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전기차 1).jpg

호주의 전기차 보급은 전 세계 주요 국가와 비교해 더딘 편이지만 업계는 이를 대비하고 있으며 조만간 시장 상황을 크게 바꾸어놓을 것이라는 진단이다. 사진은 브리즈번에서 선샤인코스트까지 매일 출퇴근 하는 코버스 테블란체(Kobus Terblanche)씨. 그는 전기차로 바꾼 뒤 저렴한 차량 운용비를 절감하고 있다고 말했다. 사진 : Kobus Terblanche

 

“장기적 차원에서 연료비 절감... 아직은 높은 차량 구입비 감당 어렵다” 반응

 

브리즈번(Brisbane, Queensland)에 사는 코버스 테블란체(Kobus Terblanche)씨는 하루 25달러의 휘발유 비용을 절약한다고 계산하면, 매일 긴 출퇴근 시간이 그리 힘들지 않다.

지난해 9월, N사의 전기차를 구입했을 때, 그는 운용비를 얼마나 절감할 수 있을런지 잘 알지 못했다. 이후 현재까지 6개월 동안 브리즈번과 선샤인코스트 사이를 왕복(약 200km)하면서 약 3,000달러의 연료비를 절약했다.

“전기차 배터리를 충전하는 데 약 7.20달러가 들어가는데, 내 차와 같은 크기의 내연기관 자동차라면, 휘발유로 약 32달러가 들 것”이라는 그는 “자동차 엔진에서 나오는 소음을 듣지 않거나 진동을 느끼지 않는 자동차가 만들어질 것이라 생각했었다”며 “이 차가 바로 그것”이라고 말했다.

그가 거주하는 퀸즐랜드 주 정부 자료에 따르면 전기차(EV)는 현재 QLD 주에 등록되어 있는 모든 자동차 가운데 0.16%(6,000대)에 불과하다. 전 세계적 흐름과 비교할 때 보급은 상당히 더딘 편이다. 하지만 전기차 업계는 미래 변화를 대비하고 있으며, 이는 어느 순간 자동차 시장을 흔들 수 있다.

시드니 기반의 에너지 공기업 ‘오리진 에너지’(Origin Energy)의 기업전략 및 e-mobility 부서 책임자인 차우 레(Chau Le)씨는 “전기차의 초기 비용과 운용비를 포함하는 총 소유 비용(total cost of ownership. TCO)은 향후 12~24개월 이내 호주에서 처음으로 기존 자동차와 대등한 수준에 도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녀는 최근의 높은 휘발유 가격으로 인해 내연기관 차에서 전기차로 전환되는 시점이 앞당겨졌다고 말했다. 레씨는 두 유형의 자동차 비용이 동등해지는 시점은 연간 2만5,000km 이상을 주행하는 소비자가 먼저 만들어낼 것으로 보고 있다.

QLD 주 정부는, 4기통 내연기관 자동차의 경우 100km를 주행하는 데 14.25달러가 소요되는 반면 무공해의 전기차는 약 3달러가 들 것으로 추정한다. 또한 전기차협의회(Electric Vehicle Council)는 서비스 및 수리비용에서도 EV가 내연기관 차량에 비해 70% 낮을 것으로 추측했다.

이 같은 추정은 약 3만 km 주행에 한 번씩 정비를 하면 되는 것으로, 테블란체씨가 전기차로 바꾸는 가장 큰 이유가 됐다. “잘못될 수 있는 한 가지는 충전 스위치 켜는 일을 잊는 것뿐”이라는 그는 “많은 거리를 주행할 수 있으며 마모될 부품도 거의 없다”고 말했다.

 

종합(전기차 2).jpg

시드니 기반의 에너지 공기업 ‘오리진 에너지’(Origin Energy)의 e-mobility 부서 책임자 차우 레(Chau Le. 사진)씨. 그녀는 전기차의 초기 비용과 운용비를 포함하는 총 소유 비용(total cost of ownership. TCO)이 향후 12~24개월 이내 호주에서 처음으로 기존 자동차와 대등한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사진 : Chau Le

   

글로벌 시장 동향을 분석하는 ‘보스턴 컨설팅 그룹’(Boston Consulting Group. BCG)은 일부 고급 전기차의 경우, TCO 측면에서 유사한 내연기관 자동차와 거의 동일한 수준에 이른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이 회사의 기후분석 전문가 제임스 틸버리(James Tilbury)씨는 “차량가격 면에서 소형 SUV도 EV와 조만간 거의 동동한 수준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전기차 가격은

언제쯤 내려갈까...

 

장기적으로 비용 효율성이 분명함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이 전기차 이용을 선뜻 선택하지 못하는 것은, 높은 차량 가격으로 인해 초기비용 부담이 어렵기 때문이다. 이 문제가 단기간에 바뀌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BCG 데이터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400여 EV 모델이 있는 데 반해 호주에서 선택할 수 있는 모델은 38개이다. 이중 5개만이 6만 달러 미만 가격이다.

틸버리씨는 “소형 EV는 휘발유 또는 디젤 자동차에 비해 약 1만2,000달러, SUV는 2만5,000달러가 더 비싼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일부 고급 전기차의 경우 비슷한 규모의 내연기관 차량과 가격이 거의 동일하지만 소형 승용차나 SUV의 경우 차량가격은 연료 엔진을 장착한 비슷한 크기의 차량 가격을 크게 벗어나 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오리진 에너지’의 레씨도 EV의 초기 비용이 더 저렴해지기까지는 약 5년이 필요할 것으로 예측하면서 “보다 큰 세단이나 SUV 차량 가격이 높은 편이기에 이런 모델에서 EV 가격이 더 일찍 동등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호주에 더 저렴한

EV가 없는 이유는

 

호주전기차협의회(Electric Vehicle Council)에 따르면 호주에서의 전기차 판매는 2020년 이후 3배 증가한 2만655대로, 지난해 판매된 EV는 전체 신차 판매 가운데 2% 비중이다.

이런 가운데 EV를 원하는 이들은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동 협의회의 베야드 자파리(Behyad Jafari) CEO는 “현재 EV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고 있다”며 “일부 모델의 경우 소비자는 몇 달을 기다려야 한다”고 말했다.

 

종합(전기차 3).jpg

글로벌 시장 동향을 분석하는 ‘보스턴 컨설팅 그룹’(Boston Consulting Group. BCG)의 기후분석 전문가인 제임스 틸버리(James Tilbury. 사진)씨는 “소형 SUV 차량도 EV 차와 조만간 거의 동동한 가격 수준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사진 : James Tilbury

   

가령 퀸즐랜드 주에서 가장 인기 있는 EV 모델 중 하나인 ‘Tesla 3’의 경우, 이 회사 웹사이트에 의하면 구입 후 차를 인수받기까지 6~9개월의 시간이 필요하다.

자파리 CEO에 따르면, 이처럼 긴 대기시간은, EV 제조회사들이 엄격한 탄소배출 규정을 정해 놓은 다른 국가 전기차 시장을 우선하기 때문이다.

그는 “퀸즐랜드의 경우 최근 EV 구입에 대해 3,000달러의 보조금 제공과 함께 2036년까지 모든 신차 판매를 전기차로 한다는 목표를 밝혔지만 연방정부 차원에서 EV로 전환하려는 의지가 부족한 것이, 각 EV 제조사들이 호주로의 공급을 늦추는 주요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이 때문에 “특히 호주 소비자들은 보다 저렴한 전기차를 구입하는 데 있어 많은 시간을 인내해야 한다”는 자파리 CEO는 “정부 차원에서 EV 판매 목표, 내연기관 차량의 단계적 폐지 계획, EV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인센티브가 없다”며 정부 정책을 촉구했다.

그러면서 그는 “글로벌 자동차 제조회사들이 투자 결정을 할 때 호주는 대상 국가 목록 맨 아래에 둔다”며 “대신 그들은 호주에 휘발유 차량을 판매한다”고 꼬집었다.

 

■ QLD 주 인기 EVs

-Tesla Model 3 : 55%

-Tesla Model S : 9%

-Nissan Leaf : 8%

-Tesla Model X : 7%

-Hyundai Kona : 4%

-Hyundai Ioniq : 4%

Source: Queensland government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전기차 1).jpg (File Size:74.7KB/Download:10)
  2. 종합(전기차 2).jpg (File Size:91.5KB/Download:16)
  3. 종합(전기차 3).jpg (File Size:121.9KB/Download:1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701 호주 호주인, 주택융자 신청서류 정직히 작성할까? 톱뉴스 17.09.15.
6700 호주 호주인, 일본 방문 급증…평창올림픽 앞둔 한국은? 톱뉴스 17.08.11.
6699 호주 호주인, 생활습관 변화로 암 사망의 40% 예방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17.12.14.
6698 호주 호주인 흡연자 비율, 30년 만에 절반으로 감소 file 호주한국신문 19.06.06.
6697 호주 호주인 행복지수, 전 세계 국가 중 18번째 호주한국신문 14.05.29.
6696 호주 호주인 평균수명 84.32세로 늘어나, 모나코-일본 이어 전 세계 세 번째 장수 file 호주한국신문 22.11.17.
6695 호주 호주인 특유의 유머가 만들어낸 ‘Strollout’, ANDC의 ‘올해의 단어’에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6694 호주 호주인 태운 비행기 네 대 이번 주 퍼스 도착, 확진자 수 급증 가능성 있어 file 퍼스인사이드 20.04.28.
6693 호주 호주인 질병 부담의 3분의 1은 예방 가능한 위험 요인...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9.
6692 호주 호주인 직장선호도 1위는 항공업, ‘버진 항공’ 1위 file 호주한국신문 16.05.12.
6691 호주 호주인 정서, “아직은 군주제 지지 우세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2.04.
6690 호주 호주인 임대료 부담 가중, 소득의 30-50% 지출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6689 호주 호주인 음주량 감소... ‘위험 수준의 술꾼’ 비율은 여전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6688 호주 호주인 알코올 관련 질병 사망자, 하루 15명달해 호주한국신문 14.07.31.
6687 호주 호주인 스마트폰 의존, 갈수록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686 호주 호주인 선교사들이 남긴 한국의 근·현대 모습은... 호주한국신문 14.05.15.
6685 호주 호주인 부부, 대리모가 낳은 장애아 대리모에게 떠넘겨 호주한국신문 14.08.07.
6684 호주 호주인 미디어 이용, TV보다 디지털 기기 선호 호주한국신문 14.08.07.
6683 호주 호주인 기대수명... 여 84.5세, 남 80.4세 file 호주한국신문 16.11.03.
6682 호주 호주인 골다공증 심각, 3분에 한 명 골절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681 호주 호주인 거주 지역별, 심장건강 차이 두드러져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2.
6680 호주 호주인 개인 소득 지속 증가... 일부 지역은 줄어 file 호주한국신문 20.02.13.
6679 호주 호주인 가구당 평균 자산 100만 달러 첫 돌파 톱뉴스 19.07.16.
6678 호주 호주인 가계자산, 최고 수준... ‘잘못된 부의 분배’ 경고도 file 호주한국신문 17.07.06.
6677 호주 호주인 ‘중간 순자산’ 규모, 전 세계에서 가장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18.10.25.
6676 호주 호주인 ‘비만’ 비율 상승, 거주 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 file 호주한국신문 19.12.12.
6675 호주 호주인 IS 테러리스트 ‘프라카시’, 터키서 체포 file 호주한국신문 16.12.01.
6674 호주 호주인 90% “재정적 안정을 위해 주택 소유는 필수” 톱뉴스 17.07.14.
6673 호주 호주인 7명 목숨 앗아간 호주산 멜론 9개국에 수출 톱뉴스 18.04.12.
6672 호주 호주인 71%, “턴불 총리, 잔여임기 마쳐야...” 입장 file 호주한국신문 17.12.07.
6671 호주 호주인 60%, 무슬림과의 결혼에 ‘우려’ 표시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9.
6670 호주 호주인 5대 사망요인은? file 한호일보 16.03.14.
6669 호주 호주인 40%, 해외여행 경험 없어... 그 이유는 무엇?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1.
6668 호주 호주인 40% 수면부족...그 결과는? 톱뉴스 17.10.10.
6667 호주 호주인 25%, 매주 기부금 요청 전화 수신 file 호주한국신문 16.10.06.
6666 호주 호주인 10명 중 7명, “자녀의 삶, 더 악화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8.
6665 호주 호주인 100만 명 이상 불량주택 거주, ‘슬럼화’ 경고...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1.
6664 호주 호주의 평균 소득자들, 어느 지역에서 주택구입 가능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7.
6663 뉴질랜드 호주의 키위 전과자들, 매일 두 명꼴로 뉴질랜드 돌아와 NZ코리아포.. 18.01.11.
6662 호주 호주의 크리스마스 톱뉴스 17.12.25.
6661 호주 호주의 코로나 바이러스, 실제 확산은 어느 정도일까... file 헬로시드니 20.08.07.
6660 호주 호주의 첫 중국계 여성 연방의원 글래디스 리우 ‘구설수’ 확산 톱뉴스 19.09.17.
6659 호주 호주의 첫 ‘오미크론’(Omicron) 변이 파동, “드러난 것보다 더 컷을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 호주 호주의 전기차 현황, 이용자 늘고 있지만 다른 국가 비해 크게 뒤쳐져 file 호주한국신문 22.04.21.
6657 호주 호주의 여름나기, 유의해야 할 ‘치명적 위험’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12.08.
6656 호주 호주의 에어비앤비 숙소, ‘주택부족’ 문제에 미치는 영향 “크지 않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3.07.
6655 호주 호주의 비공식 국가 이념 ‘mateship’, “이전처럼 강하지 않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6654 호주 호주의 봄... ‘Golden fields’와 ‘Purple rain’ 최고의 명소는 file 헬로시드니 20.10.01.
6653 호주 호주의 문화적 다양성 상위 10개 교외지역 중 8개는 빅토리아 주에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6652 호주 호주의 대표적 공화제 전환 운동그룹, ‘헌법 개정’ 캠페인 전개 의사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