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인 1400만명 '고통' 호소… 긍정평가 51%대로 떨어져



(올랜도=코리아위클리) 박윤숙-김명곤 기자 = 스스로 자기 삶이 ‘고통받고 있다’고 평가하는 미국인들의 비율이 역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론조사기관 갤럽이 22일 미국인의 ‘생활 평가 지수(Life Evaluation Index)’를 발표한 결과다.

이번 조사는 지난 7월 말부터 8월 초까지 미국 전역에 있는 약 3700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지난 2008년 1월부터 매달 집계돼 공개되고 있는 생활 평가지수는 현재와 미래의 삶이 어떤지 스스로 평가한 수치이다. 0점부터 10점까지 점수를 매기도록 해서 10점에 가까울수록 삶의 질을 긍정적으로, 점수가 낮을수록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번창(thriving)', '분투(struggling)', '고통(suffering)' 세 단계를 기준으로, 점수가 4점 이하일 때 '고통'으로 분류된다. 현재 자기 삶을 7점 이상, 그리고 5년 내 미래 자신의 삶을 8점 이상으로 평가하면 이는 ‘번창’으로 분류된다.

pbs.jpg
▲ 미국민들 가운데 스스로 자신의 생활을 ‘고통’으로 분류한 비율이 5.6%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08년의 이른바 ‘경제 대공황’ 당시에도 이 비율이 5%를 넘지는 않았다. ⓒ 위키피디아
 
그런데 이번에 나온 부정 평가 수치가 역대 가장 높은 수치인 것으로 밝혀졌다.

스스로 자신의 생활을 평가한 수치가 ‘고통’으로 분류된 응답률은 5.6%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08년의 이른바 ‘경제 대공황’ 당시에도 이 비율이 5%를 넘지는 않았다. 이번에 나타난 수치를 환산하면 미국 전체 성인 중 약 1400만 명이 스스로의 삶을 ‘고통받고 있는 중’이라고 평가한 셈이다.

지지 정당에 상관 없이 기본적으로 부정적 평가가 늘어나기는 했지만, 공화당 지지자의 부정 평가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공화당 지지자 중 지난 7월 ‘고통’으로 분류된 응답률은 약 1년 전보다 두 배 늘어났다.

이와 더불어 삶의 질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비율은 줄었다. ‘번영’으로 분류되는 수치는 지난 2021년 6월 거의 60%를 찍은 뒤 계속 떨어지고 있다. 7월 이 수치는 51%대까지로 떨어졌다. 이는 지난 18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번영 평가 수치가 역대 최저치를 기록한 것은 지금까지 두 번 있었다. 지난 2008년 대공황 시기인 11월, 그리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팬데믹 초기인 2020년 4월로, 당시 모두 46%대로 떨어진 바 있다.

그렇다면 미국인들의 삶의 질에 대한 부정적 평가가 늘어난 것은 어떤 요인 때문일까.

갤럽은 경제적 상황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 꼽았다. 갤럽은 지난 7월 신규 고용이 52만 건을 넘는 등 고용이 많이 이뤄졌지만, 계속되는 인플레이션으로 소비자들이 불안해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그러면서 지난 6월 나타난 ‘경기 신뢰 지수(ECI)’가 역대 최저치에 가까웠다는 점을 언급했다.

의회 전문 매체인 <더힐>은 경제적 상황 외에도 정치적 혼란과 낙태권 보장 폐기 등의 사회적 이슈 등도 이에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 지적했다.

한편, 현재와 미래의 삶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꼽히는 인플레이션과 관련하여 미국 달러의 가치도 계속 하락하고 있다.

< CBS 방송 >에 따르면 현재 100달러의 가치는 3년 전의 86%에 해당한다. 지난 2019년에 100달러를 주고 살 수 있던 것을 이제는 115달러를 내야 살 수 있다는 의미다.

경제가 발전할수록 화폐 가치가 떨어지고 물가가 상승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긴 하다. 다만, 물가가 너무 가파르게 오를 때가 문제다. 연방준비제도가 목표로 하는 물가 상승률은 2%대인데, 지난 7월의 물가 상승률은 8%대로 이보다 훨씬 높은 상황이다.
  • |
  1. pbs.jpg (File Size:148.8KB/Download:1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217 캐나다 YVR 공항, "지난 해 갱신한 역대 최고 이용률 올해 다시 갱신할 듯" 밴쿠버중앙일.. 16.08.30.
1216 미국 미주공관 싸드배치 백악관청원 한인단체 독려 들통 file 뉴스로_USA 16.08.28.
1215 미국 ‘플로리다 샘물’, 디즈니 이전에 최고의 관광 아이콘 코리아위클리.. 16.08.27.
1214 미국 지역 모기에 의한 지카 바이러스 감염 확장세 코리아위클리.. 16.08.27.
1213 미국 테마공원의 도시 비집고 들어온 레고랜드 ‘호황세’ 코리아위클리.. 16.08.27.
1212 미국 여름 마감, 가을의 문턱 '노동절'이 왔다 코리아위클리.. 16.08.27.
1211 미국 潘총장, 함마슐트 전 UN총장 死因 추가조사 방침 file 뉴스로_USA 16.08.26.
1210 캐나다 입지 않는 옷, 쓰레기 아닌 재활용 바람직 밴쿠버중앙일.. 16.08.25.
1209 캐나다 "쿠거, 주택가 출몰 늘어나" 전문가 안전 당부 밴쿠버중앙일.. 16.08.25.
1208 캐나다 밴쿠버, 세계에서 살기 좋은 도시 선정 밴쿠버중앙일.. 16.08.23.
1207 캐나다 써리, 밴쿠버와 함께 영화 산업 성장 중 밴쿠버중앙일.. 16.08.23.
1206 캐나다 밴쿠버시, 400채 임대주택 건축 시작 밴쿠버중앙일.. 16.08.23.
1205 미국 기발한 ‘윌 유 메리 미?’ 청혼 방식 코리아위클리.. 16.08.22.
1204 미국 플로리다 버추얼 스쿨은 미국 온라인 교육의 선구자 코리아위클리.. 16.08.19.
1203 미국 찜통 더위 여름철, 민물 물놀이 조심하세요 코리아위클리.. 16.08.19.
1202 미국 임파선은 신체 방어전선 코리아위클리.. 16.08.19.
1201 미국 ‘벌거벗은 트럼프’가 ‘내시’인 까닭 file 뉴스로_USA 16.08.19.
1200 캐나다 캐나다, 20년 만에 수영에서 메달 획득 CN드림 16.08.16.
1199 캐나다 캘거리 시의원, 올 상반기 15만 달러 지출 CN드림 16.08.16.
1198 미국 ‘세이프 헤븐 법’ 시행 16년… 신생아 유기 ‘여전’ 코리아위클리.. 16.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