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료값 작년 동기간 대비 46% 가장 크게 올라... 오름세 지속 전망

 

 

gas.jpg
가스값 오른 것이 바이든 탓?
1월 소비자물가지수에서 가장 큰 폭으로 오른 것은 에너지 가격이다. 사진은 플로리다주 올랜도시 에지워터 선상의 한 주유소 펌프에 (바이든 대통령을 못마땅해하는) 개인 혹은 단체가 붙여놓은 스티커. 마치 바이든 대통령이 가솔린 가격을 향해 '내가 이렇게 만들었지' 라고 말하는 모습으로 꾸며놓았다. ⓒ 코리아위클리

 
(올랜도=코리아위클리) 박윤숙-김명곤 기자 = 지난 1월 미국의 소비자 물가가 40년 만에 최대 폭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연방노동부의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에 따르면지난 1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앞선 해 같은 기간보다 7.5%나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에 발표된 수치는 당초 전망치보다 더 높게 나온 것이다.

경제 전문 매체 <다우존스>는 1월 소비자물가지수가 7.2% 오를 것으로 전망했으나, 실제 수치는 이보다 0.3%P 더 높았다. 지난해 12월보다는 0.6% 오른 것이다.

이번에 발표된 7.5%의 증가 폭은 지난 1982년 2월 증가폭 7.6% 이후 가장 큰 폭이다. 이후 단 한 번도 7%대를 넘지 않다가 지난해 12월 다시 7%를 넘기고 이번에 기록을 갱신한 것이다.

소비자물가지수는 계속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지난 2021년 한 해 동안 소비자물가지수를 보면, 지난해 1월 1.4%에서 시작해 5월 5%대에 진입했고, 12월에 7%에 진입해 1년 동안 5%P 이상 올랐다.

1월 소비자물가지수의 세부적인 내용을 보면, 가장 큰 폭으로 오른 것은 에너지 가격이다. 특히 연료 기름값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6% 이상 올랐다. 지난해 12월 대비로도 9.5%나 올랐다.

식품 가격 역시 오름세를 계속 이어갔다. 앞선 해 같은 기간보다는 7.0%, 그리고 전월보다는 0.9% 올랐다.

이밖에도 신차의 경우 지난 1월 앞선 해 대비 약 12% 올랐고, 중고차는 40.5% 올랐다. 다만 전월 대비 증가세는 둔화했다. 신차는 전월 대비 가격 상승이 없었고, 중고차는 지난해 12월 3.3% 증가했는데 1월엔 이보다 1.8%P 하락한 1.5% 증가했다.

에너지와 식품 두 부문을 제외한 소비자물가지수 역시 앞선 해 같은 기간보다 6.0%, 전달보다는 0.6% 올랐다. 이 분야 역시 지난 1982년 이후 최대폭으로 증가했다.

이같은 높은 물가 상승률로 인해 근로자들의 임금 상승률이 상당 부분 상쇄된 것으로 드러났다. 근로자들의 평균 시급은 앞선 달에 비해 0.7% 올랐다. 물가가 0.6% 오르면서 결국 실제 시급은 0.1%만 오르게 됐다.

이 같은 물가 상승세는 당분간은 계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냇웨스트 마켓츠의 케빈 커민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로이터 통신>에 지난해 물가 상승을 이끌었던 요인들이 점진적으로 완화될 것으로 보인다며 고공 물가 상승은 2022년 상반기까지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물가 지수가 발표될 때 항상 시선을 끄는 것은 바로 금리 인상이다. 일단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의장은 올해 연준이 수차례에 걸쳐 기준 금리를 인상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는데, 첫 인상은 3월에 이뤄질 것이라는 게 보편적인 전망이다.
  • |
  1. gas.jpg (File Size:69.8KB/Download: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797 미국 미국서 아시안은 동네북? file 뉴스로_USA 17.04.13.
1796 미국 뉴욕 봄실종 때아닌 더위 file 뉴스로_USA 17.04.13.
1795 미국 올랜도 테마 공원 줄서기, 앞으로 없어진다 코리아위클리.. 17.04.12.
1794 미국 운전경력 십수 년, 아직도 이것이 궁금하다 코리아위클리.. 17.04.12.
1793 미국 전국적 소매업체들 파산 속출… 휘청이는 쇼핑몰 코리아위클리.. 17.04.12.
1792 미국 아동 2세까지는 카 시트 뒷면으로 향하게 해야 코리아위클리.. 17.04.12.
1791 미국 실명 유발 황반변성, 40∼ 50대도 발생 코리아위클리.. 17.04.12.
1790 미국 공부 외에 꼭 습득해야 할 기술(3) 코리아위클리.. 17.04.12.
1789 미국 동해병기 백악관청원 4만명 돌파 file 뉴스로_USA 17.04.11.
1788 미국 “아시안은 방 못줘..” 에어비앤비 인종차별 파문 file 뉴스로_USA 17.04.09.
1787 미국 구테흐스 UN총장 美 시리아 공습 ‘자제’ 호소문 file 뉴스로_USA 17.04.09.
1786 미국 ‘사드철회’ 백악관 앞 함성 file 뉴스로_USA 17.04.09.
1785 미국 UN안보리 北탄도미사일 규탄성명 file 뉴스로_USA 17.04.09.
1784 미국 블루보넷, 어디가 예쁠까? KoreaTimesTexas 17.04.07.
1783 미국 USPS 우편물, 이메일로 먼저 확인한다 KoreaTimesTexas 17.04.07.
1782 미국 트럼프 Jr 뉴욕주지사 출마계획 file 뉴스로_USA 17.04.07.
1781 미국 공부 외에 꼭 습득해야 할 기술(2) 코리아위클리.. 17.04.06.
1780 미국 티파니 유리공예로 빛나는 올랜도 모스 뮤지엄 코리아위클리.. 17.04.06.
1779 미국 골 아픈 플로리다 정원수, 묘목부터 계획 세워야 코리아위클리.. 17.04.06.
1778 미국 다든 레스토랑 그룹, ‘체더스’ 식당 체인 인수 코리아위클리.. 17.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