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포스트>, 메사추세츠 프로빈스타운 사례 밝혀

 

 

line.jpg
▲ 플로리다주 올랜도 콜로니얼 선상의 임시 접종소에서 차례를 기다리고 있는 주민들. ⓒ 코리아위클리
 
(올랜도=코리아위클리) 김명곤 기자 = 백신접종자도 미접종자와 동일하게 코로나 바이러스를 옮길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연방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매사추세츠 주에서 최고의 예방접종률을 자랑하는 케이프 코드의 해변 관광지인 프로빈스타운에서 조사를 실시했다.

CDC 조사는 술집, 식당, 게스트하우스, 임대주택 등 실내외에서 벌어진 축제와 연계된 약 470건의 코로나19 감염사례 가운데 일부에 대해 테스트를 실행했다. 그결과 백신접종을 완료한 사람들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게서 거의 동일한 수치의 바이러스 양을 발견했다.

이 같은 사실은 지난달 30일 <워싱턴포스트> 모종의 경로를 통해 CDC의 내부문서를 입수하면서 드러났다.

연방보건당국의 이번 조사결과는 질병이 어떻게 확산되는지에 대한 과거의 통념을 뒤엎을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이전에는 백신접종을 받은 사람은 바이러스 수치가 낮아서 다른 사람을 전염시킬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델타 변종이 확산하면서 이러한 통념이 뒤집어질 찰나에 있다.

다른 주들과 마찬가지로 매사추세츠 주는 전통적인 메모리얼 데이 연휴 기간을 앞둔 5월 말에 모든 코로나19 규제를 해제했다. 더구나 7월 4일 독립기념일을 맞아 많은 인파가 해변에 몰려들었다.

그 지역에서 최근에 감염된 35세의 한 주민은 7월 4일 연휴 동안 인파에 섞여 밤 늦게까지 파티를 즐겼다고 한다. 흔히 말하는 '돌파감염자'인 그는 백신을 접종한 덕분에 며칠 만에 회복할 수 있었다.

그는 AP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백신접종이 0에서 정상으로 복귀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알고 있었는데, 불행하게도 정상으로 가는 몇 단계 가운데 하나라는 사실을 이제서야 알게 되었다"라고 말했다.

CDC의 돌파감염에 대한 내부 문서가 <워싱턴포스트>에 유출된 것을 계기로 종전과 같이 모든 사람들에게 마스크를 권장하고 의료 종사자들의 백신접종을 요구하는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코로나 전쟁이 변했다는 것을 인정하라"

문서에는 CDC 전문가들이 대중들과 공유할 수 있는 중요사항들이 정리되어 있었다.

그 가운데 하나는 "(코로나) 전쟁이 변했다는 것을 인정하라"고 조언하면서 이는 수 백만 명의 백신접종자들이 광범위한 확산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내용도 포함하고 있다. 그러면서 문서는 코로나19 입원환자들 및 입원 중 사망자들 가운데 돌파 감염자 비율이 증가하고 있는데, 이 같은 현상은 델타 변종이 확산하는 것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문서에 따르면, 델타 변종은 수두, 일반 감기, 독감, 천연두, 에볼라 바이러스보다 더 전염성이 높다. 하지만 문서는 코로나19 백신은 여전히 델타 변종 감염을 억제하고 중증 전환 및 사망을 예방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하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프로빈스타운 사례가 예방접종을 받은 사람들이 새로운 감염의 중요한 원천이라는 것을 입증하기에는 이르다는 입장이다.

존스 홉킨스 대학 공중 보건 연구원 제니퍼 누조는 "CDC 조사가 과학적인 타당성이 있다"라면서도 "이번 사례로부터 입증이 되었다고 말할 수는 없다"라고 말했다. 특수 사례이니 만큼 더 많은 조사 자료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한편 백악관은 지난 30일 백신접종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증가하고 있는 코로나 사례에 대한 CDC의 접근방식과 공공보건 가이드라인의 전환을 옹호했다.

카린 장 피에르 백악관 대변인은 "가장 획기적인 전환점은 실제로 매우 간단하다"라면서 "더욱더 많은 사람이 백신을 맞을 필요가 있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지침 변경과 관련하여 "우리는 그런 종류의 결정을 여기서 내리지 않을 것이다"라고 거듭 말했다. 사태를 종합적으로 판단한 다음 관계기관과의 협의를 통해 결정한다는 얘기다.
  • |
  1. line.jpg (File Size:102.9KB/Download:1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477 캐나다 써리 여성 성추행 사건 재발 밴쿠버중앙일.. 17.10.20.
2476 캐나다 밴쿠버에 새로운 축제 열려... 스쿠컴 뮤직 페스티벌 밴쿠버중앙일.. 17.10.20.
2475 캐나다 퍼니 실내체육관서 암모니아 누출 3명 사망 밴쿠버중앙일.. 17.10.20.
2474 캐나다 캐나다 유소년 일일 운동량 절대 부족 밴쿠버중앙일.. 17.10.20.
2473 미국 릭 스캇 주지사, 백인우월주의자 집회에 비상사태 선포 코리아위클리.. 17.10.19.
2472 미국 디즈니월드 엡캇 센터 음식 축제 갈수록 인기 코리아위클리.. 17.10.19.
2471 캐나다 가을 폭풍우로 BC주 곳곳 전력 불통 밴쿠버중앙일.. 17.10.19.
2470 캐나다 "중소기업세 인하보다 더 큰 문제는..." 밴쿠버중앙일.. 17.10.19.
2469 캐나다 '우버' BC주서 당분간 보기 어렵다 밴쿠버중앙일.. 17.10.19.
2468 캐나다 밴쿠버 암표 없어지려나... 내년초 법안 마련 밴쿠버중앙일.. 17.10.19.
2467 캐나다 하늘에서 보는 유콘 오로라! 에어 노스 오로라 360 밴쿠버중앙일.. 17.10.19.
2466 캐나다 중소기업세 공약대로 9%로 인하 밴쿠버중앙일.. 17.10.18.
2465 캐나다 "담배 때문에" 연간 연간 162억 달러 지출 밴쿠버중앙일.. 17.10.18.
2464 캐나다 "새로 선출된 교육위원, 교육만 생각해야" 밴쿠버 학부모 일침 밴쿠버중앙일.. 17.10.18.
2463 캐나다 밴쿠버교육위 협치 정책으로 나아갈 듯 밴쿠버중앙일.. 17.10.18.
2462 캐나다 새로운 도약을 위한 다양한 시도에 환호 밴쿠버중앙일.. 17.10.18.
2461 캐나다 빌 스미스 후보, 선거 막판 독주 태세 CN드림 17.10.17.
2460 캐나다 고속도로선 겨울용 타이어... 코퀴할라 하이웨이 폭설 통제 밴쿠버중앙일.. 17.10.17.
2459 캐나다 스탠리파크 명물 바위, 이름 바뀐다 밴쿠버중앙일.. 17.10.17.
2458 캐나다 시어스 떠나는 직원들 어디로 가나... 법원 파산보호신청 허가 밴쿠버중앙일.. 17.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