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ANZ 예측 1).jpg

호주 각 지역 도시의 주택가격이 올해 20% 이상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는 대부분의 전문가들이 예상했던 수치보다 높아진 것이다. 사진은 지난 달 마지막 주 시드니 경매에서 거래된 알렉산드리아(Alexandria) 소재 4개 침실 주택. 사진 : Real Estate

 

예상보다 강한 부동산 시장으로 전망치 상향... 내년에도 오름세 지속

 

올해 호주 주택가격 상승폭이 20% 이상에 달할 것이라는 수정된 전망치가 나왔다. ANZ 은행은 현재 예상보다 강한 부동산 시장 상황을 기반으로 올해 성장폭을 상향, 예측했다. 또한 주택가격 상승세가 내년에도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ANZ 은행이 이달 첫주 내놓은 최근 전망에 따르면 캔버라(Canberra) 부동산 가격은 올해 연말까지 24%, 시드니와 호바트(Hobart, Tasmania)는 23%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브리즈번(Brisbane, Queensland)과 멜번(Melbourne, Victoria)도 각 21% 및 20%의 수익을 올릴 것이라는 예측이다.

광역시드니를 비롯해 멜번, 캔버라 등에 대한 봉쇄 조치 상황에서도 주택가격이 강세를 보이는 가운데 ANZ은 부동산 시장 성장폭 전망을 상향 조정한 첫 대형은행으로, ANZ의 이코노미스트 펠리시티 에메트(Felicity Emmett) 선임연구원은 현 주택시장 강세가 수그러들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에메트 연구원은 “우리는 (주택시장에 대한) 예측을 업데이트 했다”면서 “올해 이맘 때쯤이면 주택가격 성장세가 둔화될 것으로 보았지만 광역시드니의 경우에는 록다운 상황에서도 상승세가 계속됐다”고 덧붙였다.

이어 그녀는 “일부 선행지표, 경매 낙찰률, 판매 대 시장에 나오는 매물 공급 리스트 비율을 보면 주택시장은 여전히 매우 타이트하고 (예비 구매자들의) 수요와 (내집 마련에 대한) 관심이 감소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에메트 연구원은 “주택매매에서 선행되는 인스펙션 활동이 바이러스 감염 차단 차원에서 전면 금지되고 낙찰률이 어느 정도 타격을 입은 멜번의 경우에도 매매가격은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며 “세계적 전염병 사태의 영향으로 인한 보다 큰 불활실성이 내재됐던 지난해보다 주택가격은 더 큰 성장을 보일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에메트 연구원은 2021년도 주택가격 상승률을 15~20%로 전망했지만 최근 상황을 토대로 올해 오름폭을 20% 이상으로 수정해 예측했으며, 내년에도 7% 이상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봤다.

 

부동산(ANZ 예측 2).jpg

ANZ 은행이 이달 첫 주, 보고서를 통해 내놓은 주택가격 전망 업데이트. Source : CoreLogic, ANZ Research

 

ANZ가 내놓은 업데이트 된 예측은 최근 커먼웰스 은행(Commonwealth Bank. CBA)의 전망과 유사하다. CBA 국내경제 분석가인 가레스 에어드(Gareth Aird) 연구원은 올해까지 주택가격이 20% 이상 상승한 후 내년에는 7%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예측한 바 있다.

그런 한편 NAB의 지난 7월 수정된 전망치는 올해 주택가격이 18.5%, 내년에는 3.6%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으며 웨스트팩 은행(Westpac)은 올해 18%, 2022년에는 5% 성장을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CBA의 업데이트 전망에 따르면 시드니 지역은 올해 24% 가격 성장이 예상된다. 에어드 연구원은 “광역시드니에 대한 봉쇄 조치에도 불구하고 현재 주택시장이 전혀 영향을 받지 않는 가운데 매수자와 매도자 모두 시장에 대한 강한 모멘텀을 유지하고 있다”는 말로 이 같은 예상의 배경을 설명했다.

에어드 연구원은 이어 “내년에는 경제성 제약으로 모멘텀은 약화되겠지만 향후 높아지는 이자율이 주택시장의 진정한 서킷 브레이커(circuit breaker)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ANZ의 에메트 연구원은 주택시장 강세의 주요 동인으로 낮은 금리를 언급하면서 또한 치솟은 주택가격이 이미 구매자 수요를 짓누르고 있다고 지적했다.

에메트 연구원은 이번 업데이트 보고서에서 현재 호주 전역에서 주택가격이 가장 높은 시드니의 경우 평균 주택 가치는 가계 평균 수입의 9배 이상이고, 주택구입 가능성은 모든 지표에서 악화되었으며 임대료 또한 크게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에메트 연구원은 ‘Westpac–Melbourne Institute’의 ‘Time to buy a dwelling’ 지수 보고서를 인용하면서 지난 2010년 이래 두 번째로 낮은 이 지수의 급격한 하락은 주택구입 경제성(높은 주택가격)이 이미 수요를 짓누르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지난 6월, 평균 주택담보 대출(mortgage) 규모는 45만6천 달러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또한 에메트 연구원은 주택구입의 경제성 한계 외에도 부동산 투자자 대출이 급증하고 신용 성장이 소득 상승을 앞지르면서 부동산 시장을 냉각시키기 위한 거시적 통제가 나올 수 있음을 예상한다고 말했다. 다만 그녀는 바이러스로 인한 봉쇄 조치의 경제적 영향이 금융 규제 당국의 개입을 지연시킬 수도 있다고 진단했다.

“기준금리는 상당 기간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는 에메트 연구원은 “이것이 주택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높은 주택담보 대출로 이어진다”면서 “금융 규제 당국은 부채 증가가 소득보다 훨씬 높다는 점을 우려하게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부동산(ANZ 예측 3).jpg

시드니의 평균 주택가격은 연간 가계소득의 9배 이상에 달하고 있다. 사진은 최근 경매를 통해 거래된 노던비치 지역(Northern Beaches region), 뉴포트(Newport)에 자리한 주택. 사진 : Real Estate

 

ANZ의 이번 보고서는 “현재 가계부채 수준이 우려스러울 만큼 높은 편이지만 낮은 이자율로 이의 상환을 더 앞당길 수 있게 했다”고 설명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낮은 금리로 주택담보 대출 보유자의 40%가 대출 또는 상쇄 계좌(offset account)에 1년 이상의 (상환) 준비금을 보유하고 있으며, 부동산 투자용 구매자의 3분의 1 또한 그러하다. 가계소득에 비해 높은 부채비율도 지난 2019년 최고점에서 다소 감소했다.

에메트 연구원은 봉쇄 조치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에 따라 모기지 상환을 하지 못해 주택을 강제로 매각해야 하는 상황이 증가하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전염병 사태가 시작된 후 지난 1년 사이 주택담보 대출의 월 상환 체납 사례가 증가하기는 했지만 일반적 추세는 과거 수십 년간의 흐름과 크게 다르지 않았고, 전 세계 기준과 비교해 호주인의 체납액은 여전히 낮은 편이다. 또한 빠른 가격상승으로 자기자본이 마이너스인 대출 수도 크게 줄었다.

이와 함께 에메트 연구원은 “바이러스 대유행 초기에 보였던 대출금 이체 건수 또한 훨씬 낮아졌다”고 덧붙였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부동산(ANZ 예측 1).jpg (File Size:100.5KB/Download:20)
  2. 부동산(ANZ 예측 2).jpg (File Size:63.8KB/Download:16)
  3. 부동산(ANZ 예측 3).jpg (File Size:118.7KB/Download:1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301 호주 타스마니아 주, 법적 흡연 가능 연령 높일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5.12.23.
6300 호주 시드니 지역 주택부족 심화로 ‘그래니 플랫’ 붐 file 호주한국신문 15.12.23.
6299 호주 시드니 주택 부족... 노숙자 평균 5년 ‘길거리서’ file 호주한국신문 15.12.23.
6298 호주 NSW 베어드 정부, 카운슬 합병 강제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15.12.23.
6297 뉴질랜드 뉴질랜드, 세계에서 가장 살기 좋은 나라 순위 2위에 올라 [1] file 굿데이뉴질랜.. 15.12.30.
6296 뉴질랜드 재외국민 주민등록증 제도 실시, 7월1일부터 국내거소신고증 효력 상실 file 굿데이뉴질랜.. 16.01.10.
6295 뉴질랜드 '옹알스 (ONGALS)' 결성 10주년 기념 첫 공연 뉴질랜드에서 무언 코미디로 언어의 장벽을 넘어 K-코미디 선보여 file 굿데이뉴질랜.. 16.01.13.
6294 뉴질랜드 세계은행, TPPA로 2030년까지 뉴질랜드 수출 규모 10% 성장 예상 굿데이뉴질랜.. 16.01.13.
6293 호주 시드니 훈련 중인 두산베어스, 호-뉴 대표팀과 친선경기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1.
6292 호주 2015년 ACT 부동산 최고 상승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1.
6291 호주 Good life... 고대 철학자에게서 길을 찾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1.
6290 호주 지난 12년간 호주인 주류소비 전반적 감소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1.
6289 호주 어린이 5명 중 1명, 학업습득 능력 ‘취약’ 상태서 입학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1.
6288 호주 시드니 사립학교 학부모들, 학비 25만 달러 예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1.
6287 호주 고위 공직자들, 납세자 세금으로 만찬 즐겨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1.
6286 호주 상위 62명의 자산, 전 세계 절반의 재산 규모와 동일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1.
6285 호주 고령의 호주인 의사 부부, 이슬람 지하디스트에 납치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1.
6284 호주 디지털 시대의 직업 전망, 호주 청년들 “우울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1.
6283 호주 호주 국가 형성의 시작 Australia Day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1.
6282 호주 버클루스 소재 저택, 1천800만 달러 경매에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8.
6281 호주 호주 범죄조직의 불법 마약 저가공급 ‘심각’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8.
6280 호주 2015년 호주 영화업계, 최고의 호황 누려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8.
6279 호주 호주 주택가격, 세계 1위 홍콩에 버금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8.
6278 호주 “부동산 시장, 중국 정부 외화유출 통제에 영향 없을 것”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8.
6277 호주 호주 원주민들, 여전히 ‘Australia Day'서 소외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8.
6276 호주 호주 ‘공화제 전환’ 움직임, 다시 수면 위로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8.
6275 호주 에어 비앤비가 꼽은 전 세계 Top 10 인기 숙소는...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8.
6274 호주 멜번 경매 시장, 올해에도 호황 이어갈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2.04.
6273 호주 강풍에 지붕 날아간 아파트... 황당, 분통 file 호주한국신문 16.02.04.
6272 호주 스트라스필드 횡단보도서 젊은 대학생 숨져 file 호주한국신문 16.02.04.
6271 호주 패리 오키든, 드러나지 않았던 호주 최고의 부자 file 호주한국신문 16.02.04.
6270 호주 ‘Lockout Laws’, 시드니 도심, ‘고스트 타운’ 되나... file 호주한국신문 16.02.04.
6269 호주 NSW 베어드 주 수상, GST 관련 새 제안 내놔 file 호주한국신문 16.02.04.
6268 호주 호주인 정서, “아직은 군주제 지지 우세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2.04.
6267 호주 시드니, 주요 도시 중 소득 불평등 가장 심각 file 호주한국신문 16.02.04.
6266 호주 Best experiences in Australia: The things we do better than anywhere else file 호주한국신문 16.02.04.
6265 호주 시드니 경매 낙찰률, 지난해 봄 시즌 이후 최고치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6264 호주 NSW 주 상어위험 대처 프로그램, 실효성 ‘의문’?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6263 호주 알 카에다에 납치, 조설린 엘리엇 여사 풀려나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6262 호주 경기회복 조짐? 지난 1월 구직광고 1%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6261 호주 늦은 밤 호텔에 또 무장 강도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6260 호주 NSW 의회, “원주민 ‘잃어버린 세대’에 보상 이뤄져야...”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6259 호주 “높은 주택 임대료, 심한 ‘스트레스’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6258 호주 정부의 세제개혁, 어디로 가나...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6257 호주 “교육 부문에서 우리 사회는 결코 평등하지 않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6256 호주 “시드니 야간경제 몰락, ‘새 음주법’ 때문이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6255 호주 시드니 억만장자(super-rich)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6254 호주 호주 현지인들도 잘 모르는 시드니 하버의 섬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6253 호주 시드니 주택가격 고공행진 이어가... 3침실 주택 150만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6252 호주 ABS, 올 8월 센서스에 지역사회 협조 당부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