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정부가 지원하는 재미한인장학기금(The Korean Honor Scholarship)의 2022년도 캐나다지역 장학생 선발계획이 확정 발표되었다. 

 

금년도 선발인원은 3명으로 각각 미화(USD) 1,000달러의 장학금이 수여될 예정이다. 

2022년도 한인장학기금 운영의 주요한 방향을 보면, 대학생 장학생 선발자 중 일반장학생에게는 각 1000달러의 장학금을 수여한다. 장학금 신청이 가능한 학점을 4.0점 기준으로 3.0점 이상으로 하여 신청 문호를 확대하였다. 마지막으로 학부와 대학원에서 각각 1회씩 장학금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학부에서 장학생으로 선정되어 장학금을 받은 학생이 대학원에서 다시 장학금 신청을 할 수 있다. 

 

재미한인장학기금 대학생 장학생 신청 자격은 캐나다 대학 정규 학사학위 이상 과정에 재학중인 한국계 대학생 또는 대학원생〔부모중 한 분이 한국계인 동포학생, 미국이나 캐나다에 입양된 동포학생, 한국인 유학생 포함〕으로서 직전 1년간 GPA 3.0 이상인 학생은 전공에 관계없이 누구나 지원할 수 있다. 

 

장학생 선발을 위한 심사는 GPA(50점), 추천서(15점), Essay(30점), 이력서(입상실적, 특별활동, Leadership 등), 한국어 시험성적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예정이며, 신청자들은 반드시 최근 1년(’21년 가을학기 및 ’22년 봄학기(특별한 사정을 소명한 경우에는 2021년 봄학기 성적을 제출할 수 있다))의 대학(원) 성적(GPA)을 제출하여야 한다. 

 

재미한인장학기금 장학생 선발시 한국어 진흥과 캐나다 고등학교에서의 정규 한국어과정 개설 및 수강을 장려하기 위하여 한국어 가산점 제도는 계속 운영된다.  한국 이외의 고등학교에서 한국어 과정을 수강하여 B+ 이상 성적을 취득한 학생, 또는 SAT II 한국어 시험에서 700점 이상의 점수를 받은 학생, 또는 국립국제교육원(또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주관 한국어능력시험(TOPIK) 5등급 또는 6등급 인증을 취득한 경우에는 학생의 교육적 환경 등을 고려하여 5점의 범위 내에서 가산점을 부여받을 수 있다.

 

금년도 재미한인장학기금 장학생 선발 주요일정은 캐나다 내 각 총영사관별 원서교부 및 접수(4. 18. ~ 6. 17.), 각 총영사관 지역심사(6. 20. ~ 7. 1.), 대사관 중앙심사(7. 11. ~ 7.29.) 및 장학금 지급(10. 4. 이후)의 순서로 진행될 예정이다. 

 

재미한인 장학기금 장학생 신청서 및 모집요강은 대사관 및 총영사관의 홈페이지 다운로드받아 사용하면 되고, 신청서는 일반 장학생의 경우 지난 해와 같이 대학 소재지 관할 총영사관에, 예능계 및 입양/특별 장학생의 경우 주캐나다대사관으로 제출하여야 한다. 

 

참고로 재미한인장학기금은 1981년 한미수교 1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정부가 출연한 100만불, 1985년도에 추가 출연한 50만불 그리고 2003년도에 한인이민 1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하여 출연한 80만불 및 2008년도 21만불, 2009년도 24만불, 2010년도 15만불의 추가출연분 등 총 290만불의 기금에 대한 투자수익으로 매년 미국과 캐나다지역의 우수한 동포대학(원)생과 한국유학생에게 혜택을 주고 있는데, 2021년까지 40회에 걸쳐 총 3,296명에게 장학금이 지급되었다. 

 

밴쿠버 중앙일보

  • |
  1. index.png (File Size:2.7KB/Download: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597 캐나다 테러 불구, 차별 정책 반대 목소리 줄이어 밴쿠버중앙일.. 17.02.02.
1596 캐나다 UBC와 SFU, 트럼프 이슬람 여행 제약 규탄 성명 밴쿠버중앙일.. 17.02.02.
1595 캐나다 클락 수상, "워크 퍼밋 소지자, 외국인 부동산 취득세 제외" 천명 밴쿠버중앙일.. 17.02.02.
1594 캐나다 새해에도 계속되는 펜타닐 사태, 과다복용 사례 증가 밴쿠버중앙일.. 17.02.02.
1593 캐나다 밴쿠버 집값 상승률 세계 최고 수준 밴쿠버중앙일.. 17.02.02.
1592 캐나다 BC주, 대대적인 아동 보호시설 개혁 필요 밴쿠버중앙일.. 17.02.02.
1591 캐나다 BC주민들, 높은 주거비 부담에 '삶의 질' 떨어져 밴쿠버중앙일.. 17.02.02.
1590 미국 트럼프 ‘무슬림 규제’ 제 잇속 차리기 file 뉴스로_USA 17.01.31.
1589 미국 “반기문은 결점 많은 별 볼 일 없는 대선후보” 코리아위클리.. 17.01.29.
1588 미국 <뉴욕타임스> “블랙리스트 폭로는 문체부 직원들의 공로” 코리아위클리.. 17.01.29.
1587 미국 케네디 스페이스 센터, '화성 세대' 겨냥해 변신 코리아위클리.. 17.01.29.
1586 미국 해마다 커지는 올랜도 북부 샌포드 공항 코리아위클리.. 17.01.29.
1585 미국 링링 서커스단 폐쇄… 시월드도 위태롭다 코리아위클리.. 17.01.29.
1584 미국 ‘오바마케어’ 혼선..지금 미국은 file 뉴스로_USA 17.01.29.
1583 미국 美도시들 ‘반이민정책’ 트럼프와 전선 file 뉴스로_USA 17.01.28.
1582 캐나다 코퀴틀람 도서관, 넓고 편한 독서 라운지 개설 밴쿠버중앙일.. 17.01.28.
1581 캐나다 작년 대중교통 이용객 신기록 수립 밴쿠버중앙일.. 17.01.28.
1580 캐나다 밴쿠버 부동산, 이상 징후 지속 밴쿠버중앙일.. 17.01.28.
1579 캐나다 2036년, 비공식 언어 사용자 급증 밴쿠버중앙일.. 17.01.28.
1578 캐나다 BC주 방문 한인 증가율, 지난 해 가을 들어 정체 밴쿠버중앙일.. 17.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