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호주인 가치 1).jpg

호주인들이 생각하는 국가적 가치 중 하나인 '동료애'(mateship) 정신이 이전보다 강하지 않다는 새 조사 결과가 나왔다. 사진은 호주의 대형 출판회사 중 하나인 ‘Scribe Publications’에서 출간한 닉 디렌퍼스(Nick Dyrenfurth)의 ‘MATESHIP a very Australian history’의 표지에서 발췌한 것임.

 

‘Havas Australia Creative Group’의 2022년도 국가 가치 연구 결과

 

18세기 영국의 식민지이자 죄수 유배지에서 출발한 호주의 국가 형성 과정에서 신분의 고하 없이 모두가 평등하고 소중한 동료임을 인정하는 마이트십(mateship)은 식민지 전체 구성원을 하나로 통합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사회적 이념이었다. 그리고 이 정신은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이들을 이주시켜 다문화 이민 국가로 기틀을 다진 정부 정책의 기본이기도 했다. ‘G'Day mate’가 호주인의 보편적 인사가 된 것도 이런 배경에서 이다.

하지만 오늘날 호주인들이 가진 이 ‘동료애’ 의식은 이전만큼 강하지 않으며, 현 젊은 세대는 부모 세대에 비해 지속가능성, 창의성, 지성을 더 중시할 가능성이 높다는 조사가 나왔다.

물론 호주인들에게 있어 ‘fair go’(공정성, 또는 공평함)라는 개념은 호주의 가장 높은 가치 중 하나로 인정되는 ‘공평한 기회’(equal opportunity) 정신과 함께 여전히 살아 있으며, 이 원칙은 젊은 세대에 의해 더욱 큰 확신으로 유지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 같은 진단은 최근 호주 광고-미디어그룹인 ‘Havas Australia Creative Group’의 연구 부서인 ‘Havas Labs’(이하 ‘Havas’)이 런던 기반의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YouGov Australia와 공동으로 수행한 ‘2022년 호주 국가 가치’(Australian National Values 2022) 연구를 통해 제시된 것이다.

이번 연구를 수행한 ‘Havas’ 최고 전략책임자인 올리 테일러(Olly Taylor)씨는 호주인들에게 있어 국가적 가치를 믿는 것과 개인 차원에서의 자신의 가치를 어떻게 파악하는지가 일치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테일러씨는 “현재 호주인들은 보다 진보적이고 더 동정심을 갖고 있으며 더 창의적임은 물론 국가가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지성을 중요시한다”며 “반면 민족주의나 동료의식과 같이 국가 차원에서 소중히 여기는 것 가운데 일부는 실제로 덜 가치 있는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Havas와 YouGov의 이번 연구는 호주 전역 1,535명을 선정한 표본 집단, 여기에다 영어 이외의 언어를 사용하는 호주 외 국가 출생 이민자 500명의 추가 표본을 대상으로 한 설문을 기반으로 한다.

 

종합(호주인 가치 2).jpg

호주 광고-미디어그룹인 ‘Havas Australia Creative Group’의 연구 부서인 ‘Havas Labs’이 런던 기반의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YouGov Australia’와 공동으로 수행한 2022년 호주 국가 가치(Australian National Values 2022)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전후 세대(X세대)로 권력이 넘어가면서 국가적 가치 기준에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사진 : Pixabay / 14995841

  

조사 결과 공평한 기회(equal opportunity), 자유(freedom), 동료애(mateship)를 국가의 3대 가치로 여기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들의 답변 가운데 동료애는 ‘연민’(compassion)보다 낮은 비율이었으며 직업윤리(work ethic), 국가안보(security)와 유사한 비율의 답변이었다.

또한 응답자들은 지난 5~10년 사이 국가적 가치가 변했고, 공동체 의식의 약화와 함께 각 개개인이 점차 이기적으로 바뀌는 것에 두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진단됐다.

실제로 이번 조사에서 상위 3개의 가치는 정직성(honesty), 공평한 기회, 그리고 자유였다. 특히 이는 남녀, 자녀가 있는 이들과 없는 응답자, 대도시나 지방 지역 거주자, 해외 출생 이민자 모두를 포함한 광범위한 세대에서 일관되게 갖고 있는 생각이었다.

다만 상위 3개 가치를 넘어서 기성세대는 사람들이 ‘국가적 가치’로 인식하는 것에 더 동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베이붐 세대(1946~1964년 출생)와 그 이전의 ‘침묵의 세대’(Silent Generation. 1918~1945년 출생)는 동료애, 민족주의, 국가 안보와 법치(security and rule of law) 등 전통적 가치에 더 많은 비중을 두고 있다.

 

종합(호주인 가치 3).jpg

2000년을 전후하여 출생한 Z세대는 동료애(mateship)에 비해 창의성(creativity), 혁신(innovation), 기업가 정신(entrepreneurship), 성취(achievement)와 지성(intellectualism)을 더 중시하는 경향을 보인다. 사진 : Western Governors University

 

이와 달리 그 이후 세대인 Y세대(밀레니엄 세대로 알려진 1981년~1996년 출생자들)와 Z세대(1997년~2009년 출생 세대)는 창의성(creativity), 혁신(innovation), 기업가 정신(entrepreneurship), 성취(achievement)와 지성(intellectualism)을 더 중시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리고 그 사이에 X세대(1965년~1980년 출생 세대)가 있다.

독립 인구-사회문제연구소인 ‘The Demographics Group’의 공동 설립자이며 인구학자인 사이먼 쿠에스텐마허(Simon Kuestenmacher)씨는 이번 연구 결과에 대해 “호주인들이 생각하는 가치가 유동적임을 보여주었으며, X세대에 권력이 넘어가면서 눈에 띄는 변화가 있음을 예측했다”고 평가하면서 “그들(X세대)은 어머니들이 직장에 서 일하는 것을 본 첫 세대이기에 직장 내 양성평등 문제에 진정 열성적”이라고 말했다.

올해 33세의 한나 레이먼트(Hannah Rayment)씨는 아보츠포드(Abbotsford)에서 아버지 존(John. 63), 어머니 마리아(Marea. 60)씨와 함께 살고 있다.

마리아씨는 가족의 최고 가치를 가족과의 유대, 평등한 기회, 우애와 효(loyalty)라고 믿어 왔으며, 이런 원칙이 “(품위를 잃지 않는) 괜찮은 삶을 위한 기본”(fundamental to living a decent life)이라고 말했다. 그녀의 가족은 항상 (괜찮은 삶의) 지속가능성을 중요하게 여겨왔기에 이것이 단순히 밀레니엄 세대들의 가치로만 여기지 않았다.

경찰관으로 일했던 존과 아내 마리아씨는 바이러스로 인한 봉쇄기간 동안 사람들의 ‘자유’가 얼마나 제한받았는지 보았다. 하지만 “그 자유의 가치는 더 넓은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마리아씨는 “이는 바로 재정적-육체적 건강 및 두려움 없이 움직일 수 있는 자유”라고 설명했다.

한나씨는 자신의 세대에 대해 “자유로운 여행의 기회를 갖게 되었고 또한 기후변화, 여성 인권운동, ‘Black Lives Matter’(인종간 차별 철폐 운동) 등의 이슈와 함께 강한 사회적 양심을 갖게 되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활동가가 되고 싶어하고 변화를 만들어내려 하며 다른 이들의 목소리를 듣고 싶어하는 이들이 훨씬 많은 것 같다”고 덧붙였다.

 

종합(호주인 가치 4).jpg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베이붐 세대는 호주의 국가적 가치인 동료애, 공정성(fair go)과 함께 가족과의 친밀한 유대와 이의 지속가능성을 소중하게 여기고 있다. 사진 : Pixabay / dassel

   

이어 그녀는 “많은 밀레니얼들(밀레니엄 세대)들은 ‘동료애’를 ANZAC(제1차 세계대전 당시 영국의 요청에 따라 호주 및 뉴질랜드 군으로 구성되어 갈리폴리 전투에 참전한 부대) 또는 군인이라는 이미지에 연관시킬 수 있다”며 “반드시 공감할 필요는 없지만 우리 세대는 여전히 우정, 커뮤니티에 관심을 가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를 보면 저소득 가구(연소득 최대 5만9,000달러)는 전체 응답자들보다 관용(tolerance), 연민(compassion), 전통(tradition)에 더 큰 가치를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그리고 중간소득(연 6만 달러~11만9,000달러) 계층은 타인에 대한 책임감(responsibility for others), (본인의) 신체적 건강과 운동, 평등주의(egalitarianism)를 더 강조하고 있으며, 고소득 계층(연소득 12만 달러 이상)은 지성, 기업가 정신, 성취와 혁신의 가치를 선호했다.

성별로 보면, 남성의 경우 동료애, 법치, 관용, 지성, 창의성을 중시했으며, 여성은 신체적 건강과 운동, 회복력(resilience), 지속가능성을 강조하는 경향을 보였다.

쿠에스텐마허씨는 “대도시와 지방 지역 거주자가 갖고 있는 가치는 대체로 유사했다”며 “이는 부분적으로 지방 지역으로의 이주자 증가, 지리적 거리감을 없애 놓은 인터넷을 동시에 소비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그런 반면 그는 “소셜미디어의 알고리즘으로 인해 남성과 여성이 점점 더 같은 미디어를 소비하지 않는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이번 조사는 해외 출생 이민자의 경우 호주 태생에 비해 직업윤리, 국가안보, 법치, 지속가능성, 타인에 대한 책임에 더 많은 비중을 두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 자녀가 없는 이들은 관용, 연민, 동료애를 더 높게 평가한 반면 어린 아이 또는 10대 자녀를 둔 사람들은 성취, 지성, 혁신의 가치를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호주인 가치 1).jpg (File Size:155.7KB/Download:16)
  2. 종합(호주인 가치 2).jpg (File Size:76.2KB/Download:17)
  3. 종합(호주인 가치 3).jpg (File Size:88.4KB/Download:14)
  4. 종합(호주인 가치 4).jpg (File Size:89.8KB/Download:14)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701 호주 호주인, 주택융자 신청서류 정직히 작성할까? 톱뉴스 17.09.15.
6700 호주 호주인, 일본 방문 급증…평창올림픽 앞둔 한국은? 톱뉴스 17.08.11.
6699 호주 호주인, 생활습관 변화로 암 사망의 40% 예방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17.12.14.
6698 호주 호주인 흡연자 비율, 30년 만에 절반으로 감소 file 호주한국신문 19.06.06.
6697 호주 호주인 행복지수, 전 세계 국가 중 18번째 호주한국신문 14.05.29.
6696 호주 호주인 평균수명 84.32세로 늘어나, 모나코-일본 이어 전 세계 세 번째 장수 file 호주한국신문 22.11.17.
6695 호주 호주인 특유의 유머가 만들어낸 ‘Strollout’, ANDC의 ‘올해의 단어’에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6694 호주 호주인 태운 비행기 네 대 이번 주 퍼스 도착, 확진자 수 급증 가능성 있어 file 퍼스인사이드 20.04.28.
6693 호주 호주인 질병 부담의 3분의 1은 예방 가능한 위험 요인...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9.
6692 호주 호주인 직장선호도 1위는 항공업, ‘버진 항공’ 1위 file 호주한국신문 16.05.12.
6691 호주 호주인 정서, “아직은 군주제 지지 우세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2.04.
6690 호주 호주인 임대료 부담 가중, 소득의 30-50% 지출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6689 호주 호주인 음주량 감소... ‘위험 수준의 술꾼’ 비율은 여전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6688 호주 호주인 알코올 관련 질병 사망자, 하루 15명달해 호주한국신문 14.07.31.
6687 호주 호주인 스마트폰 의존, 갈수록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686 호주 호주인 선교사들이 남긴 한국의 근·현대 모습은... 호주한국신문 14.05.15.
6685 호주 호주인 부부, 대리모가 낳은 장애아 대리모에게 떠넘겨 호주한국신문 14.08.07.
6684 호주 호주인 미디어 이용, TV보다 디지털 기기 선호 호주한국신문 14.08.07.
6683 호주 호주인 기대수명... 여 84.5세, 남 80.4세 file 호주한국신문 16.11.03.
6682 호주 호주인 골다공증 심각, 3분에 한 명 골절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681 호주 호주인 거주 지역별, 심장건강 차이 두드러져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2.
6680 호주 호주인 개인 소득 지속 증가... 일부 지역은 줄어 file 호주한국신문 20.02.13.
6679 호주 호주인 가구당 평균 자산 100만 달러 첫 돌파 톱뉴스 19.07.16.
6678 호주 호주인 가계자산, 최고 수준... ‘잘못된 부의 분배’ 경고도 file 호주한국신문 17.07.06.
6677 호주 호주인 ‘중간 순자산’ 규모, 전 세계에서 가장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18.10.25.
6676 호주 호주인 ‘비만’ 비율 상승, 거주 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 file 호주한국신문 19.12.12.
6675 호주 호주인 IS 테러리스트 ‘프라카시’, 터키서 체포 file 호주한국신문 16.12.01.
6674 호주 호주인 90% “재정적 안정을 위해 주택 소유는 필수” 톱뉴스 17.07.14.
6673 호주 호주인 7명 목숨 앗아간 호주산 멜론 9개국에 수출 톱뉴스 18.04.12.
6672 호주 호주인 71%, “턴불 총리, 잔여임기 마쳐야...” 입장 file 호주한국신문 17.12.07.
6671 호주 호주인 60%, 무슬림과의 결혼에 ‘우려’ 표시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9.
6670 호주 호주인 5대 사망요인은? file 한호일보 16.03.14.
6669 호주 호주인 40%, 해외여행 경험 없어... 그 이유는 무엇?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1.
6668 호주 호주인 40% 수면부족...그 결과는? 톱뉴스 17.10.10.
6667 호주 호주인 25%, 매주 기부금 요청 전화 수신 file 호주한국신문 16.10.06.
6666 호주 호주인 10명 중 7명, “자녀의 삶, 더 악화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8.
6665 호주 호주인 100만 명 이상 불량주택 거주, ‘슬럼화’ 경고...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1.
6664 호주 호주의 평균 소득자들, 어느 지역에서 주택구입 가능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7.
6663 뉴질랜드 호주의 키위 전과자들, 매일 두 명꼴로 뉴질랜드 돌아와 NZ코리아포.. 18.01.11.
6662 호주 호주의 크리스마스 톱뉴스 17.12.25.
6661 호주 호주의 코로나 바이러스, 실제 확산은 어느 정도일까... file 헬로시드니 20.08.07.
6660 호주 호주의 첫 중국계 여성 연방의원 글래디스 리우 ‘구설수’ 확산 톱뉴스 19.09.17.
6659 호주 호주의 첫 ‘오미크론’(Omicron) 변이 파동, “드러난 것보다 더 컷을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6658 호주 호주의 전기차 현황, 이용자 늘고 있지만 다른 국가 비해 크게 뒤쳐져 file 호주한국신문 22.04.21.
6657 호주 호주의 여름나기, 유의해야 할 ‘치명적 위험’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12.08.
6656 호주 호주의 에어비앤비 숙소, ‘주택부족’ 문제에 미치는 영향 “크지 않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3.07.
» 호주 호주의 비공식 국가 이념 ‘mateship’, “이전처럼 강하지 않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6654 호주 호주의 봄... ‘Golden fields’와 ‘Purple rain’ 최고의 명소는 file 헬로시드니 20.10.01.
6653 호주 호주의 문화적 다양성 상위 10개 교외지역 중 8개는 빅토리아 주에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6652 호주 호주의 대표적 공화제 전환 운동그룹, ‘헌법 개정’ 캠페인 전개 의사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