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록다운 분석 1).jpg

전염병 학자들은 향후 수년 동안 바이러스로 인해 도시나 특정 지역을 봉쇄하는 상황이 계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시드니 지역 록다운이 이어지는 가운데 한 고객이 매장 입장을 위해 본인의 방문을 기록하는 해당 매장 바코드에 접속하고 있다(사진). 사진 : 김지환 / The Korean Herald

 

완벽하지 않은 제한 규정이지만 감염 속도 늦추고 사망자 예방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각 주의 노력이 지속되는 가운데 현재 호주 인구의 절반 이상이 봉쇄 조치에 따른 엄격한 규정 하에 있다.

이러한 록다운 조치는 거주민들을 정신적으로 지치게 함은 물론 각 주 사이의 적대감, 특히 11주째 감염자 발생이 통제되지 않는 NSW 주에 대한 다른 주 거주민들의 불만도 커지는 상황이다.

광역시드니에 이어 감염자 발생으로 여섯 번째 록다운을 결정해야 했던 빅토리아(Victoria) 주의 다니엘 앤드류스(Daniel Andrews) 주 총리, 최근 봉쇄 조치를 시행키로 결정한 ACT의 앤드류 바(Andrew Barr) 수석장관은 지난 6월, 시드니에서 감염자가 발생했을 당시 NSW 베레지클리안(Gladys Berejiklian) 주 총리가 “보다 빠르고 엄격하게 봉쇄하지 못했다”고 비난했다. 

베레지클리안 주 총리는 이 같은 비난에 대해 “전염성이 매우 높은 ‘델타’ 균주를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지에 대해 완전히 비현실적 견해를 갖고 있다”고 반박했다.

현재 캔버라, 멜번, 시드니는 봉쇄 조치 하에 있다. 세 도시의 록다운은 각각 다른 날짜에 시작되었고, 봉쇄에 따른 제한 규정도 다르다.

그러나 ‘봉쇄’ 문제에 대한 정치적 비난 등은 차치하고, 당시 각 도시 당국과 최고 결정권자가 취한 조치와 관련하여, 현 시점에서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

최근 구글(Google)은 이들 각 도시 거주민들이 봉쇄 조치 첫 2주 동안 어떻게 행동했는지를 보여주는 데이터를 공개했다. 최근 ABC 방송은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세 도시의 봉쇄 조치와 제한 규정을 비교, 눈길을 끌었다.

 

캔버라, 신속하고

엄격한 제한 규정 시행

 

구글이 내놓은 데이터는 각 도시 거주민들이 어디를 방문하는지 추적하고자 구글이 이들의 휴대전화 위치를 기반으로 집계한 결과이다.

구글은 전염병 사태가 발생하기 전인 2020년 초, 록다운이 발령되기 전 기간에 사람들이 다양한 장소에서 보낸 시간을 표시했다.

 

종합(록다운 분석 2).jpg

구글(Google)이 봉쇄 조치 첫 2주간 세 도시 거주민들의 이동 상황을 집계한 데이터. 이 자료를 보면 캔버라 거주민들의 이동은 다른 두 도시에 비해 덜한 편이었다.

 

봉쇄 조치의 가장 분명한 두 가지 영향은 명백했다. 사람들은 집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냈고 직장에서 일한 시간은 더 적었다(이 데이터의 0일은 각 도시 전체의 봉쇄 조치기 시작된 날짜를 나타낸다).

캔버라 거주민들의 반응은 시드니와 멜번 거주자들과 상당히 달랐지만 몇 가지 분명한 설명이 있다. ACT 거주민은 집에서 비교적 쉽게 처리할 수 있는 행정 또는 지식 관련 업무에 종사하는 이들이 많다는 것이다.

이들 캔버란스(Canberrans, 캔버라 거주민들)는 멜번 도시민들(Melburnians)처럼 4개월 동안의 록다운을 견뎌낸 적이 없다. 8월 12일 시작된 봉쇄 조치 이전까지, ACT 거주민들은 해당 지역에서의 감염 발생가 사례가 없는 비교적 평온한 한 해를 보냈다.

그런 점에서 캔버란스들은 ‘록다운 피로감’을 느낄 이유가 없었다.

 

시드니 지역,

상당히 느슨한 제한

 

세 도시의 주요 차이점은 봉쇄 조치에 따른 제한 규정이었다. NSW 주 정부가 지난 6월 26일 도시 전체를 대상으로 봉쇄 조치를 취했을 때, 대부분 시드니사이더들(Sydneysiders)은 도시 내에 한하여 야외에서 운동을 하거나 레크리에이션을 즐길 수 있는 시간, 이를 위한 이동 거리에 제한이 없었다.

이 같은 제한 규정은 후에 강화되었지만 더 넓은 범위의 사업체와 소매점도 계속 영업을 하는 것이 허용됐다.

데이터에 따르면 이 초기 단계에서 시드니사이더들은 보다 엄격한 제한을 받는 사람들에 비해 야외 레저 장소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냈다.

특히 록다운 상황에서도 해변에서 시간을 보내는 사람들의 사진은 일부 도시민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만들었지만 대부분 시드니 거주민들은 NSW 주 정부의 공공보건 명령을 준수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봉쇄 조치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은

 

현재까지만 본다면, 세 도시의 록다운 조치는 그 어느 것도 완벽하게 작동하지 않았다. COVID-19는 세 도시 모두에서 계속 확산되었기 때문이다. 이와 동시에 록다운은 다양한 범위에서 감염률을 늦추고 사망을 막았다.

 

종합(록다운 분석 3).jpg

봉쇄 조치가 취해진 시드니, 멜번, 캔버라 거주민들의 이동 상황을 집계한 구글 데이터에 따르면 캔버라의 경우 주민들의 이동이 비교적 적었다. 이는 ACT 거주자들이 재택근무가 가능한 분야에 종사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사진은 록다운이 취해진 캔버라의 한 거리. 사진 : ABC 방송 뉴스 화면 캡쳐

 

NSW 주 정부는 ‘제한이 엄격하지 않은 봉쇄 조치’를 취함으로써 바이러스가 더 확산되도록 했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구글의 거주민 이동 데이터는 시드니사이더들과 멜버니안들이 각자의 습관을 바꾼 방식에서 비교적 작은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ABC 방송은 “이 데이터는 정치적 결정을 평가하는 데 있지 않으며, 다만 어느 도시의 제한 규정이 가장 잘 작동하는지를 알아보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써 가치가 있다”는 점을 밝혔다. “예를 들어 사람들이 집 밖에서 시간을 보내는 게 중요할까? 또 어떤 여행 패턴이 높은 지역 감염률과 관련이 있을까? 등이 그것”이라는 설명이다.

이어 방송은 “이번 바이러스 대유행으로 인해 향후 봉쇄 조치는 계속 우리네 삶의 일부가 될 가능성도 있다”며 “그런 점에서 언젠가는 이 궁금증에 대한 답이 필요한 게 사실”이라고 덧붙였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록다운 분석 1).jpg (File Size:102.0KB/Download:15)
  2. 종합(록다운 분석 2).jpg (File Size:81.0KB/Download:13)
  3. 종합(록다운 분석 3).jpg (File Size:61.0KB/Download:16)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301 호주 타스마니아 주, 법적 흡연 가능 연령 높일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5.12.23.
6300 호주 시드니 지역 주택부족 심화로 ‘그래니 플랫’ 붐 file 호주한국신문 15.12.23.
6299 호주 시드니 주택 부족... 노숙자 평균 5년 ‘길거리서’ file 호주한국신문 15.12.23.
6298 호주 NSW 베어드 정부, 카운슬 합병 강제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15.12.23.
6297 뉴질랜드 뉴질랜드, 세계에서 가장 살기 좋은 나라 순위 2위에 올라 [1] file 굿데이뉴질랜.. 15.12.30.
6296 뉴질랜드 재외국민 주민등록증 제도 실시, 7월1일부터 국내거소신고증 효력 상실 file 굿데이뉴질랜.. 16.01.10.
6295 뉴질랜드 '옹알스 (ONGALS)' 결성 10주년 기념 첫 공연 뉴질랜드에서 무언 코미디로 언어의 장벽을 넘어 K-코미디 선보여 file 굿데이뉴질랜.. 16.01.13.
6294 뉴질랜드 세계은행, TPPA로 2030년까지 뉴질랜드 수출 규모 10% 성장 예상 굿데이뉴질랜.. 16.01.13.
6293 호주 시드니 훈련 중인 두산베어스, 호-뉴 대표팀과 친선경기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1.
6292 호주 2015년 ACT 부동산 최고 상승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1.
6291 호주 Good life... 고대 철학자에게서 길을 찾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1.
6290 호주 지난 12년간 호주인 주류소비 전반적 감소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1.
6289 호주 어린이 5명 중 1명, 학업습득 능력 ‘취약’ 상태서 입학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1.
6288 호주 시드니 사립학교 학부모들, 학비 25만 달러 예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1.
6287 호주 고위 공직자들, 납세자 세금으로 만찬 즐겨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1.
6286 호주 상위 62명의 자산, 전 세계 절반의 재산 규모와 동일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1.
6285 호주 고령의 호주인 의사 부부, 이슬람 지하디스트에 납치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1.
6284 호주 디지털 시대의 직업 전망, 호주 청년들 “우울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1.
6283 호주 호주 국가 형성의 시작 Australia Day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1.
6282 호주 버클루스 소재 저택, 1천800만 달러 경매에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8.
6281 호주 호주 범죄조직의 불법 마약 저가공급 ‘심각’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8.
6280 호주 2015년 호주 영화업계, 최고의 호황 누려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8.
6279 호주 호주 주택가격, 세계 1위 홍콩에 버금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8.
6278 호주 “부동산 시장, 중국 정부 외화유출 통제에 영향 없을 것”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8.
6277 호주 호주 원주민들, 여전히 ‘Australia Day'서 소외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8.
6276 호주 호주 ‘공화제 전환’ 움직임, 다시 수면 위로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8.
6275 호주 에어 비앤비가 꼽은 전 세계 Top 10 인기 숙소는...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8.
6274 호주 멜번 경매 시장, 올해에도 호황 이어갈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2.04.
6273 호주 강풍에 지붕 날아간 아파트... 황당, 분통 file 호주한국신문 16.02.04.
6272 호주 스트라스필드 횡단보도서 젊은 대학생 숨져 file 호주한국신문 16.02.04.
6271 호주 패리 오키든, 드러나지 않았던 호주 최고의 부자 file 호주한국신문 16.02.04.
6270 호주 ‘Lockout Laws’, 시드니 도심, ‘고스트 타운’ 되나... file 호주한국신문 16.02.04.
6269 호주 NSW 베어드 주 수상, GST 관련 새 제안 내놔 file 호주한국신문 16.02.04.
6268 호주 호주인 정서, “아직은 군주제 지지 우세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2.04.
6267 호주 시드니, 주요 도시 중 소득 불평등 가장 심각 file 호주한국신문 16.02.04.
6266 호주 Best experiences in Australia: The things we do better than anywhere else file 호주한국신문 16.02.04.
6265 호주 시드니 경매 낙찰률, 지난해 봄 시즌 이후 최고치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6264 호주 NSW 주 상어위험 대처 프로그램, 실효성 ‘의문’?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6263 호주 알 카에다에 납치, 조설린 엘리엇 여사 풀려나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6262 호주 경기회복 조짐? 지난 1월 구직광고 1%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6261 호주 늦은 밤 호텔에 또 무장 강도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6260 호주 NSW 의회, “원주민 ‘잃어버린 세대’에 보상 이뤄져야...”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6259 호주 “높은 주택 임대료, 심한 ‘스트레스’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6258 호주 정부의 세제개혁, 어디로 가나...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6257 호주 “교육 부문에서 우리 사회는 결코 평등하지 않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6256 호주 “시드니 야간경제 몰락, ‘새 음주법’ 때문이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6255 호주 시드니 억만장자(super-rich)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6254 호주 호주 현지인들도 잘 모르는 시드니 하버의 섬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6253 호주 시드니 주택가격 고공행진 이어가... 3침실 주택 150만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6252 호주 ABS, 올 8월 센서스에 지역사회 협조 당부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