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 내 성 평등을 위한 정부 기구 ‘Workplace Gender Equality Agency’(WGEA)의 최근 조사 결과 남성의 급여가 여성보다 높을 가능성은 2배가 높았다. 사진은 지난 2020년 6월, 스위스 직장 여성들의 연례 파업에서 성별 임금격차 해결을 촉구하는 여성 근로자들. 사진 : ABC 방송 뉴스 화면 캡쳐
‘Workplace Gender Equality Agency’ 자료, 남성이 연 2만6,000달러 높은 소득
“There is no gender pay gap”.
지난 2012년, 직장 내 성평등법(Workplace Gender Equality Act)이 제정되면서 성 불평등 개선 및 교육 등을 위해 만들어진 정부기구 ‘Workplace Gender Equality Agency’(WGEA)가 매년 호주의 성별 임금격차와 이의 해결에 있어 각 기업의 더딘 진행을 지적하는 데이터를 발표할 때마다 일각에서 하는 주장은 “우리 회사는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It is a lie”.
하지만 여성계가 한결 같은 목소리로 ‘거짓말’이라고 반박하는 것을 보면 임금격차는 여전히 존재하는 게 분명하다.
WGEA가 2020년 4월 1일부터 2021년 3월 31일 사이, 호주 전역 400만 명 이상의 직원을 기반으로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여성 급여는 남성에 비해 연간 평균 2만6,000달러 적었다.
이처럼 높은 수치는 놀라운 것임에 분명하고 또 경각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문제이다. 하지만 이런 조사 결과를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이들은 소득 외적인 면을 부각시키려 한다. 이들의 가장 큰 주장은, 성별 임금격차가 같은 역할들과 비교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 주장은 그럴 듯하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고 WGEA는 반박한다. 실제로 WGEA는 조사 자료에서 이 점을 주목한다. 동일한 급여가 없는 경우도 있겠지만 WGEA는 모든 보고서에서 성별 임금격차가 다르다는 것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동일 급여는 남성과 여성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가치를 가진 역할 또는 다른 작업을 수행했을 때 같은 급여를 받는 것으로, 호주에서 이는 법적 요구 사항이다.
이 격차는 노동계 여성의 전반적인 위치를 보여주는 지표가 아닐 수 없다. 실제로, 이는 특정 조직이나 산업, 노동력 전반에 걸친 평균적인 남녀 급여 차이이며, 고임금 부문에서 더 많은 남성이 그 역할을 차지하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이다.
파트타임 및 풀타임 모든 직원을 포함한 WGEA의 급여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남성이 받는 임금은 여성에 비해 평균 25,792달러(연봉)가 높았다.
가사-육아 등
여성의 또 다른 노동
성별 임금격차에 대해 냉소적인 이들은 남녀간 서로 다른 역할이라는 주장과 함께 여성이 일을 덜 하기로 결정했기에 더 적은 임금을 받는 것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2020-21년도 여성 직업 현황을 보면 이들의 약 60%는 파트타임 또는 임시직 근로자였다. 아이를 출산하고, 아이가 자라면서 1차 보호자 역할을 해야 하는 여성이 일을 덜 하는 것은 당연하다.
WGEA 조사는 여성이 무급 가사노동, 연로한 부모를 돌보는 일 등 기타 무급의 책임 근로가 더 많음을 일관되게 보여준다.
지난 2016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현재 직장에 고용된 남성의 절반 이상이 무급 가사노동을 하지 않거나 주(week) 5시간미만(60%)에 불과하다. 이는 직장에 고용된 여성의 3분의 1(36%)과 비교된다.
지난해 5월, ABS 설문조사 결과도 유사한 내용을 보여준다. 이에 따르면 여성의 62%는 설문 조사에 답하던 한 주 전, 5시간 이상을 무급의 가사노동에 매달렸다. 반면 남성은 35%였다.
여성은 또한 남성에 비해 더 많은 돌봄 책임을 맡았다, 한 주, 5시간 이상 아이를 돌보고(여성 38%, 남성 28%), 노인을 보살폈으며(여성 16%, 남성 7%), 가족을 위해 요리(여성 64%, 남성 37%)를 했다. 이는 여성이 직장에서 더 높은 급여를 받을 수 있는 직급으로 올라갈 가능성이 적은 주요 요인 중 일부이다.
WGEA 조사 결과 아이 보육, 고령자 케어, 요리 등 무급의 가사 부담은 여전히 여성의 몫으로 남아 있다. 사진 : Pixabay: igorovsyannykov/CC0
그렇다면 남녀간 임금격차를 논하면서 이 모든 무급노동을 하는 여성을 비난할 수 있을까? 다국적 회계 컨설팅 그룹 ‘PwC’가 지난 2017년 내놓은 보고서에는 이런 내용이 있다. ‘자녀를 돌보는 어머니는 그 일에 대한 경제적 가치를 측정하지 못하는데도 또 다른 어머니는 자녀를 돌보고자 다른 사람을 고용하는 이유가 무엇일까?’(Why is it that a mother caring for her children produces no measured economic value, but the same mother hiring others to look after her children does?)
PwC 보고서는 무급의 보육이 호주 경제에 미치는 가치를 비용으로 측정할 경우 3,45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정했다.
이 보고서가 제기한 질문은 또 있다. ‘(자녀 보육에서) 남성이 원하고, 또 할 수 있음에도 이를 위해 유급 육아휴직을 사용할 수 없는 이유는 무엇인가?’(Why can't men, if they want to and can, take paid parental leave to help raise their children?)
이달 셋째 주 발표된 WGEA 보고서를 보면 고용주 5명 중 3명은 유급 육아휴가를 제공하고 있으며, 모든 부분에서 성별에 관계가 없지만 1차 양육자의 역할을 맡는 아버지는 거의 없다.
이를 보면 자녀양육의 경우 일반적으로 여성이 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며, 또 이 때문에 파트타임으로 일하거나 불안정한 비정규직을 가질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남녀간 급여 격차 수치는
과소평가될 수 있다”
성별 임금 격차 계산에는 퇴직연금, 보너스 및 기타 추가 지급이 포함되지만, 사업체를 소유한 대표나 최고경영자는 제외된다. 해고된 근로자도 계산되지 않는다.
WGEA가 언급한 것처럼 2020-21년도 가장 높은 급여를 받는 최고경영자 또는 사업체 대표의 81%가 남성이라는 것은, 성별 임금격차 수치가 여성과 남성간 전반적인 임금 차이를 과소평가할 가능성이 있다는 의혹을 준다.
WGEA 자료에 따르면 대부분 기업의 이사회는 여전히 남성이 지배하고 있다. 남성이 60% 이상에 달하는 이사회 수는 전체의 74%에 이르며, 이사진이 전원 남성으로 구성되어 있는 기업도 22%에 달했다.
WGEA 보고서는 또한 남성이 여성보다 높은 급여를 받을 가능성이 두 배나 된다고 지적하고 있다. 남성은 연간 12만 달러 이상을 벌어들여 소득 상위 사분위(quartile)에 포함될 가능성이 여성에 비해 2배 높은 반면 여성은 연 6만 달러 이하 수입으로, 최하위 사분위에 속할 가능성이 남성이 비해 50%나 높다.
또한 WGEA의 자료에서는 인구통계가 성 불평등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는 확정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소외계층, 사회-경제적 혜택을 받지 못하는 이들의 경우 데이터에 드러나지 않을 수도 있음을 뜻한다.
여성 근로자들도
임금협상 원하지만...
이런 불평등한 여건에서 여성들은 고용주와 임금 협상을 하고 싶어 한다. 하지만 그러지 못하는 이유가 있다. 여성이 회사측과 임금 문제로 협상을 하게 되면 불이익을 받는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지난 2014년 런던시립대학교 카스 경영대학원(Cass Business School, London's City University)과 워윅대학교(University of Warwick) 연구원들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호주 800개 직장에서 무작위로 선택된 4,600명의 직원을 조사한 결과 여성 근로자들은 남성과 마찬가지로 임금인상을 요구할 가능성이 낮다는 것을 발견했다.
시드니대학교 연구팀이 지난 2019년 내놓은 또 다른 연구에서도 여성은 더 나은 급여를 위해 협상을 하고 싶지만 그렇게 할 기회가 많지 않다는 것이 확인됐다.
글로벌 금융자문회사에서 일하는 한 여성은 입사한 후 12개월 만에 임금인상을 요청했다. 그것도 회사를 위해 수십 억 달러를 유치한 후에 급여 문제를 꺼낼 수 있었다고 털어놓았다.
몇몇 대학에서 진행된 연구에 따르면 여성 근로자는 남성들과 같이 임금인상을 요구하지만 원하는 바를 얻을 가능성은 더 적다. 사진 : Unsplash
그러나 그녀가 속한 부서의 매니저는 급여 인상 요청을 “뻔뻔한 이야기”라고 질책했으며, 또한 직원 평가서에 이 부분(임금인상 요청)을 부정적인 것으로 기록했다.
그녀는 “임금인상을 요구한 책임이 직원에게 있는 것인가? 회사 측에 좋은 성과를 가져왔으면 성별을 가리지 않고 보상해야 하는 것 아닌가”라며 강한 불만을 토로했다.
반가운 부분은,
변화가 나타난다는 것
이번 WGEA 보고서 내용이 여성 입장에서 나쁜 내용만 들어 있는 것은 아니다. 점진적이기는 하지만 서서히 변화가 일고 있음을 WGEA도 인정하고 있다.
직장 내 성 평등과 관련된 WGEA의 모든 데이터 가운데 이번 자료에서는 처음으로 여성이 전체 관리자의 41% 이상(5분의 2 이상)의 비중을 차지했다. 이는 WGEA의 데이터 조사가 시작된 지난 2013년의 36%에 비해 늘어난 수치이다.
고용주들은 여성 근로자가 겪는 가정폭력이 비즈니스 문제라는 것을 깨닫기 시작했다. 지난 5년 사이 가정폭력에 직면한 여성의 유급 휴가도 4배가 증가했다. 2015-16 회계연도 자료를 보면 고용주의 절반 이상이 가정폭력을 겪는 여성 직원에게 유급 휴가를 제공했다.
그런 한편, 성별 임금격차 문제를 인식하고 이를 분석하는 기업도 늘어나고 있으며, 이를 실시한 기업의 절반 이상(56%)이 이에 대해 시정 조치를 취했다. 이들이 보인 가장 일반적인 조치는 원인을 파악하고 불평등한 임금을 시정하며 경영진 및 이사회에 그 지표를 보고하는 것이었다.
급여 문제를 분석한 후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은 기업이나 조직의 경우 대다수(71%)가 “직장 내에서 설명할 수 없거나 정당화될 수 없는 성별 급여 격차를 식별할 수 없었다”고 WGEA에 통보했다.
성별 임금 격차를 지적하는 것은 성 평등을 향한 소중한 발걸음이지만 이를 시정하기까지는 어려움이 많음을 보여주는 셈이다.
■ 성별 사분위수 직원 비율
(구분 : 여성 비율 / 남성 비율)
-상위 사분위(상위 25% 소득), $119,128 이상 : 17% / 33%
-상위 중간 사분위, $119,127~$79.518 : 25% / 25%
-하위 중간 사분위, $79,517~$60,551 : 28% / 22%
-하위 사분위(하위 25% 소득), $60,550 이하 : 30% / 20%
Source : WGEA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 종합(Gender Equality 1).jpg (File Size:122.7KB/Download:18)
- 종합(Gender Equality 2).jpg (File Size:55.7KB/Download:17)
- 종합(Gender Equality 3).jpg (File Size:75.2KB/Download: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