴쿠버중앙일.. 17.10.18.
2462 캐나다 새로운 도약을 위한 다양한 시도에 환호 밴쿠버중앙일.. 17.10.18.
2461 캐나다 빌 스미스 후보, 선거 막판 독주 태세 CN드림 17.10.17.
2460 캐나다 고속도로선 겨울용 타이어... 코퀴할라 하이웨이 폭설 통제 밴쿠버중앙일.. 17.10.17.
2459 캐나다 스탠리파크 명물 바위, 이름 바뀐다 밴쿠버중앙일.. 17.10.17.
2458 캐나다 시어스 떠나는 직원들 어디로 가나... 법원 파산보호신청 허가 밴쿠버중앙일.. 17.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