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VIC 문학상 1).jpg

호주 원주민 거나이커르나이(Gunaikurnai) 부족 출신의 여성 작가 베로니카 고리(Veronica Gorrie. 사진 왼쪽)씨가 첫 작품이자 호주 문단 데뷔작인 <Black and Blue: A Memoir of Racism and Resilience>로 올해 ‘Victorian Premier's Literary Awards’에서 최고상(Victorian Prize for Literature)의 영광을 안았다. 사진 : Twitter / Conversations

 

원주민 작가 베로니카 고리씨, 상금 10만 달러의 ‘빅토리안 문학상’ 영광

데뷔작 ‘Black and Blue’로... ‘Prize for Indigenous Writing’ 부문도 차지

 

빅토리아 주 남동부, 깁스랜드(Gippsland) 일대를 기반으로 살아온 원주민 거나이커르나이(Gunaikurnai) 부족 출신의 여성 작가 베로니카 고리(Veronica Gorrie)씨가 첫 작품이자 호주 문단 데뷔작인 ‘Black and Blue: A Memoir of Racism and Resilience’로 호주 최고 권위의 문학상 가운데 하나인 2022년 ‘Victorian Premier's Literary Awards’에서 최고상인 ‘Victorian Prize for Literature’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

지난 2월 3일(목) 밤 멜번(Melbourne)에서 발표된 각 부문 수상에서 고리 작가는 또한 이 상의 각 부문 중 원주민 작가에게 수여하는 ‘Prize for Indigenous Writing’(상금 25,000달러)까지 차지했다.

이 작품은 독자들로 하여금 작가가 빅토리아 주에서 보낸 어린 시절로 여행을 떠나게 하는 내용으로, 쿠리(Koorie)라는 이름의 아이(본인)를 앞세워 그녀 부족의 트라우마와 힘을 증언하는 이야기이다.

미혼모가 된 쿠리는 퀸즐랜드(Queensland) 주 경찰청에 들어가 몇 안 되는 원주면 경찰의 한 명이 된다. 그리고 지역사회를 위한 리더이자 힘의 원천이 되기를 희망한다.

인종차별과 회복력의 기록(Memoir of Racism and Resilience)이라는 부제목 그대로 그녀는 경찰 내에서 인종차별주의자인 간부 및 상관들과 부딪히게 되고, 이들에 대한 환멸이 점차 커지면서 결국은 경찰직을 사암하게 되는 내용을 기록했다.

‘Blue and Black’에는 빅토리아 주 동부 깁스랜드 지역의 붕 얀다(Bung Yarnda)로 알려진 거나이커르나이 부족 거주지 ‘Lake Tyers Aboriginal Trust’의 1970년대 삶에 대한 풍성한 이야기가 담겨 있다.

이 작품에서 고리 작가는 장난스러운 유머 감각과 타고난 스토리텔링 재능을 기반으로 학대, 인종차별, 성차별 생존자로서의 자신의 외상적 경험에 대한 깊은 통찰력을 보여준다.

소설 제목인 ‘Blue and Black’은 검게 변색되거나 시퍼렇게 남은 멍 자국을 설명할 때 언급되는 말로, 흑인 여성으로서 그녀의 유산과 힘의 시간을 모두 담아낸 것이기도 하다.

이 회고(memoir)는 또한 작가가 가장 친한 친구로 묘사한 그녀의 아버지 존 고리(John Gorrie)에게 바치는 러브레터이기도 하다.

 

종합(VIC 문학상 2).jpg

마일스 프랭클린 문학상을 수상한 바 있는 작가 멜리사 루카센코(Melissa Lucashenko)씨는 이 작품에 대해 “한 번에 다 잃었다. 도중에 책을 놓을 수가 없었다”고 말했다. 사진 : Scribe

   

올해 빅토리안 문학상 심사위원 중 원주민 작가인 탐마 볼(Timmah Ball), 트리스턴 하우드(Tristen Harwood), 크리스탈 맥키넌(Crystal McKinnon)씨는 심사평에서 “고리 작가의 이 작품 한 페이지, 한 페이지는 독자들의 영적 성장을 북돋우는 고무적인 회고”라면서 “작가가 표현한 독특한 원주민 스토리텔링은 우리가 그녀와 뒷마당의 난로 앞에 앉아 직접 그녀로부터 이야기를 듣는 것 같은 즉각적인 울림을 준다”고 평가했다. 또한 “독자에 대한 그녀의 따스함과 사랑, 보살핌은 작품 전체에서 느껴진다”는 말도 덧붙였다.

지난 2019년, 소설 ‘Too Much Up’으로 호주 최고 권의의 문학상으로 평가받는 마일스 프랭클린 문학상(Miles Franklin Awars)을 수상한 바 있는 작가 멜리사 루카센코(Melissa Lucashenko)씨는 "단숨에 읽었다. 손에서 책을 놓을 수 없었다. 아주 멋진 작품"이라고 말했다.

올해 수상자 발표 직후 수상 수락 연설에서 “놀랍다”고 전한 고리 작가는 “진정 이 상을 기대하지 않았으며, 내가 이 상을 받을 자격이 있다고 생각하지 않았었다”고 말했다.

 

■ Victorian Premier's Literary Awards 각 부문 수상작 및 작가

-Victorian Prize for Literature: <Black and Blue: A Memoir of Racism and Resilience> / Veronica Gorrie

-Prize for Fiction: <Smokehouse> / Melissa Manning

-Prize for Non-Fiction: <The Mother Wound> / Amani Haydar

-Prize for Indigenous Writing: <Black and Blue: A Memoir of Racism and Resilience> / Veronica Gorrie

-Prize food Drama: <Milk> / Dylan Van Den Berg

-Prize for Poetry: <Trigger Notes> / Maria Takolander

-Prize for Writing for Young Adults: <Girls in Boys' Cars> / Felicity Castagna

-Unpublished Manuscript Award: <Fauna of Mirrors> / Keshe Chow

-The People's Choice Award: <Tiger Daughter> / Rebecca Lim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VIC 문학상 1).jpg (File Size:60.7KB/Download:17)
  2. 종합(VIC 문학상 2).jpg (File Size:89.0KB/Download:2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801 뉴질랜드 강창희 국회의장 주최 동포 초청 간담회 굿데이뉴질랜.. 14.03.11.
6800 뉴질랜드 더니든 남성 99글자짜리 이름으로 개명 성공 굿데이뉴질랜.. 14.03.11.
6799 뉴질랜드 주오클랜드분관 청사 이전 안내 굿데이뉴질랜.. 14.03.11.
6798 뉴질랜드 2014 한인의날 Korean Day 안내 (3월 15일) 굿데이뉴질랜.. 14.03.11.
6797 뉴질랜드 제34회 한국어능력시험(TOPIK) 대비 오리엔테이션 및 문제해설 특강 (4주) 굿데이뉴질랜.. 14.03.11.
6796 뉴질랜드 총선 끝난 후 ‘뉴질랜드 국기 교체 여부’ 국민투표 굿데이뉴질랜.. 14.03.12.
6795 뉴질랜드 청소년 백일장 우리말 글쓰기 예선 합격자 굿데이뉴질랜.. 14.03.13.
6794 뉴질랜드 A형 간염 주의보 ‘감염자 접촉 사과, 복숭아 리콜’ 굿데이뉴질랜.. 14.03.14.
6793 뉴질랜드 대한민국 하키 여자국가대표팀, 뉴질랜드 하키 여자국가대표팀과 공식 경기 예정 굿데이뉴질랜.. 14.03.14.
6792 뉴질랜드 다음 정권은 9월 20일에 결판난다 굿데이뉴질랜.. 14.03.14.
6791 뉴질랜드 기업체, 고유식별번호로 통합 관리한다 굿데이뉴질랜.. 14.03.14.
6790 뉴질랜드 뉴질랜드, OECD중 단연 경제 성장률 높아 굿데이뉴질랜.. 14.03.18.
6789 뉴질랜드 웰링턴 박지관 교수, 여왕메달(QSM) 수여 굿데이뉴질랜.. 14.03.18.
6788 호주 시드니 대학들, 건물 증축에 수십억 달러 쏟아 부어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7 호주 호주, 아동빈곤 늘어나고 자선단체 기부도 줄어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6 호주 끊이지 않는 시드니 지역 총기 사건, 공원 주차장서 또 발생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5 호주 NSW 주 재무장관, “경제 성장의 강한 탄력 확신...”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4 호주 총기공격 사건 수사 경찰, 펀치볼서 총기 압수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3 호주 코만체로 조직원 총기살해 사건 용의자 체포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2 호주 호주의 ‘Generation Y’, 그들의 젊음과 불안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1 호주 한류의 또 다른 바람 ‘한국의 후라이드 치킨’ file 호주한국신문.. 14.03.20.
6780 뉴질랜드 2014 오클랜드 한인의 날 성공리에 개최 굿데이뉴질랜.. 14.03.21.
6779 뉴질랜드 외국인 주택매매중 1/4은 중국인이 사들였다 굿데이뉴질랜.. 14.03.21.
6778 뉴질랜드 뉴질랜드 낮은 실업률, 고용시장 안정화 국면 file 굿데이뉴질랜.. 14.03.21.
6777 뉴질랜드 뉴질랜드 경제 상승곡선위에서 주춤주춤 굿데이뉴질랜.. 14.03.24.
6776 뉴질랜드 교육부, 학생성적에 따라 학교운영비 지원 추진 굿데이뉴질랜.. 14.03.24.
6775 호주 한국, 호주·오만·쿠웨이트와 조별리그 호주동아일보 14.03.26.
6774 호주 메디뱅크 매각 추진..주식 공모 방식, 40억불 가치 추산 호주동아일보 14.03.26.
6773 호주 “홈론 대출기준 완화하지 말라” 호주동아일보 14.03.26.
6772 호주 한국인 박씨, 파경으로 약혼 비자 만료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6.
6771 호주 권혜승 '나비부인' 데뷔로 올해 시즌 개막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6.
6770 호주 애보트 총리 “첫 방한 고대하고 있다”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6.
6769 뉴질랜드 혹스베이지역 돼지독감 발생, 주의보 발령 굿데이뉴질랜.. 14.03.28.
6768 뉴질랜드 한-뉴질랜드 경제공동위, 양국간 협력 강화 합의 굿데이뉴질랜.. 14.03.28.
6767 호주 72억불 프로젝트 파이낸싱 계약 완료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6 호주 2000년 이후 이민자 설문조사 3%만 긍정 평가, 40% “1년간 차별 경험”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5 호주 송 한인회장, 스트라스필드시에 건의안 제출 계획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4 호주 애보트 총리, 영국 왕실 작위 부활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3 호주 호주 야당 “최선의 딜 여부 정밀 감사할 것”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2 호주 호주 야당 “최선의 딜 여부 정밀 감사할 것”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1 호주 AFC 아시안컵축구, 북한 중국 우즈베키스탄 C조 file 호주동아일보 14.03.28.
6760 호주 애보트 총리 “봉쇄 작전 큰 효과” 선언 file 호주동아일보 14.03.31.
6759 호주 합참의장 출신.. 애보트 총리 측근 file 호주동아일보 14.03.31.
6758 호주 2.5%.. 호주달러 미화 93센트 육박 file 호주동아일보 14.04.01.
6757 뉴질랜드 국민 3분의 1 "수입 격차 점점 벌어지고 있다" file 굿데이뉴질랜.. 14.04.02.
6756 호주 여야, 군소정당 총력전 호주동아일보 14.04.02.
6755 호주 바이키단체 변호사 ‘명예훼손’ 보상 청구 file 호주동아일보 14.04.02.
6754 호주 스트라스필드시 연방, 주정부 입장 청취 후 처리 방침 호주동아일보 14.04.02.
6753 호주 BP, 필립모리스 "호주 생산 중단" 발표 file 호주동아일보 14.04.02.
6752 뉴질랜드 유아교육은 뉴질랜드가 미국보다 앞서 굿데이뉴질랜.. 14.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