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여성 음주 1).jpg

20년에 걸쳐 매 3년마다 여성들로부터 수집된 음주 관련 데이터를 조사한 결과 호주 중년 여성들(45~60세)의 경우 다른 연령층에 비해 ‘폭음’ 수준의 음주를 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 : Pixabay / 453169

 

공공보건 여성 연구원들의 장기간 연구, 주 요인은 ‘불균형적 가사노동 스트레스’

 

케이티(Katie. 가명)씨는 매일 밤 소파에 앉아 반병의 와인을 마신다. 두 자녀를 돌보며 풀타임 일을 하는 긴 하루를 보낸 후 긴장을 덜어내기 위해서이다.

그녀는 둘째 아이를 가진 후 술을 더 많이 마시기 시작했지만 전염병 사태로 인한 스트레스와 재택근무가 이를 더 악화시켰다고 말한다. “나 스스로 (술에 대한) 통제력을 잃은 것 같다”는 케이티씨는 “(업무가 끝나는) 오후 5시를 기다리게 되고, (술을 마실 수 있는) 그 시간이 되어서야 편한 마음을 가질 수 있다”고 털어놓았다.

그녀는 종종 ‘아직은 아이들이 어리니까’ 또는 ‘지금은 팬데믹 기간이기 때문에’라는 생각으로 자신의 음주를 합리화했다. 그러면서도 두 아이의 엄마로서 그녀는 술을 떼어내지 못하는 것에 대해 죄책감을 느끼고 또 장기적으로 건강에 미칠 영향을 걱정한다고 덧붙였다.

그런 한편 케이티씨는 “그런 점이 불안하지만 또한 그 불안감을 덜어주고 기대감도 생기며 어른의 시간을 만끽한다는 즐거움이 있다”고 고백했다.

 

45-60세 여성,

이전보다 음주량 크게 증가

 

케이티씨는 이전보다 음주량이 늘어난 호주 중년 여성 가운데 한 명이다. 지난 1월 마지막 주, 약물 및 음주 관련 문제 및 연구를 다루는 학술지 ‘Drug and Alcohol Review’(Australasian Professional Society on Alcohol and other Drugs 발행)에 게재된 새 연구에 따르면 45세에서 60세 사이 여성 가운데 약 21%가 현재 ‘폭음’ 수준으로 술을 마시고 있다. 이는 20년 전인 지난 2001년, 같은 수준의 음주를 하는 집단의 여성 비율 14%에서 크게 증가한 것이다.

연구원들은 2001년에서 2019년 사이, 매 3년마다 호주 전역의 여성들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조사했다. 이번 연구 및 보고서 책임 저자인 ‘George Institute for Global Health’의 미아 밀러(Mia Miller) 연구원은 “스트레스가 알코올 섭취의 중요한 요인”이라면서 “오늘날 우리는 각 직장 내 여성 직원이 그 어느 때보다 많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그들은 여전히 가정에서 불균형적인 가사노동의 부담을 안고 있다”고 지적했다.

 

종합(여성 음주 2).jpg

알코올 분야의 보건 연구원들은 중년 여성 음주의 경우 젊은 연령층 및 남성에 비해 건강상의 위험이 크게 높다고 지적한다. 사진 : Pixabay / kaicho20

   

밀러 연구원은 “특히 지난 수년 사이, 음주는 사회적 활동에서 호주 문화의 한 부분으로 깊게 뿌리내렸다”면서 “사회 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술이 필요하다는 사회적 기대가 있고, 동시에 주류 광고는 그런 낙인을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음주로 인한 피해,

여성이 더 빨리 경험...”

 

이번 연구 보고서의 공동 저자인 ‘Menzies School of Health Research’의 카산드라 라이트(Cassandra Wright) 연구원은 음주는 남성보다 여성에게 더 큰 위험을 초래한다고 설명했다.

“여성은 적은 양의 알코올 섭취로도 더 빨리 해를 입을 수 있다”는 그녀는 “음주가 200가지 이상의 질환 및 질병 상태와 연관되어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며 “이는 더 많은 여성이 해를 입는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경고했다.

연구원들은 이번 연구에서 독신 여성, 먼 내륙 지역 및 지방에 거주하는 여성이 해로울 정도의 과다한 음주 위험이 크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번 연구와 관련, 알코올 및 전염병 연구원인 엠마 밀러(Emma Miller) 박사는 “중년 여성들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더 많은 음주를 한다는 것은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알려진 것이지만 이번 연구는 지난 20년 동안 그 관계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에 대한 새로운 증거를 제시했다”고 평가했다.

 

‘중년여성 음주’ 관련,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밀러 박사는 “이번 연구를 통해 중년 여성들 가운데 하위 그룹(중간 이하 소득이거나 대학 학위가 없는 이들)이 매우 다른 이유로 음주를 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를 해결할 확실한 대책(silver bullet)은 없다”고 분석했다.

 

종합(여성 음주 3).jpg

여성의 음주에 대한 장기간의 연구를 진행한 ‘George Institute for Global Health’의 미아 밀러(Mia Miller) 연구원. 그녀는 여성들로 하여금 ‘폭음’을 하게 하는 사회적 요인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사진 : Mia Miller 제공

   

이어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이 연령대의 여성들을 위해 ‘무엇이 상황을 더 좋게 만들 수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라는 밀러 박사는 자신의 질적 연구(qualitative research. 연구 대상과 합의 하에 진행하는 연구)를 언급하면서 “(음주로 인한) 암 위험 감소와 같은 ‘장기적 결과’를 우려하지 않고 불면 해결이나 원만한 대인관계 또는 체중 감량 등을 위해 음주를 하는 경향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연구를 진행한 연구팀의 두 연구원은 물로 엠마 밀러 박사는 ‘중년 여성의 과다한 음주 위험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며 아울러 개인의 음주가 비난받는 일은 없어야 한다’는 것에 같은 의견을 보였다.

케이티씨는 수시로 금주를 생각하지만 스스로 그렇게 할 준비가 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자신이 없다. 현재 그녀는 매일 음주를 하는 상태에 있다. 그녀는 “항상 피곤을 느끼고 (술을 마시지 않으면) 잠을 잘 이루지 못한다”며 “술을 마신 후의 세상이 어떻게 보이는지 기대감으로 음주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살아가고 있는 것이 아니라 그냥 생존해 있는 지경”이라며 알코올에 의지하는 현재 상황을 하소연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여성 음주 1).jpg (File Size:63.1KB/Download:14)
  2. 종합(여성 음주 2).jpg (File Size:66.6KB/Download:12)
  3. 종합(여성 음주 3).jpg (File Size:69.5KB/Download:1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401 호주 호주 중앙은행, “토지개발 제한이 집값 40% 상승 요인” file 호주한국신문 18.03.15.
6400 호주 호주 중앙은행, ‘10달러’ 새 디자인 지폐 공개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6399 호주 호주 중앙은행, 8개월 연속 기준금리 인상... 현금 이자율 3.1%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8.
6398 호주 호주 중앙은행, 6개월 연속 금리 인상... 이달 상승폭은 0.25%포인트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6397 호주 호주 중앙은행, 5달러 새 지폐 디자인 공표 file 호주한국신문 16.04.14.
6396 호주 호주 중앙은행, 5개월 만에 기준금리 인상 단행... 모기지 보유자 ‘타격’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9.
6395 호주 호주 중앙은행, 10개월 연속 기준금리 인상... 3.6%로 11년 만에 최고치 file 호주한국신문 23.03.09.
6394 호주 호주 중립 금리 3.5% 설 파장…RBA 부총재 긴급진화 나서 톱뉴스 17.07.25.
» 호주 호주 중년 여성 21%, '폭음' 수준의 음주... 2001년 대비 거의 두 배 file 호주한국신문 22.02.03.
6392 호주 호주 주택위기 지속... “2041년까지 100만 채의 커뮤니티 주택 필요”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1.
6391 호주 호주 주택위기 심화... 구입 경제성, 30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23.09.08.
6390 호주 호주 주택시장 사상 첫 1억 달러 대저택 거래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18.12.19.
6389 호주 호주 주택시장 붐… 가격 상승 속도, 전 세계에서 일곱 번째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6388 호주 호주 주택시장 둔화를 무색케 하는 지방 핫스폿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6387 호주 호주 주택대출 부채 사상 최고 file 한호일보 16.03.30.
6386 호주 호주 주택가격, 세계 1위 홍콩에 버금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8.
6385 호주 호주 주택가격, ‘가을 침체’ 이후 회복세로 호주한국신문 14.08.07.
6384 호주 호주 주택가격 하락 가능성? 국내 전문가들, “위험 수준은 아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6383 호주 호주 주택가격 다시 오름세 조짐 톱뉴스 17.08.01.
6382 호주 호주 주택 시장- 호바트, 홀해도 주택시장 상승세 이어질까? file 호주한국신문 19.01.10.
6381 호주 호주 주택 시가 총액 6조 달러…증권 거래소 및 퇴직연금 적립액 2배 톱뉴스 17.07.23.
6380 호주 호주 주택 거래량 반등했지만 판매 규모는 20년 전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19.10.17.
6379 호주 호주 주택 가격, 6년 만에 처음으로 하락... 전국 -0.4% file 호주한국신문 18.06.07.
6378 호주 호주 주요 복지 단체들, “법인세 인하 막아달라” 호소 file 호주한국신문 18.03.29.
6377 호주 호주 주요 도시의 지역별 인구성장 격차 두드러져 file 호주한국신문 19.04.04.
6376 호주 호주 주거용 부동산 총 가치, 올해 말 9조 달러 이를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6375 호주 호주 주 총리(Premier)들, 세계적 전염병 사태 속 ‘SNS 스타’로 부상 file 헬로시드니 20.08.14.
6374 호주 호주 젯스타·제주항공, 12월 인천∼골드코스트 취항…’파격적 항공료’ 톱뉴스 19.10.30.
6373 호주 호주 정치인, 노조 관계자도 ‘세월호 특별법’ 청원 동참 호주한국신문 14.07.17.
6372 호주 호주 정치권, 황화론 재연 공방 가열 톱뉴스 19.12.10.
6371 호주 호주 정부의 총기환매 이후 자살-살인율 감소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370 호주 호주 정부, 중국 이어 이란도 ‘입국제한’ 대상 국가에...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6369 호주 호주 정부, 인공지능(AI) 가이드라인 만든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11.21.
6368 호주 호주 정부, 구글·페북 등 공룡 플랫폼 조준 ‘공정 경쟁 지침’ 도입 톱뉴스 19.12.17.
6367 호주 호주 정부, “코로나19 기하 급수적으로 증가 할 것” …확진 368명 사망 6명 호주브레이크.. 20.03.17.
6366 호주 호주 정부, “코로나 19 완전 폐쇄 거부”vs전문가들, “폐쇄 안하면 사망자 증가 할 것” 호주브레이크.. 20.03.26.
6365 호주 호주 정부, "입국 제한 국가에 한국 포함" 호주한국신문 20.03.05.
6364 호주 호주 정부 이민 정책, “뉴질랜드인 받고, 아시아인 줄이겠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4.19.
6363 호주 호주 정부 관광청, 영국 여행자 대상 ‘관광 캠페인’ 재개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
6362 뉴질랜드 호주 정당인, NZ 출신 의원에게 뉴질랜드 돌아가라고 말해 NZ코리아포.. 18.09.04.
6361 호주 호주 정규직 여성 평균 임금, 남성 대비 87%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2.
6360 호주 호주 정규직 여성 임금, 남성 동료에 비해 연간 약 13,200달러 적어 file 호주한국신문 23.03.09.
6359 호주 호주 정계, 대중국 외교 관계에서는 ‘여-야 한목소리’ file 헬로시드니 20.09.04.
6358 호주 호주 젊은층에서 불법 ‘아이스’ 복용 크게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6357 호주 호주 젊은이들의 K-Pop 댄스 실력은... 호주한국신문 14.08.14.
6356 호주 호주 젊은이들에게 ‘평생 직업’ 개념 사라져...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6355 호주 호주 젊은이들, 말레이시아서 ‘국기모독’으로 체포 file 호주한국신문 16.10.06.
6354 호주 호주 젊은이들 자살비율, 지난 10년 이래 ‘최고’ file 호주한국신문 16.12.08.
6353 호주 호주 젊은이들 3명 중 1명, “외롭지만 친구 사귀기 힘들어” file 호주한국신문 19.11.07.
6352 호주 호주 젊은 수학자, 런던 왕립학회 최연소 회원에 file 호주한국신문 18.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