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0-758783364_Gc9R2UTC_3ddbebfdbfeaae02

 

 

지난 주말부터 20명 나와, 누계로 1847명

확진자 휴일 줄었다가 주중에  다시 증가

미국 4주간 400만 확진, 영국 사망자 급증

 

BC주의 확진자 수가 다시 1000명 대를 향해 전진과 후퇴를 하면서 동시에 사망자 수가 크게 늘어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9일 BC주 보건당국이 발표한 코로나19 브리핑에 따르면 새 확진자가 774명이 나왔다. 이로써 누계로 17만 2338명이 됐다.

 

지난 노동절 연휴기간 중인 4일 확진자는 695명에서 5일 634명, 6일 563명, 그리고 7일 533명으로 다소 누그러드는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주중인 8일 다시 814명으로 크게 증가했다. 이는 휴일에는 코로나19 증상이 있어도 검사를 하는 수가 상대적으로 적어지면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보인다.

 

연휴가 끝난 지난 7일 발표에서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자는 15명이나 나왔다. 그리고 8일에는 사망자가 발생하지 않았으나 다시 9일에 5명이나 사망자가 나왔다. BC주에서 코로나19가 1차, 2차, 3차 대유행을 할 때의 최악의 상황이 아니면 5명 이상 씩 사망자가 나온 적이 없었다.

 

따라서 확진자 수만 크게 늘어나던 4차 대유행 초기와는 달리 이제 사망자 수도 점차 많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9일 현재 감염 중인 환자 수는 5594명이다. 이중 입원을 한 환자는 262명이나 되고 집중치료실 치료를 받는 환자도 130명에 달한다. 이에 따라 앞으로 더 많은 사망자가 속출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12세 이상 BC주 주민 중 1차 접종률은 85.3%이고 2차 접종률은 77.8%에 달한다. 주정부 당국은 아직도 백신 접종을 하지 않는 약 15%의 주민들에게 지속적으로 접종을 독려하고 있다. 또 13일부터는 1차 이상 백신 접종을 해야 식당이나 기타 실내 장소에 입장할 수 있도록 조치를 강화했다.

 

주정부는 9월 1일부터 7일 사이에 발생한 확진자 중 접종을 완료하지 않은 주민들이 78.6%에 달하고, 8월 25일부터 따지면 86.3%에 달하는 등 대부분 확진자가 1차 또는 미접종자에서 나오고 있다고 강조했다.

 

병원 입원의 경우에는 8월 25일부터 9월 7일 사이에 미접종자가 80.5%나 됐다. 

 

인구 10만 명 당 확진자 수에서 미접종자가 301.4명, 부분 접종자가 84.8명, 그리고 접종 완료자가 26명이었다.

 

그러나 백신 접종만으로 코로나19를 극복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어 보인다.

 

미국은 지난 4주간 400만 명의 확진자가 쏟아져 나왔다. 영국은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를 완전히 해제하며 집단 면역 실험에 들어갔는데 7일 하루에만 209명의 사망자가 나왔다. 세계 최고 수준인 80% 이상의 백신 접종률을 기록한 싱가포르도 590만 명의 인구 중 7일 하루 확진자가 332명에 사망자가 55명이나 나왔다.

 

그러나 더 이상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봉쇄가 계속될 경우 경제적으로 더 어려워 질 수 있다는 우려에 위드 코로나를 선언하는 나라들이 늘어나고 있다. 한국도 11월부터 위드 코로나를 검토하겠다는 정부 입장이 나왔다.

 

이렇게 코로나19로 세계 인류가 고통을 받는 가운데, 인도에서는 치사율이 75%나 되는 '니바(바이러스)'가 창궐하기 시작해 비상이 걸렸다. 니파 바이러스는 1998년 말레이시아 니파에서 처음 발견돼 1년간 100명 이상이 숨질 정도로 치명률이 높았다. 여기에 서아프리카 코트디부아르에서는 치명률 90%인 에볼라 감염자가 나왔다. 또 중국에서는 탄저병과 흑사병이 발생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7957 캐나다 한인살인범 필리핀경찰, 캐나다로 도주 밴쿠버중앙일.. 17.01.25.
7956 미국 조태열 유엔대사, UN평화구축위원회 의장 선출 file 뉴스로_USA 17.01.25.
7955 캐나다 아트 갤러리와 이발소에서 주류 판매 가능, 실효성 의문 밴쿠버중앙일.. 17.01.26.
7954 캐나다 뉴 웨스트민스터, 엠버 경보 발령 밴쿠버중앙일.. 17.01.26.
7953 캐나다 알렉스 프레이져 교통사고, 구급차 늑장대응 도마 올라 밴쿠버중앙일.. 17.01.26.
7952 캐나다 FIDO포럼, 밴쿠버에서 열린 세미나 통해 한국 보안 생태계 소개 밴쿠버중앙일.. 17.01.26.
7951 캐나다 대표 중국 음식점은 역시 리치몬드에 집중 밴쿠버중앙일.. 17.01.26.
7950 캐나다 '벚꽃 등축제', 퀸엘리자베스 공원에서 열려 밴쿠버중앙일.. 17.01.26.
7949 미국 단독 ‘트럼프 칭찬영웅’ 이방카 감사메시지 file 뉴스로_USA 17.01.26.
7948 캐나다 대표 부자동네 웨스트밴, 인구 감소로 울쌍 밴쿠버중앙일.. 17.01.27.
7947 캐나다 노스쇼어 안전위원회, 주택가 속도 제한 시속 30 km 주장 밴쿠버중앙일.. 17.01.27.
7946 캐나다 애보츠포드 공항, 지난 해 역대 최고 이용객 수 기록 밴쿠버중앙일.. 17.01.27.
7945 캐나다 스튜어트 코퀴틀람 시장, "리버뷰 병원, 약물 중독자 보호해야"주장 밴쿠버중앙일.. 17.01.27.
7944 캐나다 밴쿠버 기업, 세계 최대 마리화나 재배장 건설 밴쿠버중앙일.. 17.01.27.
7943 캐나다 밴쿠버 시의회, 불법약물 대응 2백 2십만 달러 투입 밴쿠버중앙일.. 17.01.28.
7942 캐나다 트라시시티 선출 정치인들, 컨설팅 회사 대표 유독 많아 밴쿠버중앙일.. 17.01.28.
7941 캐나다 11월, BC 평균 주급 924 달러 밴쿠버중앙일.. 17.01.28.
7940 캐나다 BC주 방문 한인 증가율, 지난 해 가을 들어 정체 밴쿠버중앙일.. 17.01.28.
7939 캐나다 2036년, 비공식 언어 사용자 급증 밴쿠버중앙일.. 17.01.28.
7938 캐나다 밴쿠버 부동산, 이상 징후 지속 밴쿠버중앙일.. 17.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