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젤라 김 교육칼럼] 졸업 후 직장 생활을 준비하는 일

대학 입학 정규 지원 결과 발표를 얼마남겨 놓지 않고 있습니다. 최근 몇 주간에 걸쳐 대학생들이 학교에서 전공 과목 외에 과외로 습득해두어야 할 기술들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습니다.
 
angela.jpg
▲ 엔젤라 김
 
대학에 가게 되면 거의 모든 학생들은 성적과 함께 교실 안팎에서 받게 되는 온갖 스트레스를 해결하는 일에 신경을 집중하게 됩니다. 전공을 정하고 공부하는 일에 신경을 쓰느라 사실상 졸업 후 취업을 위해 어떤 준비를 해야 할지 생각하지 못하고 대학 생활을 보내게 되는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그러나 학점 외에도 졸업 후 유용하게 쓰게 될 여러 가지 습관과 기술을 습득해놓아야 합니다. 좋은 습관을 기르는 일이 졸업 후 좋은 직업을 갖는 데 도움이 된다고 하면 금방 이해가 되지는 않을지도 모르겠습니다. 놀랄지 모르겠지만 고용주들이 졸업생들의 졸업 학점을 볼 때 평점, 즉 GPA는 그 학생의 기본 지능의 척도만이 될 뿐이고 더 자세히 보는 면은 학생의 대화 기술, 정직성, 팀워크, 대인 관계 기술, 직장 윤리 등입니다. 그렇다고 학점을 무시한다는 말은 절대 아님을 강조해야 하겠습니다. 학점은 기본이고 그 외에 길러야 할 덕목 및 습관을 말씀 드리는 것입니다.

대학의 강의 과정은 지식과 기술의 향상 및 개발에 중점을 둡니다. 어떤 과목도 문제 해결 능력, 시간 활용 능력, 분석적 사고, 대화술, 작문 능력 등을 직접적으로 가르치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모든 수업 시간이 그런 기술을 향상시킬 기회라고 생각하고 활용할 줄 알아야 합니다.

학교를 다니며 공부 외에 습득해야 할 여러 가지 기술 및 습관 중에서 우선 직업 윤리에 관해서 생각해 보겠습니다. 직업 윤리야말로 학교를 다니는 동안 학점 다음으로 중요시 여기며 습득해야 할 중요한 요소입니다.

불행하게도 너무 많은 학생들이 계속 옆에서 잔소리를 해야 무슨 일을 하나 겨우 마칠 수 있을까 말까 합니다. 누가 옆에서 계속 지시하거나 제제하지 않아도 스스로 동기를 부여하며 일을 추진하는 능력을 키워야 합니다. 무슨 일이 중요한 지 순서를 정할 줄 알아야 하며 정해진 목표를 추진하는 습관을 들여야 합니다.

직업 윤리란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서 순간 순간 가지게 되는 자기 만족을 미룰 줄 아는 능력이기도 합니다.미래의 고용주가 원하는 사람은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강한 의지와 에너지를 가진 사람들이며 실질적으로 그런 사람들이 매우 부족합니다. 그러한 자기 동기 부여의 능력을 열심이라고 부르든 아니면 열정, 에너지 혹은 자신감이라 부르든 일의 추진력이 있는 사람이 좋은 결과를 낼 것이며 그것이 개인의 능력이자 책임입니다.

학생이 좋은 직업 윤리를 갖기 위해 연습해야 할 다른 일은 시간과 돈을 잘 쓰는 일입니다. 학교를 9시부터 5시까지 다니는 직장으로 생각하면 시간을 잘 쓰는데 도움이 됩니다. 그러면 일 주일에 적어도 30시간은 숙제 하는데 쓸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옵니다. 그리고 다음날 “직장”에 가야 하니까 밤 늦게까지 친구들과 어울려 파티를 한다든지 하는 무절제한 생활은 피하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학교를 “직장”으로 여긴다면 아침 8시 30분에 있는 수업 정도도 겁내지 않고 택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런 식으로 학교 생활을 하는 습관을 갖게 되면 교수들에게도 좋은 인상을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졸업 후 직장 생활을 할 때에도 근면하게 일하는 것이 몸에 베어 있어서 도움이 됩니다.

돈을 잘 쓰는 문제에 있어서는 자세한 지출 내용을 일일이 신경 쓸 줄 알아야 하고 신용 카드를 절제 있게 사용하고 은행 구좌에 돈이 얼마 남았는지 알고 대처하는 습관을 들여야 합니다. 당장의 만족을 위해서 무언가를 구입할 때마다 미래를 위해 투자할 수 있는 돈이 감소된다는 것을 인식할 줄 알아야 합니다. 돈을 제대로 쓴다는 것은 또한 상품의 구매 가치를 따져서 생각할 수 있는 능력과 습관을 기르는 일이요, 꼭 필요한 결정을 내리는 훈련을 하는 일입니다. 카드 빚이 없이 학교를 졸업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금전 생활을 하는 것도 좋겠습니다. 사정상 빚을 져야 하는 경우라면 대책 없이 빚을 지는 것이 아니라 빚이 얼마고 다 갚으려면 얼마나 걸리며 어떻게 갚을 것인지 분명한 생각과 계획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그러므로 철저한 직업 윤리를 갖는 것은 학교를 다니면서 미리 습득하고 연습해야 하는 일이고 잘 훈련해 두는 것은 졸업 후 직장 생활을 준비하는 일입니다.

엔젤라 유학/교육 컨설팅, angelagroup@gmail.com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590 폴란드, 우크라이나 사태로 정치와 경제 모두 불안 유로저널 14.03.20.
3589 난민들이 가장 선호하는 국가, 독일 file 유로저널 14.03.25.
3588 G7 정상,러시아 고립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file 유로저널 14.03.26.
3587 스페인 천주교신자들,낙태와 동성결혼에 찬성 file 유로저널 14.03.28.
3586 세계 웨어러블 컴퓨터 시장, 향후 5 년이내 302억 달러 전망 file 유로저널 14.04.08.
3585 캐나다 밴쿠버중앙일보, 캐나다한인상공실업인총연합회와 MOU 체결 file 밴쿠버중앙일.. 14.06.03.
3584 캐나다 [캐나다] 밴쿠버에서 대한테니스협회장배 대회 개최 옥자 14.06.18.
3583 캐나다 [캐나다] 밴쿠버 중앙일보·한남수퍼마켓, BC 한인축구협회와 조인식 옥자 14.09.03.
3582 미국 현경대 민주평통 수석부의장 “달라스 찾는다” KoreaTimesTexas 15.02.10.
3581 미국 북텍사스 한인 간호사협회 2015 정기총회 개최 KoreaTimesTexas 15.02.13.
3580 미국 “세월호 유가족 달라스 찾는다” file KoreaTimesTexas 15.02.27.
3579 미국 만18세 국적포기, 3월 31일 놓치면 “병역의무져야" file KoreaTimesTexas 15.03.21.
3578 미국 추신수, 세월호 1주기 추모 “노란리본 달았다” file KoreaTimesTexas 15.04.17.
3577 미국 다운타운에 퍼진 ‘신명나는 우리 가락’ file KoreaTimesTexas 15.04.17.
3576 미국 중소기업 진출, “달라스 무역관이 돕는다” file KoreaTimesTexas 15.04.23.
3575 미국 한국전 참전용사 위한 ‘감사 음악회’ file KoreaTimesTexas 15.04.24.
3574 캐나다 캐나다 한인 노인회 전국대회, 캘거리에서 열려 file 밴쿠버중앙일.. 15.05.15.
3573 미국 미주 호남향우회 총회 달라스에서 개최 file KoreaTimesTexas 15.05.16.
3572 미국 성영준, 시의원 도전 '실패'… 513표 차이로 낙선 file KoreaTimesTexas 15.05.16.
3571 미국 텍사스 레인저스, “한국의 날” 행사 개최 file KoreaTimesTexas 15.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