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인 1400만명 '고통' 호소… 긍정평가 51%대로 떨어져



(올랜도=코리아위클리) 박윤숙-김명곤 기자 = 스스로 자기 삶이 ‘고통받고 있다’고 평가하는 미국인들의 비율이 역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론조사기관 갤럽이 22일 미국인의 ‘생활 평가 지수(Life Evaluation Index)’를 발표한 결과다.

이번 조사는 지난 7월 말부터 8월 초까지 미국 전역에 있는 약 3700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지난 2008년 1월부터 매달 집계돼 공개되고 있는 생활 평가지수는 현재와 미래의 삶이 어떤지 스스로 평가한 수치이다. 0점부터 10점까지 점수를 매기도록 해서 10점에 가까울수록 삶의 질을 긍정적으로, 점수가 낮을수록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번창(thriving)', '분투(struggling)', '고통(suffering)' 세 단계를 기준으로, 점수가 4점 이하일 때 '고통'으로 분류된다. 현재 자기 삶을 7점 이상, 그리고 5년 내 미래 자신의 삶을 8점 이상으로 평가하면 이는 ‘번창’으로 분류된다.

pbs.jpg
▲ 미국민들 가운데 스스로 자신의 생활을 ‘고통’으로 분류한 비율이 5.6%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08년의 이른바 ‘경제 대공황’ 당시에도 이 비율이 5%를 넘지는 않았다. ⓒ 위키피디아
 
그런데 이번에 나온 부정 평가 수치가 역대 가장 높은 수치인 것으로 밝혀졌다.

스스로 자신의 생활을 평가한 수치가 ‘고통’으로 분류된 응답률은 5.6%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08년의 이른바 ‘경제 대공황’ 당시에도 이 비율이 5%를 넘지는 않았다. 이번에 나타난 수치를 환산하면 미국 전체 성인 중 약 1400만 명이 스스로의 삶을 ‘고통받고 있는 중’이라고 평가한 셈이다.

지지 정당에 상관 없이 기본적으로 부정적 평가가 늘어나기는 했지만, 공화당 지지자의 부정 평가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공화당 지지자 중 지난 7월 ‘고통’으로 분류된 응답률은 약 1년 전보다 두 배 늘어났다.

이와 더불어 삶의 질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비율은 줄었다. ‘번영’으로 분류되는 수치는 지난 2021년 6월 거의 60%를 찍은 뒤 계속 떨어지고 있다. 7월 이 수치는 51%대까지로 떨어졌다. 이는 지난 18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번영 평가 수치가 역대 최저치를 기록한 것은 지금까지 두 번 있었다. 지난 2008년 대공황 시기인 11월, 그리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팬데믹 초기인 2020년 4월로, 당시 모두 46%대로 떨어진 바 있다.

그렇다면 미국인들의 삶의 질에 대한 부정적 평가가 늘어난 것은 어떤 요인 때문일까.

갤럽은 경제적 상황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 꼽았다. 갤럽은 지난 7월 신규 고용이 52만 건을 넘는 등 고용이 많이 이뤄졌지만, 계속되는 인플레이션으로 소비자들이 불안해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그러면서 지난 6월 나타난 ‘경기 신뢰 지수(ECI)’가 역대 최저치에 가까웠다는 점을 언급했다.

의회 전문 매체인 <더힐>은 경제적 상황 외에도 정치적 혼란과 낙태권 보장 폐기 등의 사회적 이슈 등도 이에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 지적했다.

한편, 현재와 미래의 삶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꼽히는 인플레이션과 관련하여 미국 달러의 가치도 계속 하락하고 있다.

< CBS 방송 >에 따르면 현재 100달러의 가치는 3년 전의 86%에 해당한다. 지난 2019년에 100달러를 주고 살 수 있던 것을 이제는 115달러를 내야 살 수 있다는 의미다.

경제가 발전할수록 화폐 가치가 떨어지고 물가가 상승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긴 하다. 다만, 물가가 너무 가파르게 오를 때가 문제다. 연방준비제도가 목표로 하는 물가 상승률은 2%대인데, 지난 7월의 물가 상승률은 8%대로 이보다 훨씬 높은 상황이다.
  • |
  1. pbs.jpg (File Size:148.8KB/Download:1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217 캐나다 캐나다 한인 중심지는 광역토론토가 아닌 메트로밴쿠버로 이동 file 밴쿠버중앙일.. 22.08.26.
1216 캐나다 연방정부, 원주민 언어 교육을 위한 1,120만 캐나다 달러 투자 발표 file Hancatimes 22.08.26.
1215 캐나다 로저스, 지난 통신 대란으로 1억 5천만 캐나다달러 보상 지급 예정 file Hancatimes 22.08.26.
1214 캐나다 계속되는 원숭이두창 확진자 증가에 백신 접종 촉구 file Hancatimes 22.08.26.
1213 캐나다 부알로 공중보건국장, COVID-19 상황 점점 개선될 것 file Hancatimes 22.08.26.
1212 캐나다 연방정부, 퀘벡주에 총기 사건 예방을 위해 4,200만 캐나다 달러 자금 지원 file Hancatimes 22.08.26.
1211 캐나다 퀘벡주, 8월 중순부터 COVID-19 추가 접종 시작 file Hancatimes 22.08.26.
1210 캐나다 몬트리올 시장, 총기 예방을 위한 연방정부 조치에 “충분하지 않다” file Hancatimes 22.08.26.
1209 캐나다 법안 96호 관련 재판 시작 file Hancatimes 22.08.26.
1208 캐나다 전문가들, ArriveCAN 앱에 대한 권리 침해 가능성 경고 file Hancatimes 22.08.26.
1207 캐나다 퀘벡주 공중보건국장, 비소 배출량을 더 줄어야 한다고 권고 file Hancatimes 22.08.26.
1206 캐나다 모더나, 올해 말부터 몬트리올 교외에 백신 공장 착공 및 2024년부터 운영 계획 file Hancatimes 22.08.26.
1205 캐나다 캐나다 원숭이두창 환자 1,000명 돌파 file Hancatimes 22.08.26.
1204 캐나다 르고 주총리, 재선 시 추가적인 사회주택 건설 약속 file Hancatimes 22.08.26.
1203 미국 자동차 가격 전년대비 15%나 올랐다 file YTN_애틀란타 22.08.27.
1202 미국 원숭이두창 감염 미국 첫 사망자, 휴스턴에서 발생 file YTN_애틀란타 22.08.31.
» 미국 "내 삶은 고통" 부정 평가 미국인 비율 역대 가장 높아 file 코리아위클리.. 22.09.01.
1200 미국 고구마의 일생 코리아위클리.. 22.09.01.
1199 미국 드샌티스 "나를 밟지 말라" 차 번호판 지지하는 이유는? file 코리아위클리.. 22.09.01.
1198 미국 플로리다 전 주지사 찰리 크리스트, 민주당 후보로 낙점 file 코리아위클리.. 22.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