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png

 

재외 한인, 강소기업의 기회의 첨병

한국 중소기업 현지 네트워크 열망

 

한국 경제 성장의 견인력은 수출이다. 재외 한인들이 한국의 중소기업 경제 영역 확대와 강소기업으로 성장하는데 기여할 잠재력이 높게 평가받고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

 

중소기업중앙회 국제통상부 김태환 부장은 중소기업 해외진출을 위해 현지 한인 네트워크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 부장은 "전 세계 각국에 한인들이 거주하고 있는 반면 중소기업 입장에서 직접 해외 시장 정보나 사업 파트너, 또는 현지 기업 문화나 제도에 대한 정보를 자체적으로 확보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많은 중소기업들이 대기업에 비해 세계 경쟁력을 갖거나 해외 마케팅을 하는데 한계를 갖고 있는 상황에서 해외의 앞선 기술이나 새로운 시장 진출 기회를 재외 한인들이 함께 노력해서 만들어 간다면 세계적인 강소기업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이런 이유로 한국의 중소기업을 돕기 위해 중소기업청과 중소기업진흥공단 등 정부기관과 중소기업중앙회와 같은 민간 단체가 해외 현지화나 진출 지원 사업을 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해외시장 정보를 수집하거나 구매자나 공급자를 찾아 매칭을 시켜주는 업무가 주로 이루어진다"고 말했다.

 

또 박 부장은 “만일 재외 한인들의 상생을 위한 네트워크가 형성된다면 현지의 시장정보나 기업 정보를 보다 폭넓게 수집할 수 있고 현지 한인들이 한국의 중소기업과 새로운 시장 기회를 찾아 사업을 할 수 있는 기회도 갖게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현재 중소기업중앙회는 중소기업 해외시장 진출을 위해 LA에 북미사무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베트남도 개소했고 중국도 개소 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해외민간대사 제도도 운영하면서 한국 중소기업과 해외 한인간의 상생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있으며 또 새롭게 추가해 나갈 예정이다. 

 

박 부장은 “사실 현지 한인들이 좀 해외 시장 시장 기회에 대한 정보를 알려 주면 회원사 중소기업들에 알려 알맞은 기업을 찾아 줄 수 있다.”며 적극적으로 중소기업중앙회를 통해 원하는 기업을 찾기를 바란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 그는 “경쟁력 있는 중소기업 제품들에 대한 정보도 홈페이지에 올려 재외 한인들이 현지에서 사업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찾도록 돕겠다”고 밝혔다. 

 

이런 사례로 최근 한 드론 기술을 응용한 장난감을 만든 중소기업 제품을 보고 해외에서 직접 판매를 하겠다는 의사를 밝혀와 성공리에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박 부장은 “홈페이지를 좀더 활성화 시켜 세계 각 지역에 어떤 품목이 잘 수출되는지, 국가별 지역별 통계 자료도 올리고 중소기업과 재외 한인들이 정보를 교류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도 좋은 생각”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그는 한국 중소기업과 현지 한인간 물품만 받고 대금을 지급하지 않거나 반대로 대금을 받고 물품을 보내지 않는 등 문제점 등이 있어 문제가 된 사례가 많아 네트워크의 안정된 운영을 위해 상호 신뢰성 구축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 [밴쿠버 중앙일보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210 미국 "아름답다 좋은 소식을 전하는 발이여!” 코리아위클리.. 16.03.11.
3209 미국 대학에서 대화 기술을 습득하세요 file 코리아위클리.. 16.03.11.
3208 미국 13세 한인소녀화가 미공립도서관 개인전 화제 file 뉴스로_USA 16.03.13.
3207 캐나다 조대식 대사, 국방부 부장관과 면담가져 밴쿠버중앙일.. 16.03.15.
» 캐나다 재외 동포와 한국 중소 기업, 네트워크 연결히는 중소기업중앙회 밴쿠버중앙일.. 16.03.15.
3205 캐나다 재외 한인 권익을 위한 국회 대변자 역할 하겠다' 밴쿠버중앙일.. 16.03.15.
3204 캐나다 통일 이야기 Talk Show 열린다 밴쿠버중앙일.. 16.03.15.
3203 캐나다 전통 기반둔 한국 문화 계승, 한카 재단 앞장 서겠다 밴쿠버중앙일.. 16.03.15.
3202 캐나다 아쉬움 많치만 최선 다했던 2년 이었다 밴쿠버중앙일.. 16.03.15.
3201 캐나다 캘거리 교민, 킬리만자로 산 정상 밟아 CN드림 16.03.16.
3200 캐나다 북한 핵실험 규탄 서명회 및 사진전 개최 CN드림 16.03.16.
3199 캐나다 캘거리 노년대학 개강해 CN드림 16.03.16.
3198 미국 한인청소년들 ‘이노비’ 후원 콘서트 file 뉴스로_USA 16.03.16.
3197 미국 미주전법 큰스님 법안대종사 추모재 file 뉴스로_USA 16.03.16.
3196 캐나다 [중앙일보가 만난 사람] 중소기업 - 재외한인 상생 강화 밴쿠버중앙일.. 16.03.17.
3195 캐나다 제4회 한카문학상 시상식 열려 밴쿠버중앙일.. 16.03.17.
3194 캐나다 재외선거 도입 이후, 재외교포 여권 반납 결정 처음 나와 밴쿠버중앙일.. 16.03.17.
3193 캐나다 BC 주 정부 이민, 첫 선발 했다 밴쿠버중앙일.. 16.03.17.
3192 캐나다 한인 노인회, 연방정부에서 2만 4천 달러 지원금 받아 밴쿠버중앙일.. 16.03.17.
3191 미국 말썽 일으킨 신참 연구원, 신약 개발의 '보물' 되었네 코리아위클리.. 16.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