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COVID 위험인 1).jpg

최근 캐나다 토론토대학교 연구팀이 메타 분석(meta-analysis)으로 감정 장애를 가진 이들과 그렇지 않은 이들을 비교한 결과 COVID-19 감염 가능성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감염됐을 경우 위험은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 : Pixabay / Engin_Akyurt

 

토론토대학교 연구팀 조사... 감염시 병원 입원 및 사망률에서 차이

 

세계적 전염병 사태가 시작되면서 각국 보건당국은 COVID-19 감염을 차단하려는 다양한 조치와 함께, 이미 감염된 이들 중 기저 질환을 갖고 있는 경우 심각한 위험 또는 사망이 이를 수 있다는 점에서 이들을 보호하고자 노력해 왔다.

이런 가운데 최근 한 연구 결과 우울증이나 조울증(bipolar disorder) 등 감정 장애(mood disorders)를 가진 이들이 코로나 바이러스에 의한 위험이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의학저널 ‘JAMA Psychiatry’에 발표된 이 연구는 9,100명을 대상으로 한 이전 연구 자료를 분석한 것이다.

연구팀은 메타 분석(meta-analysis. 동일하거나 유사한 주제로 이미 이루어진 많은 연구물들의 결과를 객관적으로, 그리고 계량적으로 종합하여 고찰하는 연구방법)을 통해 기존에 감정 장애를 가진 이들과 그렇지 않은 이들을 비교한 결과, COVID-19 감염 가능성에서는 차이가 없음을 발견했다.

하지만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되었을 경우 병원 입원 치료를 받거나 사망하는 수에서는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했다. 감정 장애가 있는 이들은 COVID-19 감염시 병원 입원 가능성이 휠씬 높았으며 사망 위험도 더 컸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캐나다 토론토대학교(University of Toronto)의 로저 매킨타이어(Roger McIntyre) 교수와 동료 연구 저자는 “가능성 비율(odds ratios), 즉 위험성이 어느 정도인지를 보면 (감정 장애가 있는 이들의 경우) 거의 두 배, 어떤 경우에는 두 배 이상이라는 것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매킨타이어 교수는 감정 장애에 대해 “호주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 흔하다”면서 “이번 연구 결과는 바이러스 대유행 속에서 사람들을 더 큰 위험에 빠뜨리는 요인에 대해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을 하나 더 추가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그는 “비만이나 심장병과 마찬가지로 정신질환 또한 이미 존재하는 질환으로, 사람들이 이 끔찍한 바이러스에 감염되었을 경우, 위험이 매우 높다는 사실을 경험적으로 밝혀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강조했다.

 

“우울증은 단순한

심리적 반응 아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감정 장애가 위험 증가의 직접적 원인임을 보여줄 수는 없지만 전문가들은 몇 가지 설명이 있을 수 있다는 의견이다.

시드니대학교 두뇌 및 정신센터(Brain and Mind Centre)의 이안 히키(Ian Hickie) 교수는 “감정 장애가 신체에 타격을 줄 수 있다”고 설명하면서 “우울증에 대한 실수 가운데 하나는, 그것을 단지 심리적 반응으로 여긴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우울증은 생리학적 교란(physiological perturbation)”이라는 히키 교수는 “신체는 면역계, 신경내분비계 또는 코티솔(cortisol. 부신 피질에서 생기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일종)이나 스트레스 반응 시스템, 교감신경계, 신진대사 체계에서 교란된다”고 설명했다.

과거 연구에 따르면 감정 장애가 있는 이들은 다른 질병에 걸릴 위험이 더 높다. 랜드윅(Randwick) 소재 ‘Prince of Wales Hospital’ 내에 자리한 ‘The Black Dog Institute’ 연구원이자 삼리학자인 알렉시스 위턴(Alexis Whitton) 박사는 “팬데믹 상황을 감안하지 않더라도, 감정 장애는 평균수명이 10년에서 15년 정도 단축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고 말했다.

 

종합(COVID 위험인 2).jpg

‘The Black Dog Institute’ 연구원이자 삼리학자인 알렉시스 위턴(Alexis Whitton. 사진) 박사. 그녀는 “감정 장애를 가진 이들은 심혈관 질환, 면역체계 장애, 호흡기 질환 및 당뇨에 걸릴 가능성이 더 높으며, 이 모든 것이 COVID-19 감염으로 인한 더 나쁜 결과와 관련이 있다”고 강조했다. 사진 : Alexis Whitton

 

위턴 박사는 “감정 장애를 가진 이들은 심혈관 질환, 면역체계 장애, 호흡기 질환 및 당뇨에 걸릴 가능성이 더 높으며, 이 모든 것이 COVID-19 감염으로 인한 더 나쁜 결과와 관련이 있다”면서 “우울증을 가진 사람들은 신체적 질병으로 인지되지 않고 치료되지 않을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알고 있기에 의료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은 물론 치료의 질이 떨어지는 문제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번 연구는 또한 경제적 불안과 의료에 대한 부적절한 접근을 포함, 증가된 위험의 다른 가능성을 지적한다. 아울러 이전에 질병을 진단받은 이들을 기반으로 했지만 바이러스 대유행 속에서 감정 장애도 증가하고 있음을 우려하고 있다.

히키 교수는 “또 다른 면은 전염병, 특히 장기간의 봉쇄 조치로 인해 불안과 우울증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라며 “사회적 혼란과 경제 및 기타 요인이 발생하고, 젊은이들의 교육 중단이 갈수록 더 많은 우울증 사례를 유발시킨다”고 덧붙였다.

 

감정 장애, 백신접종

순위에서 우선되어야...

 

이번 연구를 진행한 연구원들은 이 같은 결과에 대해 “백신접종 순위에서 감정 장애를 가진 이들도 우선되어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호주에는 정신분열이나 조현병을 포함해 심각한 정신 질환을 갖고 있는 16세 이상은 화이자 백신을 접종받을 자격이 있다.

히키 교수는 “호주의 경우, 우리가 생각해야 할 것은 ‘누가 진정 위험에 처해 있는가’라는 것”이라며 “우울증에 대한 이 연구는 정신분열증과 같은 질병에 대한 이전 연구와 같은 결과를 보여주었고, 이런 질환자들이 입원 및 사망 위험에 처해 있음을 알게 해 준다”고 강조했다.

다만 그는 이번 연구에서 분석된 감정 장애가 더 일반적이며 종종 젊은층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위턴 박사에 따르면, 이는 다른 국가들이 백신접종 전략에서 고려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녀는 “많은 국가들이 연구를 통해 나온 조언에 귀 기울이고, 우울증 등 더 흔한 질병을 가진 이들을 백신접종 우선순위에 포함시켰다”고 말했다. 가령 뉴질랜드는 주요 우울증 관련 장애나 조현병을 가진 이들을 접종 우순선위 그룹 3에 포함시켰다.

위턴 박사는 감정 장애를 가진 이들이 보호를 받는 가장 좋은 방법은 백신접종과 관련해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라고 조언했다. 또한 이들의 정신적-육체적 건강을 돌보는 것뿐 아니라 이들에 대한 실질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녀는 “우울증과 함께 오는 낮은 에너지 수준은 신체건강을 돌보고, 필요한 시점에서의 건강관리를 어렵게 만들 수 있다”며 “친구나 가족이 부담스럽다면 관련 지원기관을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 감정 장애 관련 지원

-Beyond Blue : 1300 224 636 / beyondblue.org.au

-Headspace : 1800 650 890 / headspace.org.au

-SANE Australia : 1800 18 7263 / sane.org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COVID 위험인 1).jpg (File Size:58.9KB/Download:13)
  2. 종합(COVID 위험인 2).jpg (File Size:74.3KB/Download:1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751 뉴질랜드 아파트 시세는 상승하고 렌트비는 안정세 굿데이뉴질랜.. 14.04.06.
6750 뉴질랜드 금세기안으로 뉴질랜드 해수면 50cm 상승할 것 굿데이뉴질랜.. 14.04.06.
6749 뉴질랜드 오클랜드공항 활주로 추가건설등 확장공사 file 굿데이뉴질랜.. 14.04.06.
6748 호주 시드니 경매 시장, 10주째 낙찰률 80% 이상 기록 호주한국신문 14.04.10.
6747 호주 경매시장 활황... 피어몬트 한 아파트, 5분 만에 낙찰 호주한국신문 14.04.10.
6746 호주 도요타 ‘Yaris’ ‘Hilux’ 모델, 안전 문제로 리콜 호주한국신문 14.04.10.
6745 호주 뒤따라온 남성, 냄비로 가격한 여성 화제 호주한국신문 14.04.10.
6744 호주 호주-한국 정상, 양국 간 FTA 협정문 서명 호주한국신문 14.04.10.
6743 호주 어번 가정집 앞에 유기된 아기 발견 호주한국신문 14.04.10.
6742 호주 브리즈번 프랑스 유학생 살해용의자 체포 호주한국신문 14.04.10.
6741 호주 X 세대들, 부모 세대인 ‘베이비부머’보다 ‘뚱뚱’ 호주한국신문 14.04.10.
6740 호주 ‘The Star’ 카지노, 700명 이상 ‘출입금지’ 조치돼 호주한국신문 14.04.10.
6739 호주 시드니 공항, 국내 4대 주요 공항 가운데 ‘최악’ 평가 호주한국신문 14.04.10.
6738 호주 끊이지 않는 시드니 지역 갱들의 전쟁... ‘표적공격’ 잇따라 호주한국신문 14.04.10.
6737 뉴질랜드 뉴질랜드 결국은 공화정(共和政)으로 갈 것인가 file 굿데이뉴질랜.. 14.04.14.
6736 뉴질랜드 한국 전체에서 2명, 호주 전체에서 2명의 학생만이 합격 file 굿데이뉴질랜.. 14.04.14.
6735 호주 시드니 ‘슈퍼 새터데이’... 판매-구매자들, ‘샴페인’ 호주한국신문 14.04.17.
6734 호주 K‘POP’ the Concourse!, 채스우드서 야외공연으로 호주한국신문 14.04.17.
6733 호주 “일상의 스트레스, 통기타로 날려버려요~~” 호주한국신문 14.04.17.
6732 호주 애보트 수상, 시드니 제2공항 부지로 ‘뱃저리스 크릭’ 결정 호주한국신문 14.04.17.
6731 호주 조 호키 장관, ‘노인연금 수령 70세로 상향’ 검토 호주한국신문 14.04.17.
6730 호주 벨뷰 힐(Bellevue Hill), 전국 최고 주택투자 지역으로 꼽혀 호주한국신문 14.04.17.
6729 호주 호주인들 공화제 지지 비율 42%로 낮아져... 역대 최저 호주한국신문 14.04.17.
6728 호주 호주 자동차 제조업 붕괴로 20만 개 일자리 사라져 호주한국신문 14.04.17.
6727 호주 NSW 주 오파렐 수상, 고가 와인 수뢰 시인하고 사임 호주한국신문 14.04.17.
6726 호주 호주 중앙은행, 현 기준금리 유지키로 호주한국신문 14.04.17.
6725 호주 애보트 수상 인기도 하락, 녹색당 지지도 급상승 호주한국신문 14.04.17.
6724 호주 청정 호주? 일부 해변들, 불법 폐기물 투기로 ‘몸살’ 호주한국신문 14.04.17.
6723 뉴질랜드 로드 머펫 인형 3000달러에 판매 굿데이뉴질랜.. 14.04.22.
6722 호주 경전철 연장으로 마로브라 부동산 가격 ‘들썩’ 호주한국신문 14.04.24.
6721 호주 시드니 시티, 대대적인 아파트 건설 붐 호주한국신문 14.04.24.
6720 호주 한국 방문 호주 교장들, “뷰티풀, 멋있어요” 호주한국신문 14.04.24.
6719 호주 “그날 이후-금기가 시작되었고... 깨졌다” 호주한국신문 14.04.24.
6718 호주 갈리폴리 상륙 99주년 ‘안작 데이’ 호주한국신문 14.04.24.
6717 호주 호주판 ‘늙은 군인의 노래’, ‘And the Band Played Waltzing Matilda’ 호주한국신문 14.04.24.
6716 호주 부동산 분석가들, 시드니 부동산 ‘안정기’ 분석 호주한국신문 14.04.24.
6715 호주 배어드 신임 주 수상, 차기 선거 겨냥한 개각 단행 호주한국신문 14.04.24.
6714 호주 중국, 호주 주요 대학에서 스파이 활동 드러나 호주한국신문 14.04.24.
6713 호주 시드니 소재 유명 사립학교들 ‘시설 경쟁’ 과열 호주한국신문 14.04.24.
6712 호주 각 부처 최고 공무원들, 연봉 5% 이상 올라 호주한국신문 14.04.24.
6711 호주 광역 시드니 및 주변 지역 거주민 기대 수명은... 호주한국신문 14.04.24.
6710 호주 NSW 노동당의 우상, 네빌 랜 전 수상 타계 호주한국신문 14.04.24.
6709 호주 맹견 공격으로 91세 여성 치명적 부상 file 호주한국신문 14.04.24.
6708 호주 시드니 부동산 활황기, 북서부 지역 가장 많이 올라 호주한국신문 14.05.01.
6707 호주 ‘세월호 참사’ 관련, 시드니한인회 합동분향소 마련 호주한국신문 14.05.01.
6706 호주 애보트 정부 ‘인종차별금지법 개정’ 관련 호주한국신문 14.05.01.
6705 호주 ‘세월호 참사’ 애도 분위기 속 ‘탁구대회’ 성료 호주한국신문 14.05.01.
6704 호주 동포화가 수향 선생 작품, ‘Berndt Museum’서 초대 호주한국신문 14.05.01.
6703 호주 시드니 부동산 활황, 저소득 계층에게는 ‘재앙’ 호주한국신문 14.05.01.
6702 호주 시드니, ‘유학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도시’ 포함 호주한국신문 14.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