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감염자 1).jpg

‘호주 국립면역연구 및 감시센터’(National Centre for Immunisation Research and Surveillance. NCIRS)와 NSW대학교 내 의료연구기관 ‘커비연구소’(Kirby Institute)의 연구 결과 지난해 12월 '오미크론'(Omicron) 변이 바이러스 파동 당시 실제 감염자 수는 당국이 집계한 것의 두 배 이상에 이를 것으로 추정됐다. 사진 : ABC 방송 뉴스 화면 캡쳐

 

NCIRS-Kirby Institute 전염병 학자들의 새로운 분석, 집계 수치보다 두 배 이상

 

호주를 가장 큰 전염병 파동으로 몰아넣었던 지난해 12월의 ‘오미크론’(Omicron) 변이 바이러스 감염이 생각했던 것보다 더 클 수 있다는 추정이 나왔다.

‘델타’(Delta) 변이에 따른 봉쇄조치가 완화된 얼마 뒤 등장한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는 델타에 비해 심각성은 덜 한 것으로 판단됐으나 감염자 급증을 불러와 호주는 1일 감염자 1,500명 미만에서 한 달 만에 하루 10만 명 이상을 기록하는 국가가 된 바 있다.

이처럼 한 순간 높은 감염자를 발생시켰지만, 전염병 전문가들은 당시 감염자가 당국이 집계한 것의 두 배 이상에 달할 것으로 보고 있다.

그렇다면, 당시 어떻게 하여 그 많은 COVID-19 감염 사례가 감지되지 않았던 것일까.

 

▲ 연구를 통해 발견한 것은= ‘호주 국립면역연구 및 감시센터’(National Centre for Immunisation Research and Surveillance. NCIRS)와 NSW대학교 내 의료연구기관인 커비연구소(Kirby Institute)의 연구원들은 올해 2월 말에서 3월 초 사이, 헌혈자들에게서 채취한 5,185개의 샘플에서 COVID-19 항체를 찾았다.

아울러 연구원들은 백신에 의한 것이 아닌, COVID-19 감염 후 체내에서 발견되는 항체를 포함해 혈액 내 두 가지 유형의 항체를 테스트했다.

이를 통해 연구원들은 2022년 2월 말까지 호주 성인 최소 17%(약 340만 명)가 ‘오미크론’ 변이에 감염되었으며, 이들 대다수는 ‘오미크론 파동’ 기간에 발생한 것으로 추정했다. 이는 감염자가 공식적으로 보고된 것의 두 배 이상이었음을 의미한다.

이 같은 추정에 대해 일부 사람들은 놀라운 것이라 여길 수 있지만 NCIRS 원장인 크리스틴 매카트니(Kristine Macartney) 교수는 “그리 놀랍지 않다”고 말했다. “전 세계 다른 지역에서 실시된, 이와 유사한 연구를 보면 공식 보고된 감염자 수에 비해 5~10배 많은 감염자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됐다”는 것이다.

 

종합(감염자 2).jpg

‘오미크론’ 변이 출현 이후 호주에서는 하루 최대 10만 명 이상의 감염 사례가 나오기도 했다. Source: Our World in Data

   

이어 매카트니 교수는 이번 항체 연구에 대해 “지역사회에 바이러스가 얼마나 많이 퍼져 있는지, 그리고 지역사회에서의 전반적인 바이러스 면역 패턴이 어떠한지에 대한 더 큰 통찰력을 제공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항체가 있는 성인은 퀸즐랜드(Queensland)와 빅토리아(Victoria) 주가 각각 26%, 23%로 가장 높았으며 주 경계(State border)를 가장 마지막까지 봉쇄했던 서부호주(Western Australia)는 0.5%로 가장 낮았다.

또한 연구원들은 18세에서 29세 사이 성인의 혈액 샘플 27%에서 항체를 발견함으로써 이 연령층의 감염 가능성이 더 높았다는 것을 확인했다. 70세 이상 인구 가운데 항체가 있는 이들의 비율은 7% 미만이었다.

 

▲ 많은 감염 사례가 감지되지 않은 이유는= 혈액 샘플을 통해 추정한 것보다 적은 수의 감염자가 확인된 이유는 무엇일까. 여기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는 게 연구원들의 설명이다.

우선, COVID-19에 감염된 모든 이들에게 실제 증상이 나타나거나 감염여부를 알기 위한 검사를 받는 것이 아니므로 이들의 경우 공식 감염자 수치에 추가되지 않을 수 있다. PCR 검사 또는 자가 검사를 통해 감염이 확인된 사례만 공식 집계에 포함됐던 것이다.

매카트니 교수는 “감염 사례의 최대 약 30~40%는 무증상일 수 있으므로 사람들은 자신이 감염됐다는 부정적 부작용이나 감정을 느끼지 않았을 것”이라며 “그러므로 이들 대부분은 검사장을 찾아가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당시 빠른 항체검사(Rapid Antigen Test. RAT) 키트가 원활하게 공급되지 않았다는 점, PCR 검사시설 접근이 어려운 지역이 있었음을 감안, 일부 사람들은 검사를 받지 못했던 이유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종합(감염자 3).jpg

‘National Centre for Immunisation Research and Surveillance’의 크리스틴 매카트니(Kristine Macartney. 사진) 교수. 그녀는 “전 세계 다른 지역에서 실시된, 이와 유사한 연구를 보면 공식 보고된 감염자 수에 비해 5~10배 많은 감염자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됐다”는 점에서 이번 연구 결과는 크게 놀랄 일이 아니라는 반응이다.

   

커틴대학교 공공보건대학원(Curtin School of Population Health)의 자야 댄타스(Jaya Dantas) 교수 또한 “가벼운 증상을 느끼는 이들은 ‘독감’이라 생각하고 COVID 검사를 원하지 않았거나, RAT 기기를 이용할 수 없었기에 검사 시기를 놓쳤을 수 있다”고 말했다.

 

▲ 여전히 감염자 수는 적게 보고되는 것일까?= 그럴 수 있지만 정확하게 그 수는 불분명하다. 연구원들은 두 번째 혈액 샘플 표본이 수집되는 향후 몇 주 안에 이를 조금 더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매카트니 교수는 “두 배에 이를 수도 있지만 (샘플 혈액을) 테스트를 하기 전까지는 알 수 없다”면서 “이 첫 번째 연구를 수행할 즈음, 감염의 증거가 많지 않은 호주의 새로운 지역을 포함해 전국적으로 코로나바이러스가 계속 전파됐다”고 덧붙였다.

바이러스 전파를 막기 위한 공공보건 조치가 완화됐지만 면역력이 떨어진 이들은 여전히 COVID-19를 크게 경계하고 있다. 아직도 호주 전역에서는 하루 최대 2만 명 이상의 감염자가 나오기도 한다. 커틴대학교 댄타스 교수는 “감염을 조심해야 하지만 크게 놀랄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호주는 마스크 착용 의무를 폐기했고, 독감 시즌을 보내고 있기에 앞으로 3개월 정도는 하나의 시험기간이라 할 수 있다”는 댄타스 교수는 “모든 이들이 감염에 주의를 기울임은 물론 우리 주변에 취약한 이들이 있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고 서로가 지역사회의 안전을 위해 행동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감염자 1).jpg (File Size:86.5KB/Download:16)
  2. 종합(감염자 2).jpg (File Size:20.1KB/Download:12)
  3. 종합(감염자 3).jpg (File Size:58.3KB/Download:14)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701 호주 호주인, 주택융자 신청서류 정직히 작성할까? 톱뉴스 17.09.15.
6700 호주 호주인, 일본 방문 급증…평창올림픽 앞둔 한국은? 톱뉴스 17.08.11.
6699 호주 호주인, 생활습관 변화로 암 사망의 40% 예방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17.12.14.
6698 호주 호주인 흡연자 비율, 30년 만에 절반으로 감소 file 호주한국신문 19.06.06.
6697 호주 호주인 행복지수, 전 세계 국가 중 18번째 호주한국신문 14.05.29.
6696 호주 호주인 평균수명 84.32세로 늘어나, 모나코-일본 이어 전 세계 세 번째 장수 file 호주한국신문 22.11.17.
6695 호주 호주인 특유의 유머가 만들어낸 ‘Strollout’, ANDC의 ‘올해의 단어’에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6694 호주 호주인 태운 비행기 네 대 이번 주 퍼스 도착, 확진자 수 급증 가능성 있어 file 퍼스인사이드 20.04.28.
6693 호주 호주인 질병 부담의 3분의 1은 예방 가능한 위험 요인...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9.
6692 호주 호주인 직장선호도 1위는 항공업, ‘버진 항공’ 1위 file 호주한국신문 16.05.12.
6691 호주 호주인 정서, “아직은 군주제 지지 우세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2.04.
6690 호주 호주인 임대료 부담 가중, 소득의 30-50% 지출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6689 호주 호주인 음주량 감소... ‘위험 수준의 술꾼’ 비율은 여전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6688 호주 호주인 알코올 관련 질병 사망자, 하루 15명달해 호주한국신문 14.07.31.
6687 호주 호주인 스마트폰 의존, 갈수록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686 호주 호주인 선교사들이 남긴 한국의 근·현대 모습은... 호주한국신문 14.05.15.
6685 호주 호주인 부부, 대리모가 낳은 장애아 대리모에게 떠넘겨 호주한국신문 14.08.07.
6684 호주 호주인 미디어 이용, TV보다 디지털 기기 선호 호주한국신문 14.08.07.
6683 호주 호주인 기대수명... 여 84.5세, 남 80.4세 file 호주한국신문 16.11.03.
6682 호주 호주인 골다공증 심각, 3분에 한 명 골절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681 호주 호주인 거주 지역별, 심장건강 차이 두드러져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2.
6680 호주 호주인 개인 소득 지속 증가... 일부 지역은 줄어 file 호주한국신문 20.02.13.
6679 호주 호주인 가구당 평균 자산 100만 달러 첫 돌파 톱뉴스 19.07.16.
6678 호주 호주인 가계자산, 최고 수준... ‘잘못된 부의 분배’ 경고도 file 호주한국신문 17.07.06.
6677 호주 호주인 ‘중간 순자산’ 규모, 전 세계에서 가장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18.10.25.
6676 호주 호주인 ‘비만’ 비율 상승, 거주 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 file 호주한국신문 19.12.12.
6675 호주 호주인 IS 테러리스트 ‘프라카시’, 터키서 체포 file 호주한국신문 16.12.01.
6674 호주 호주인 90% “재정적 안정을 위해 주택 소유는 필수” 톱뉴스 17.07.14.
6673 호주 호주인 7명 목숨 앗아간 호주산 멜론 9개국에 수출 톱뉴스 18.04.12.
6672 호주 호주인 71%, “턴불 총리, 잔여임기 마쳐야...” 입장 file 호주한국신문 17.12.07.
6671 호주 호주인 60%, 무슬림과의 결혼에 ‘우려’ 표시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9.
6670 호주 호주인 5대 사망요인은? file 한호일보 16.03.14.
6669 호주 호주인 40%, 해외여행 경험 없어... 그 이유는 무엇?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1.
6668 호주 호주인 40% 수면부족...그 결과는? 톱뉴스 17.10.10.
6667 호주 호주인 25%, 매주 기부금 요청 전화 수신 file 호주한국신문 16.10.06.
6666 호주 호주인 10명 중 7명, “자녀의 삶, 더 악화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8.
6665 호주 호주인 100만 명 이상 불량주택 거주, ‘슬럼화’ 경고...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1.
6664 호주 호주의 평균 소득자들, 어느 지역에서 주택구입 가능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7.
6663 뉴질랜드 호주의 키위 전과자들, 매일 두 명꼴로 뉴질랜드 돌아와 NZ코리아포.. 18.01.11.
6662 호주 호주의 크리스마스 톱뉴스 17.12.25.
6661 호주 호주의 코로나 바이러스, 실제 확산은 어느 정도일까... file 헬로시드니 20.08.07.
6660 호주 호주의 첫 중국계 여성 연방의원 글래디스 리우 ‘구설수’ 확산 톱뉴스 19.09.17.
» 호주 호주의 첫 ‘오미크론’(Omicron) 변이 파동, “드러난 것보다 더 컷을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6658 호주 호주의 전기차 현황, 이용자 늘고 있지만 다른 국가 비해 크게 뒤쳐져 file 호주한국신문 22.04.21.
6657 호주 호주의 여름나기, 유의해야 할 ‘치명적 위험’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12.08.
6656 호주 호주의 에어비앤비 숙소, ‘주택부족’ 문제에 미치는 영향 “크지 않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3.07.
6655 호주 호주의 비공식 국가 이념 ‘mateship’, “이전처럼 강하지 않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6654 호주 호주의 봄... ‘Golden fields’와 ‘Purple rain’ 최고의 명소는 file 헬로시드니 20.10.01.
6653 호주 호주의 문화적 다양성 상위 10개 교외지역 중 8개는 빅토리아 주에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6652 호주 호주의 대표적 공화제 전환 운동그룹, ‘헌법 개정’ 캠페인 전개 의사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