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글로벌 지수 1).jpg

글로벌 주거용-상업용 부동산 에이전시인 ‘나이트 프랑크’(Knight Frank)의 ‘글로벌 주택가격 지수’(Global House Price Index) 조사 결과, 올 2분기 호주 주택시장 성장률은 16.4%로 조사 대상 55개 국가 가운데 7번째로 높은 가격 상승을 기록했다. 사진은 시드니 노던비치 지역(Northern Beaches region)의 해안가 주택들. 사진 : Whitehouse Real Estate

 

글로벌 부동산 에이전시 ‘Knight Frank’ 보고서, 수십 년 만의 ‘최고 성장’ 기록

 

호주 주택시장이 강한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팬데믹 이후 현재까지의 가격 상승은 수십 년 만의 기록으로, 이는 전 세계 부동산 시장 가운데 일곱 번째 성장 속도이기도 하다.

이 같은 분석은 런던(Londin) 기반의 글로벌 주거용-상업용 부동산 에이전시인 ‘나이트 프랑크’(Knight Frank)가 최근 내놓은 2021년 2분기 ‘글로벌 주택가격 지수’(Global House Price Index)를 통해 밝힌 것으로, 이에 따르면 호주의 연간 주택가격 상승률은 6월 말 기준 16.4%로 조사 대상 55개 국가 중 7번째이며, 지난 2003년 이후 가장 빠른 성장 속도이다. 또한 전 분기(3월 분기. 8.3%로 18번째) 및 전년 같은 기간(6.1%로 19번째)보다 훨씬 빠른 상승률이다.

일부 지역에서 수요가 감소하는 조짐을 보이기는 하지만 보고서는 “최근 호주의 보다 엄격해진 COVID-19 관련 봉쇄가 가정 및 생활 스타일에 새로운 빛을 비추고 있어 또 한 번 주택 수요가 촉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2005년 1분기 이후 전 세계 주택가격이 가장 빠른 속도로 상승하고 있으며 조사대상 국가의 3분의 1 이상(18개 국가)이 6월 말 기준, 10% 이상 가격이 상승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Knight Frank’의 주거 연구 책임자인 미셸 시실스키(Michelle Ciesielski) 연구원은 “공급에 비해 훨씬 많은 주택 수요가 호주 부동산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적은 주택 공급이 호주 전역의 주택 가치를 높이는 주요 요인이며,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낮은 이자율로 그 동안 억눌렸던 예비 구매자들이 주택시장에 뛰어들고 있어 가격을 높이고 있다”는 게 그녀의 설명이다.

이어 시실스키 연구원은 “과거 호주 부동산 붐은 도시마다 제각각이었지만 근래에는 그 차이가 크지 않게 강세를 보인다”면서 “각 도시마다 내부 사정은 다소 다르겠지만 연간 두 자릿수 성장을 보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시실스키 연구원에 따르면 각 주(State) 도시의 연간 평균 주택 매매량은 30%가량 증가했다. 또한 부동산 시장에 등록되어 있는 기간도 지난 6월까지 1년 사이 24% 감소했다. 그만큼 매물이 나오면 빠르게 거래가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시실스키 연구원은 “만약 호주 경제가 주택시장처럼 더 안정적 상태에 있었다면 호주 금융규제 당국인 APRA(Australian Prudential Regulation Authority)의 대출기준 개정이 지연되는 것을 보았겠지만, 어쨌거나 현재 상황에서 주택 소유자들은 자신들의 부동산 가치가 2003년 이후 가장 빠른 속도로 상승하는 것을 즐기고 있다”고 말했다.

그녀는 이어 “호주의 주택담보 대출 규정도 이 때 이후로 훨씬 강화됐다”면서 “주택시장을 진정시키고자 보다 엄격한 대출 규제가 시행되었을 때 호주는 3분기 연속 글로벌 주택지수에서 최하위로 하락했고 연간 성장률은 평균 6.6%에 그쳤다”고 설명했다.

 

■ 선진국-개발도상국 주택가격 상승률

부동산(글로벌 지수 2).jpg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의 주택시장 성장은 두 배 이상 차이를 보였다. 그림 : Knight Frank

 

‘Knight Frank’의 이번 ‘글로벌 주택가격 지수’는 조사 대상 55개 국가에서 팬데믹 상황임에도 시장 호황은 지속됐으며 가격 또한 6월까지 1년 사이 평균 9.2%가 높아졌음을 보여주고 있다.

다만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사이의 시장 성장은 두 배 이상 차이를 보였다. 전 세계 10대 선진국의 경우 지난 6월까지 연평균 주택가격 상승률은 12%로 주요 개발도상국(4.7%)의 두 배 이상이었다.

이번 ‘글로벌 주택가격 지수’에서 가장 높은 연간 가격 상승을 기록한 국가는 터키로, 성장률은 29.2%에 달했다. 호주와 함께 상승률 상위 10위 안에 든 국가는 뉴질랜드(25.9%), 미국(18.6%), 캐나다(16%), 러시아(14.4%) 등이 있다.

반면 가격 하락을 보인 국가는 인도와 스페인으로, 지난 2008년 ‘Knight Frank’ 사가 이 조사를 시작한 이래 가장 낮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 2021년 2분기 글로벌 주택지수

(국가 : 연간 상승률 / 2020년 4분기-2021년 2분기 / 2021년 1분기)

1. Turkey : 29.2% / 16.3% / 8.9%

2. New Zealand : 25.9% / 10.0% / 4.5%

3. United States : 18.6% / 11.2% / 6.9%

4. Slovakia : 18.6% / 10.8% / 6.3%

5. Sweden : 17.2% / 9.8% / 6.0%

6. Luxembourg : 17.0% / 9.1% / 4.2%

7. Australia : 16.4% / 10.6% / 5.1%

8. Canada : 10.6% / 10.6% / 8.1%

9. Netherlands : 14.5% / 10.5% / 4.9%

10. Russia: 14.4% / 6.1% / 4.4%

11. Denmark : 13.3% / 6.3% / 2.9%

12. United Kingdom : 13.2% / 6.7% / 4.0%

13. Iceland : 12.6% / 8.1% / 5.4%

14. Norway : 12.5% / 10.6% / 4.8%

15. Austria : 11.7% / 6.5% / 2.4%

16. Lithuania : 10.9% / 3.5% / -5.1%

17. Germany : 10.9% / 5.7% / 3.2%

18. Chile : 10.7% / 5.6% / 1.9%

19. Peru : 9.1% / 4.0% / 2.9%

20. Portuga : 8.6% / 5.1% / 2.4%

21. Finland : 8.3% / 5.9% / 3.2%

22. Ukraine : 8.3% / 4.0% / 4.0%

23. Malta : 7.9% / 2.0% / 1.5%

24. Mexico : 7.7% / 5.2% / 2.3%

25. Bulgaria : 7.5% / 5.0% / 3.2%

26. Slovenia : 7.3% / 5.2% / 3.1%

27. Poland : 7.2% / 3.0% / 2.0%

28. Switzerland : 7.1% / 3.4% / 1.7%

29. Ireland : 6.9% / 4.5% / 3.2%

30. Singapore : 6.8% / 3.6% / 1.1%

31. Korea(South) : 6.8% / 3.2% / 1.4%

32. Belgium : 6.7% / 3.1% / 0.9%

33. Estonia : 6.6% / 10.6% / 6.6%

34. France : 5.8% / 3.8% / 1.4%

35. Israel : 5.7% / 4.7% / 2.2%

36. Hungary : 5.3% / 3.9% / 5.8%

37. Japan : 5.1% / 4.3% / 3.3%

38. Brazil : 4.8% / 2.2% / 1.4%

39 : Croatia : 4.6% / 3.4% / 0.9%

40. China : 4.3% / 4.2% / 1.4%

41. South Africa : 4.1% / 1.0% / 0.8%

42. Colombia : 3.4% / 3.1% / 1.5%

43. Greece : 3.1% / 1.9% / 2.5%

44. Latvia : 2.8% / 1.9% / 1.3%

45. Hong Kong : 2.6% / 3.3% / 2.0%

46. Czechia : 2.2% / 1.6% / 1.6%

47. Italy : 1.7% / 1.3% / 1.1%

48 : Indonesia : 1.5% / 0.8% / 0.5%

49. Morocco : 1.2% / 0.9% / -0.9%

50. Cyprus : 0.9% / 0.3% / 0.5%

51. Romania : 0.8% / 4.0% / 2.3%

52. Malaysia : 0.3% / 0.2% / -0.4%

53. Jersey : 0.0% / 13.3% / 1.2%

54. India : -0.5% / 0.9% / -0.5%

55. Spain : -0.9% / 0.4% / 0.2%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부동산(글로벌 지수 1).jpg (File Size:142.1KB/Download:10)
  2. 부동산(글로벌 지수 2).jpg (File Size:58.2KB/Download:1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401 호주 호주 중앙은행, “토지개발 제한이 집값 40% 상승 요인” file 호주한국신문 18.03.15.
6400 호주 호주 중앙은행, ‘10달러’ 새 디자인 지폐 공개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6399 호주 호주 중앙은행, 8개월 연속 기준금리 인상... 현금 이자율 3.1%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8.
6398 호주 호주 중앙은행, 6개월 연속 금리 인상... 이달 상승폭은 0.25%포인트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6397 호주 호주 중앙은행, 5달러 새 지폐 디자인 공표 file 호주한국신문 16.04.14.
6396 호주 호주 중앙은행, 5개월 만에 기준금리 인상 단행... 모기지 보유자 ‘타격’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9.
6395 호주 호주 중앙은행, 10개월 연속 기준금리 인상... 3.6%로 11년 만에 최고치 file 호주한국신문 23.03.09.
6394 호주 호주 중립 금리 3.5% 설 파장…RBA 부총재 긴급진화 나서 톱뉴스 17.07.25.
6393 호주 호주 중년 여성 21%, '폭음' 수준의 음주... 2001년 대비 거의 두 배 file 호주한국신문 22.02.03.
6392 호주 호주 주택위기 지속... “2041년까지 100만 채의 커뮤니티 주택 필요”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1.
6391 호주 호주 주택위기 심화... 구입 경제성, 30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23.09.08.
6390 호주 호주 주택시장 사상 첫 1억 달러 대저택 거래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18.12.19.
» 호주 호주 주택시장 붐… 가격 상승 속도, 전 세계에서 일곱 번째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6388 호주 호주 주택시장 둔화를 무색케 하는 지방 핫스폿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6387 호주 호주 주택대출 부채 사상 최고 file 한호일보 16.03.30.
6386 호주 호주 주택가격, 세계 1위 홍콩에 버금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8.
6385 호주 호주 주택가격, ‘가을 침체’ 이후 회복세로 호주한국신문 14.08.07.
6384 호주 호주 주택가격 하락 가능성? 국내 전문가들, “위험 수준은 아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6383 호주 호주 주택가격 다시 오름세 조짐 톱뉴스 17.08.01.
6382 호주 호주 주택 시장- 호바트, 홀해도 주택시장 상승세 이어질까? file 호주한국신문 19.01.10.
6381 호주 호주 주택 시가 총액 6조 달러…증권 거래소 및 퇴직연금 적립액 2배 톱뉴스 17.07.23.
6380 호주 호주 주택 거래량 반등했지만 판매 규모는 20년 전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19.10.17.
6379 호주 호주 주택 가격, 6년 만에 처음으로 하락... 전국 -0.4% file 호주한국신문 18.06.07.
6378 호주 호주 주요 복지 단체들, “법인세 인하 막아달라” 호소 file 호주한국신문 18.03.29.
6377 호주 호주 주요 도시의 지역별 인구성장 격차 두드러져 file 호주한국신문 19.04.04.
6376 호주 호주 주거용 부동산 총 가치, 올해 말 9조 달러 이를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6375 호주 호주 주 총리(Premier)들, 세계적 전염병 사태 속 ‘SNS 스타’로 부상 file 헬로시드니 20.08.14.
6374 호주 호주 젯스타·제주항공, 12월 인천∼골드코스트 취항…’파격적 항공료’ 톱뉴스 19.10.30.
6373 호주 호주 정치인, 노조 관계자도 ‘세월호 특별법’ 청원 동참 호주한국신문 14.07.17.
6372 호주 호주 정치권, 황화론 재연 공방 가열 톱뉴스 19.12.10.
6371 호주 호주 정부의 총기환매 이후 자살-살인율 감소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370 호주 호주 정부, 중국 이어 이란도 ‘입국제한’ 대상 국가에...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6369 호주 호주 정부, 인공지능(AI) 가이드라인 만든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11.21.
6368 호주 호주 정부, 구글·페북 등 공룡 플랫폼 조준 ‘공정 경쟁 지침’ 도입 톱뉴스 19.12.17.
6367 호주 호주 정부, “코로나19 기하 급수적으로 증가 할 것” …확진 368명 사망 6명 호주브레이크.. 20.03.17.
6366 호주 호주 정부, “코로나 19 완전 폐쇄 거부”vs전문가들, “폐쇄 안하면 사망자 증가 할 것” 호주브레이크.. 20.03.26.
6365 호주 호주 정부, "입국 제한 국가에 한국 포함" 호주한국신문 20.03.05.
6364 호주 호주 정부 이민 정책, “뉴질랜드인 받고, 아시아인 줄이겠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4.19.
6363 호주 호주 정부 관광청, 영국 여행자 대상 ‘관광 캠페인’ 재개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
6362 뉴질랜드 호주 정당인, NZ 출신 의원에게 뉴질랜드 돌아가라고 말해 NZ코리아포.. 18.09.04.
6361 호주 호주 정규직 여성 평균 임금, 남성 대비 87%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2.
6360 호주 호주 정규직 여성 임금, 남성 동료에 비해 연간 약 13,200달러 적어 file 호주한국신문 23.03.09.
6359 호주 호주 정계, 대중국 외교 관계에서는 ‘여-야 한목소리’ file 헬로시드니 20.09.04.
6358 호주 호주 젊은층에서 불법 ‘아이스’ 복용 크게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6357 호주 호주 젊은이들의 K-Pop 댄스 실력은... 호주한국신문 14.08.14.
6356 호주 호주 젊은이들에게 ‘평생 직업’ 개념 사라져...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6355 호주 호주 젊은이들, 말레이시아서 ‘국기모독’으로 체포 file 호주한국신문 16.10.06.
6354 호주 호주 젊은이들 자살비율, 지난 10년 이래 ‘최고’ file 호주한국신문 16.12.08.
6353 호주 호주 젊은이들 3명 중 1명, “외롭지만 친구 사귀기 힘들어” file 호주한국신문 19.11.07.
6352 호주 호주 젊은 수학자, 런던 왕립학회 최연소 회원에 file 호주한국신문 18.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