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코어로직 전망 1).jpg

올 들어 급격한 가격 상승을 보이던 호주 주택가격이 11월에는 다소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가격 성장은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사진은 지난 달 둘째 주 주말 경매에서 275만 달러에 낙찰된 시드니 이너웨스트(inner west), 릴리필드(Lilyfield)에 자리한 테라스 주택. 지난해 8월 125만 달러에 매매됐던 주택이다. 사진 : CobdenHayson Annandale

 

‘CoreLogic National Home Value Index’, 1년 사이 평균 20% 올라

금액으로는 평균 12만6천 달러 추가돼... 브리즈번-애들레이드 강세 지속

 

지난 달(11월) 호주 주택가격 조사 결과, 팬데믹 기간 중의 부동산 시장 붐이 지속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컨설팅 사인 ‘코어로직’(CoreLogic)이 이달 첫 주 내놓은 11월 ‘National Home Value Index’에 따르면 호주 주택가치는 지난 12개월 사이 전국적으로 20% 이상 상승했으며, 이로써 평균 12만6,700달러가 추가됐다.

하지만 올해 중반에 보여주었던 활력은 서서히 식어가는 것으로 분석된다. 11월 호주 주택가격은 전국적으로 1.3%가 올랐지만, 올해 들어 가장 낮은 상승률이다.

이는 호주 부동산 시장을 선도하는 시드니와 멜번(Melbouene) 전역에서 시장에 나오는 매물이 크게 증가하고 높아진 주택가격에 대한 압박이 더해지면서 상황이 급격하게 둔화된 것으로 풀이된다.

시드니 주택가격은 11월 한 달 동안 0.9%가 오른 반면 멜번은 0.6% 성장에 그쳤다 이는 올해 3월 한 달 동안 시드니가 3.7%, 멜번이 2.4% 급등한 것과 크게 비교된다.

‘코어로직’의 팀 로리스(Tim Lawless) 선임연구원은 이 같은 성장속도 둔화 배경에는 여러 요인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먼저 “최근 수개월 동안 주택 가치를 높인 모든 요소들이 어느 정도 효력을 잃었다”고 설명했다. “고정 주택담보대출(mortgage) 이자율이 오르고, 보다 많은 매물이 시장에 공급됨으로써 예비 구매자들의 시급함을 덜어주었으며, 높아진 주택가격으로 예비 구매자들의 주택시장 진입이 어려워졌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로리스 연구원은 “하지만 부동산 붐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고 진단했다. “호주 부동산 시장의 뜨거운 열기는 사라졌지만 아직은 식지 않은 상황”이라는 그는 “성장속도가 둔화된 시드니와 멜번의 경우 한 달에 1%정도씩 가격이 상승하는 것을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현재 호주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지역은 현재 주택가격이 급격히 오르고 있는 브리즈번(Brisbane, Queensland)과 애들레이드(Adelaide, South Australia)이다. 로리스 연구원에 따르면, 이들 도시는 아직 경기침체를 경험하지 않은 유일한 도시일 수 있다.

 

부동산(코어로직 전망 2).jpg

‘코어로직’의 지난 달 주택가격 흐름. 그래프 : CoreLogic

 

지난 달, 브리즈번 주택가격은 2.9%가 상승해 최고 성장률을 보였다. 이는 18년 만에 가장 가파르게 상승한 수치로, 불과 한 달 사이 각 주택에 1만8,500달러가 늘어난 셈이다.

애들레이드도 2.5% 상승을 보였다. 이는 1993년 2월 이후 가장 높은 성장률이며, 이로써 애들레이드 각 주택가격은 평균 1만3,500달러가 더해졌다.

로리스 연구원은 “시드니 및 멜번에 비해 브리즈번과 애들레이드에서의 주택구입은 더 어려운 편”이라며 “COVID-19로 인한 봉쇄 조치의 혼란이 거의 없었고 다른 주에서의 긍정적인 이주 비율이 주택 수요를 부채질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시드니와 멜번은 가격 적합성에 대한 압박과 함께 다른 주는 물론 해외에서의 인구 유입도 어려워짐에 따라 주택 수요가 큰 영향을 받았다는 게 로리스 연구원의 분석이다.

각 도시별로 제각각인 주택 공급은 각 도시 전반에 다양한 추세를 만들고 있다. 지난 달 28일까지 4주 동안 애들레이드 전역에 판매 가능한 주택 총 재고는 지난 5년간의 평균보다 32%, 브리즈번은 33.9%가 감소했다.

반면 시드니와 멜번 전역의 매물 재고 수준은 최근 몇 주 동안 훨씬 정상화되어 시드니의 경우 지난 5년 평균보다 2.6% 낮을 뿐이며, 멜번은 5년 평균에 비해 7.9%가 높다.

로리스 연구원은 주택시장에 나오는 매물은 내년에도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면서 “이는 가격 성장 둔화의 핵심 요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매물이 많이 나오기 시작한 도시에서 예비 구매자가 더 많은 선택권을 갖게 되며, 이로써 가격 성장이 둔화된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고 덧붙였다.

지난달에도 호주 전역의 단독주택(house)은 유닛(unit)을 앞서는 상승을 보였다. 각 도시의 단독주택과 유닛 가격 성장률은 각 1.2%, 0.7%였다.

 

부동산(코어로직 전망 3).jpg

호주 전역, 각 도시의 주택가격 상승세가 한풀 꺾였지만 브리즈번(Brisbane, Queensland)은 여전히 강세를 이어가고 있다. 사진은 브리즈번 도심 외곽의 한 주택가. 사진 : Churchill Real Estate

   

중간 가격을 기준으로 각 도시의 단독주택은 유닛에 비해 37.9%가 높으며, 이는 이제까지의 주택가격 기록상 가장 큰 차이이다. 금액으로 보면 각 도시 단독주택은 유닛에 비해 평균 24만500달러가 높다. 특히 단독주택과 유닛 가격 차이가 가장 큰 시드니의 경우 그 폭은 52만3천 달러에 이른다.

로리스 연구원은 “주택 유형 사이의 가격 차이가 크기 때문에 예비 구매자들의 발길이 점차 고밀도 아파트로 향하는 것을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올해까지 호주 부동산 시장은 완만하지만 계속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로리스 연구원은 “주택시장이 둔화될 신호는 기준금리가 인상될 때”라며 “12월에도 성장률은 완만하지만 가격은 계속 오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 호주 주택가격

(도시 : 월 상승률 / 분기 상승률 / 연간 상승률 / Total return / 중간가격)

-Sydney : 0.9% / 4.3% / 25.8% / 28.8% / $1,090,276

-Melbourne : 0.6% / 2.4% / 16.3% / 19.0% / $788,484

-Brisbane : 2.9% / 7.4% / 25.1% / 29.8% / $622,199

-Adelaide : 2.5% / 6.5% / 21.4% / 26.5% / $558,179

-Perth : 0.2% / 0.4% / 14.5% / 19.5% / $528,540

-Hobart : 1.1% / 5.5% / 27.7% / 33.0% / $676,595

-Darwin : -0.4% / 0.2% / 16.7% / 23.5% / $493,047

-Canberra : 1.1% / 5.0% / 24.5% / 29.1% / $882,518

-Combined capitals : 1.1% / 4.0% / 21.3% / 24.6% / $783,557

-Combined regional : 2.2% / 5.9% / 25.2% / 30.4% / $527,322

-National : 1.3% / 4.4% / 22.2% / 25.8% / $698,170

*2021년 11월 30일 기준

Source : CoreLogic’s National Home Value Index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부동산(코어로직 전망 1).jpg (File Size:111.2KB/Download:13)
  2. 부동산(코어로직 전망 2).jpg (File Size:36.6KB/Download:10)
  3. 부동산(코어로직 전망 3).jpg (File Size:126.0KB/Download:14)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151 호주 이너시티 주택 경매 낙찰가, 여전히 ‘고공’ file 호주한국신문 16.04.07.
6150 호주 광역 시드니, 지역별 부동산 격차 갈수록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16.04.07.
6149 호주 학교 바자회에서도 $50 위조지폐 발견 file 호주한국신문 16.04.07.
6148 호주 호주 생태계 화제- 독설 내뱉는 ‘트럼프’, 물러서시오! file 호주한국신문 16.04.07.
6147 호주 시드니대학, 경영학부 졸업 일정 ‘일방적 변경’ file 호주한국신문 16.04.07.
6146 호주 “학교에서의 디지털 기기 의존, 실질적 교육에 방해” file 호주한국신문 16.04.07.
6145 호주 시드니와 멜번, 각국 부자들 끌어들이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4.07.
6144 호주 시드니 대학들, 서부 지역서 새 캠퍼스 부지 ‘물색’ file 호주한국신문 16.04.07.
6143 호주 시드니대학교, “학과 통폐합하고 연구비 늘리겠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4.07.
6142 호주 시드니 도심 인근 개발로 ‘인구 500만’ 빠르게 접근 file 호주한국신문 16.04.07.
6141 호주 파나마 ‘모색 폰세타’ 연루 호주인 1천명 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4.07.
6140 호주 턴불 정부 지지도, 집권 이후 노동당에 첫 역전 file 호주한국신문 16.04.07.
6139 호주 Going, going, gone... ‘Lockout Laws’ 이후 문 닫은 10개의 iconic bar는... file 호주한국신문 16.04.07.
6138 호주 UTS, 탈북 새터민 학생들에게 장학금 제공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16.04.14.
6137 호주 서리힐 2침실 테라스 주택, 낙찰가 180만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6.04.14.
6136 호주 ‘인종차별’ 혐의 니콜 보일, 교도소 행 file 호주한국신문 16.04.14.
6135 호주 호주인들, 비자금 모아 의류 구입-도박-유흥비로 file 호주한국신문 16.04.14.
6134 호주 “스마트폰, 사용자를 관음증 환자로 만들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16.04.14.
6133 호주 호주 중앙은행, 5달러 새 지폐 디자인 공표 file 호주한국신문 16.04.14.
6132 호주 아시안 ‘출장 여행자’들이 호주서 주로 구입하는 물품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4.14.
6131 호주 시드니 교외지역, 개인 무기고에 총기 수백 정... file 호주한국신문 16.04.14.
6130 호주 호주인들, “은퇴하기에는 모아둔 자금 너무 적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4.14.
6129 호주 지난해 NSW 주의 출산율 높은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16.04.14.
6128 호주 시드니 지역 각 학교, 늘어난 학생 감당 어려워 file 호주한국신문 16.04.14.
6127 호주 시드니 서부 지역 교통혼잡, 일자리 확대로 풀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6.04.14.
6126 호주 도심 낡은 주택, 잠정가보다 23만 달러 이상에 거래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1.
6125 호주 “부동산 경기 둔화? ‘노던 비치’ 지역은 예외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1.
6124 호주 젊은 여성들, ‘탄력적 근무조건’보다 ‘높은 연봉’ 원해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1.
6123 호주 호주 상위 대학들, 교내 성폭력 문화 대응 ‘총력전’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1.
6122 호주 “여행객들의 울룰루 바위 등반을 인정해 달라”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1.
6121 호주 호주 테라스 주택, 1천300만 달러 판매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1.
6120 호주 시드니대학 조교, 중국계 학생 ‘돼지’ 비하 논란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1.
6119 호주 호주 10대, 2013-14 회계연도 50만 달러 이상 세금 납부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1.
6118 호주 서부 지역 비즈니스, 교통 혼잡으로 영업 손실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1.
6117 호주 올해 연방 총선, 여야 ‘막상막하’ 대결구도 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1.
6116 호주 말콤 턴불 수상, 오는 7월 조기선거 추진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1.
6115 호주 Top 10 most unusual attractions in shopping malls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1.
6114 뉴질랜드 뉴질랜드 온라인 투표, 올해 지방선거 때는 안 한다 file 굿데이뉴질랜.. 16.04.23.
6113 뉴질랜드 뉴질랜드의 인도∙필리핀 이민자 40%가 채무자 file 굿데이뉴질랜.. 16.04.23.
6112 뉴질랜드 뉴질랜드 새 5달러 지폐 국제지폐상 수상 file 굿데이뉴질랜.. 16.04.27.
6111 뉴질랜드 오클랜드 집값 시드니도 추월, 투자자 주택 구매율 절반 가까워 file 굿데이뉴질랜.. 16.04.27.
6110 호주 부동산 시장 둔화 불구, 이너 시티 주택 ‘경매 대박’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8.
6109 호주 포츠 포인트 ‘주차장 크기’의 유닛, 가격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8.
6108 호주 호주 여행자들이 선정한 지구촌 ‘최고의 섬 여행지’는?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8.
6107 호주 Anzac Day 2016... 호주 전역서 기념행사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8.
6106 호주 “성교육 프로그램 ‘YEAM’ 폐지는 이데올로기적 사안”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8.
6105 호주 2013년 이후 차량등록 미갱신 적발 크게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8.
6104 호주 시드니, 전 세계 주택가격 상승 최상위 5개 도시 포함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8.
6103 호주 카운슬 합병 관련, 컨설팅 회사의 ‘이상한’ 자문 보고서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8.
6102 호주 ‘구인광고’서 드러난, 평균 임금 높은 시드니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