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ançois Legault Twitter

주 정부 소유의 공공사업인 하이드로 퀘벡은 주 정부의 환경 책무를 유지하면서 전력 향상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노력의 목적으로 대규모 재생 에너지 프로젝트에 대한 두 차례 입찰을 시행할 예정이다.

 

프랑수아 르고(François Legault) 퀘벡주 총리는 20일 Gaspé 지역에서 요나단 줄리앙(Jonathan Julien) 퀘벡주 천연자원부 장관과 함께 이같이 발표했다.

 

1차 구역의 1,000메가와트가 풍력 발전용으로, 2차 구역의 1,300메가와트가 재생 자원에 할당된다.

 

소피 브로추(Sophie Brochu) 하이드로 퀘벡 사장 겸 최고경영자(CEO)는 성명에서 2019~2029년 퀘벡주의 전력 수요가 12%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며, 해당 프로젝트가 증가하는 수요에 대응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르고 주총리는 입찰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지역사회의 참여가 기업들이 충족해야 할 기준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환경과 퀘벡주 근로자들과 함께 부를 창출하기 위해 구체적인 조처를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현재 퀘벡주 풍력 발전소는 약 4,000 메가와트에 달하는 전력을 생산한다.

 

해당 발표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37.6%까지 줄이고 2050년까지 “탄소 중립화”를 달성하겠다는 주 정부의 계획 일부이다.

 

이는 불과 4개월 만에 두 번째 발표이다. 12월에 하이드로 퀘벡은 장기 전력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총 780메가와트의 입찰을 진행했다.

 

펨비나 연구소의 2020년 보고서에 따르면 캐나다의 외곽 지역은 난방 및 발전을 위해 여전히 디젤 연료에 의존하고 있으며 매년 6억 8,200만 리터 이상의 디젤을 사용한다. 그중 300만 리터는 퀘벡주 북부의 Whapmagoostui 및 Kuujjuarapik의 크리족과 이누이트 원주민이 사용 중이다.

 

미래 수력 발전 프로젝트가 예정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서 하이드로 퀘벡은 최근 몇 년 동안 풍력, 태양열과 같은 다른 영역으로 옮겨가고 있다.

 

또한 고객의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해 자회사를 설립해 잉여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대규모 배터리 개발도 진행하고 있다.

몬트리올 한카타임즈

  • |
  1. FQzvNBVXoAE7Sgx-696x464.jpg (File Size:42.7KB/Download:1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557 캐나다 트럼프 취임, BC주 경제 긍정 전망 밴쿠버중앙일.. 17.01.25.
1556 캐나다 밴쿠버 부동산, 중국인 주춤 vs 미국인 증가 밴쿠버중앙일.. 17.01.25.
1555 미국 트럼프 막내 조롱 美SNL작가 정직 file 뉴스로_USA 17.01.24.
1554 미국 美 SF 기림비동판 문구 확정 file 뉴스로_USA 17.01.22.
1553 미국 마이애미-올랜도간 고속열차, 18일 첫 실험운행 코리아위클리.. 17.01.21.
1552 미국 올랜도에 ‘테니스 천국’ 문 열었다 코리아위클리.. 17.01.21.
1551 미국 ‘지상 최대의 쇼’ 링링 서커스단, 146년 역사 접는다 코리아위클리.. 17.01.21.
1550 미국 올랜도 펄스 클럽 총격 테러범 부인 체포 코리아위클리.. 17.01.21.
1549 미국 디즈니월드, 올해도 ‘디스커버 디즈니’ 디스카운트 코리아위클리.. 17.01.21.
1548 미국 당뇨는 한국과 미국서 모두 부담스런 질환 코리아위클리.. 17.01.21.
1547 미국 대학 지원후 학교서 오는 연락 잘 처리해야 코리아위클리.. 17.01.21.
1546 미국 미국인들은 중국설날? file 뉴스로_USA 17.01.19.
1545 미국 ‘반기문조카 사기’ 해리스 말콤 무죄주장 file 뉴스로_USA 17.01.19.
1544 캐나다 加 공정거래위, 애플 불공정 거래 무죄 밴쿠버중앙일.. 17.01.19.
1543 캐나다 캐나다 전국, 12월 주택거래 전년대비 감소 밴쿠버중앙일.. 17.01.19.
1542 캐나다 한국, 11월 캐나다 수출입 증가율 1위 밴쿠버중앙일.. 17.01.19.
1541 캐나다 도서관에서 원격 인쇄 가능 밴쿠버중앙일.. 17.01.19.
1540 캐나다 스카이트레인 운행 횟수 확대 밴쿠버중앙일.. 17.01.19.
1539 캐나다 CMHC 모기지 보험 인상 밴쿠버중앙일.. 17.01.19.
1538 캐나다 밴쿠버 벚꽃 축제, 2월 11일 OPEN 밴쿠버중앙일.. 17.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