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하버 브릿지 1).jpg

시드니 하버 브릿지(Sydney Haubour Bridge)는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Sydney Opera House)와 함께 시드니를 상징하는 대표적 아이콘이다. 약 10여 년의 공사 끝에 1932년 완공된 하버 브릿지가 올해로 개통 90년이 됐다. 사진 : 김지환 / The Korean Herald

 

3월 17일부터 20일까지... 빈티지 차량-팝업 아트 갤러리-문화공연 등

 

시드니 하버 브릿지(Sydney Habour Bridge)는 오페라하우스와 함께 시드니를 상징하는 대표적 아이콘 중 하나이다. 시드니 하버 남과 북을 연결하는 가장 중요한 다리로, 10여년의 공사 끝에 1932년 3월 19일 개통한 하버 브릿지는 록스(The Rocks)에서 로워노스쇼어(lower North shore)의 밀슨스 포인트(Milsons Point) 북쪽 끝까지 약 2.4킬로미터 길이에 달한다.

이 다리는 1920년대 경제대공황 시기, 도시 미래와 일자리 창출을 위해 시작되었으며, 개통을 계기로 시드니의 도시 발전은 획기적인 전환을 맞게 된다.

올해로 하버 브릿지가 개통 90년이 된다. NSW 주 정부는 이를 기념하는 문화 행사와 함께 호주에서 가장 유명한 랜드마크의 역사를 돌아보는 이벤트를 마련했다.

정부 차원의 이 같은 기념 이벤트를 알리는 자리에서 NSW 주 도미닉 페로테트(Dominic Perrottet) 주 총리는 “시드니 시민들에게 90년 전의 과거를 되돌아 볼 수 있는 좋은 기회”라면서 “시드니 하버 브릿지는 이 아름다운 항구도시의 중심축으로, 이 다리가 시드니에서 얼마나 큰 역할을 하는지를 보여줄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90년 전 3월 19일, 이 다리가 개통하면서 가장 먼저 기차와 트램이 이 다리를 건넜고 자동차들이 뒤를 이었다. 개통과 함께 엄청난 교통량을 수용하면서 시드니 하버 브릿지는 국제적 찬사와 함께 시드니를 상장하는 랜드마크로 부상했다.

페로테트 주 총리는 “지금도 이 다리는 우리가 만들어내고자 하는 모든 기반시설의 기능적이고 멋스러움을 가지며 오랜 시간을 견뎌내야 하는 것의 표준에 대한 영감”이라며 “단순한 관광 명소가 아니라 우리 도시의 고동치는 심장, 그 핵심 동맥으로 남아 있다”고 찬사를 보냈다.

NSW 주 대도시 도로부(Department of Transport Metropolitan Roads)의 나탈리 워드(Natalie Ward) 장관은 이 다리의 개통으로 시드니가 세계적 도시로 성장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장관에 따르면 개통 초기, 이 다리는 대공항의 힘든 시기에 도시를 지탱하고 시민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함으로써 ‘강철 폐’(Iron Lung. 철제 호흡보조장치)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했다. 워드 장관은 “오늘날, 이 다리는 시드니 CBD(Central Business District)에서 노스 시드니(North Sydney)를 연결하고 지역사회를 통합하며 우리 경제를 지원하는 중요하고 아름다운 시설로 남아 있다”고 설명했다.

제임스 그리핀(James Griffin) 문화유산 담당 장관도 시드니 하버 비릿지에 대한 찬사를 이어갔다. 장관은 “1932년 시드니 하버 브릿지가 개통되기 전까지 시드니는 하버를 중심으로 남과 북이 동떨어진 도시였다”면서 “이 다리의 건설은 지역 사회를 연결하고 시드니가 오늘날과 같이 세계적 도시로 발돋움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고 말했다. 하버 브릿지 개통 이전, 시드니 하버 남과 북을 잇는 한 가지 방법은 보트나 페리였다.

 

종합(하버 브릿지 2).jpg

NSW 주 정부는 시드니 하버 브릿지 개통 90년(1932년 3월 19일)을 전후해 이를 기념하는 이벤트를 마련했다. 여기에는 당시의 역사를 되돌아보는 팝업 갤러리, 초기의 빈티지 기차 탑승 체험, 주변 도보여행 등이 포함된다. 사진은 캠벨 코브(Campbell Cove)에서 바라본 시드니 하버 브릿지. 사진 : 김지환 / The Korean Herald

   

개통 90년을 기념하는 이벤트는 3월 17일부터 20까지 4일간 이어지며, 매일 저녁하버 브릿지 철탑을 배경으로 조명쇼가 펼쳐진다.

시민들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는 개통 초기, 이 다리를 운행했던 빈티지 ‘증기기관차 3801’에 100명씩 탑승할 수 있는 것이 있다. 이 3801 증기차는 3월 19일(토) 오전 9시, 센트럴 기차역에서 출발하며 탑승권 가격 1인당 100달러, 한 명이 최대 2매를 구입할 수 있다.

또한 다리 개통과 함께 운행했던 전동차 ‘Carriage C3426’를 포함한 빈티지 전동차도 다리 위에서 ‘증기기관차 3801’과 만나게 된다. ‘Carriage C3426’은 같은 날(3월 19일) 오전 9시, 노스 시드니역에서 출발해 윈야드(Wynyard)까지 갔다가 다시 노스 시드니로 돌아오는 여정이다. 이 왕복 셔틀 운행은 오후 4시까지 매 시간 노스 시드니-윈야드-노스 시드니를 순환한다. 이 전동차 탑승권은 각 10달러이다.

시드니의 유서 깊은 2층 빈티지 버스도 노스 시드니에서 하버 브릿지를 거쳐 윈야드 기차역까지의 구간을 매 5분마다 운행하며 하버 브릿지가 개통되기 전, 시드니 남과 북을 이어주던 빈티지 페리(Ferry)는 밀슨포인트(Milsons Point)와 캠벨 코브(Campbell Cove) 구간을 매 30분마다 운행한다. 이 빈티지 버스와 페리 탑승은 탭 카드 설비를 통해 1, 2달러 동전 기부 옵션이 있는 무료 ‘턴업앤고’(turn up and go) 서비스이다.

이와 함께 하버 브릿지 개통 당시의 역사적 순간을 보여주는 △팝업 아트 갤러리를 비롯해 주변 CBD 지역의 도보 여행, △‘Welcome to Country’, △어린이 이벤트, Aria Award 수상자 제임스 모리슨(James Morrison)과 크리스틴 아누(Christine Anu)의 공연 등이 포함된 △캠벨 코브의 커뮤니티 허브, △타운홀(Town Hall)과 캠벨 코브 사이에서의 댄스, 버스커들의 노래, 연극 공연이 펼쳐진다.

증기기관차 3801과 빈티지 전동차 세트 F1의 승차권은 판매가 시작됐다.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주 정부 웹사이트 관련 페이지(www.transport.nsw.gov.au/sydneyharbourbridge)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시드니 하버 브릿지 상식 1

거대한 철제 아치로 구성된 시드니 하버 브릿지 양쪽 끝에는 무려 70미터 이상 높이의 석주(stone columns(양쪽으로 각 2개씩)가 있다. 많은 이들은 이 파일런(pylon), 즉 대리석 돌기둥이 다리의 양 끝을 단단히 움켜쥐고 있다고 여기기도 한다. 하지만 이 파일런은 사실 건축적 측면에서 아무런 의미가 없다. 한 마디로 ‘장식’이라는 얘기다.

 

종합(하버 브릿지 3).jpg

시드니 하버 브릿지 양쪽 끝에 있는 거대한 높이(약 70m)의 석주는 사실 다리 건축적 측면에서 아무런 의미가 없다. 사진 : 김지환 / The Korean Herald

   

그렇다면 왜 엄청난 비용과 인력을 투입(다리 건축 당시 250여명의 석공이 동원되었으며, 시드니 남쪽 300킬로미터 지점에서 돌을 다듬어 운반해 왔다)해 이 파일런을 만들었을까. 이는 하버브릿지 다리 건설을 확정한 1920년대, 당시 설계도를 본 사람들은 엄청난 규모의 철 구조물을 무엇으로 고정할 수 있을까 의심했고, 이를 설명해도 사람들은 쉽게 믿으려 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하버 브릿지 건설 총 책임자로 지명된 ‘Sydney Harbour Bridge and Metropolitan Railway Construction’의 수석 엔지니어 존 브래드필드(John Bradfield)는 당시 사람들을 안심시키기 위해 이 파일런을 설계에 포함시켰다.

한편 이 거대한 다리를 멀리서 바라볼 때의 풍경도 좋지만 아치 부분(해발 134미터 높이)을 오르거나 다리 남쪽에 있는 석주 정상의 전망대에 올라 시드니 도심 일대를 조망할 수도 있다(www.bridgeclimb.com 참조).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하버 브릿지 1).jpg (File Size:117.0KB/Download:14)
  2. 종합(하버 브릿지 2).jpg (File Size:91.8KB/Download:12)
  3. 종합(하버 브릿지 3).jpg (File Size:96.6KB/Download: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251 호주 무서운 10대들, 대낮 길거리서 패싸움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6250 호주 야데나 쿠룰카, 올해 ‘Blake Art Prize’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6249 호주 NSW 노동당 의원, ‘Lockout Laws’ 재고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6248 호주 불법 마약 ‘택배’로 2주 만에 15만 달러 챙겨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6247 호주 과격 테러리스트 샤로프 아내, 시리아서 사망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6246 호주 호주 국민당, 바나비 조이스 의원 새 대표 선출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6245 호주 시드니 경기 호황, 호주 국가 경제 선도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6244 호주 연립 여당 지지도 ‘시들’, 말콤 턴불 인기도 식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6243 호주 호주 인구 빠르게 늘어, 16일 새벽 2400만 명 돌파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6242 호주 NSW 아핀 로드(Appin Road), 호주 최악의 위험도로?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6241 호주 전문가들, “시드니는 여전히 좋은 부동산 투자 지역”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6240 호주 시드니 마약 조직, 하루 120명에 마약 판매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6239 호주 수천의 저소득 가정, 원활한 인터넷 사용 어려움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6238 호주 “새 슈퍼감염 모기, ‘지카’ 바이러스 치료에 도움...”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6237 호주 호주 젊은이들에게 ‘평생 직업’ 개념 사라져...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6236 호주 “시드니 ‘Lockout Laws’, ‘라이브 업소’에도 타격”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6235 호주 ‘Sydney, 1788-2014, Taken before its time’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6234 호주 ‘앵무새 죽이기’ 저자 하퍼 리, 89세로 타계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6233 호주 동성애자 탄압... NSW 정부, 38년만에 공식 사과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6232 호주 “100달러 고액권, 범죄자들의 탈세로 이용...”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6231 호주 호주 프리랜서 보도사진가, ‘세계 보도사진 대전’ 대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6230 호주 주말 시드니 경매, 일부 지역 낙찰가 폭등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6229 호주 “호주인들, 비만 관련해 탄산음료 업계에 불만 제기 필요...”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6228 호주 시드니 부동산 시장 둔화, “성급한 전망이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6227 호주 고령자 케어-보건 분야, 향후 새 직업군 창출 예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6226 호주 AFP, 향후 10년 내 경찰 인력 절반 ‘여성’으로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6225 호주 호주 젊은층에서 불법 ‘아이스’ 복용 크게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6224 호주 의료 목적의 대마초 재배 법안, 연방의회 통과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6223 호주 원주민 출신 정치인 린다 버니의 ‘역사 만들기’는 진행 중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6222 호주 다량 유통 50달러 위조지폐, 은행도 속을 만큼 정교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6221 호주 전 세계 ‘Powerful Passports’ 순위는...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6220 호주 NSW, VIC에 비해 주정차위반 벌금액 3배 비싸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6219 호주 The books that changed me...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6218 뉴질랜드 *(사)재외동포언론인협회 제공 고국방문 시 ‘가볼만한 곳’ 정보: ‘꽃과 호수, 신한류 예술의 합창’ 2016고양국제꽃박람회 file 굿데이뉴질랜.. 16.03.10.
6217 뉴질랜드 뉴질랜드 중앙은행, 기준금리 2.25%로 인하 file 굿데이뉴질랜.. 16.03.10.
6216 뉴질랜드 뉴질랜드 오클랜드 공항에서 지카 바이러스 매개 모기 유충 발견 file 굿데이뉴질랜.. 16.03.10.
6215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최대 화제는...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0.
6214 호주 시드니 자산가 늘어, 초호화 저택 수요도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0.
6213 호주 NSW 주, 모든 공무원에 탄력근무제 적용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0.
6212 호주 시드니 남서부 잉글번서 총기 난사 벌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0.
6211 호주 파라마타 카운슬, 시드니 CBD까지의 직행기차 제안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0.
6210 호주 시드니 최고 부유층 거주 지역서 마약 파티?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0.
6209 호주 IS는 어떻게 젊은이들을 세뇌시키나...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0.
6208 호주 은퇴 정치인 연금으로 올 4천만 달러 예산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0.
6207 호주 ‘에어비앤비’, 75년 전통의 ‘백패커 숙소’에 타격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0.
6206 호주 호주, ‘파리 테러’ 이은 IS의 다음 테러 목표 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0.
6205 호주 Top 10 most underrated places in Australia...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0.
6204 뉴질랜드 웰링턴 부동산 시장 활발, RV보다 높은 가격에 판매돼 file 굿데이뉴질랜.. 16.03.11.
6203 호주 열기구에서 본 멋진 켄버라 file 한호일보 16.03.14.
6202 호주 서호주 순경의 애틋한 ‘캥거루 사랑’ file 한호일보 16.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