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 지역 10% 미만 떨어질 확률 20~34%
 

 

mimi.jpg
▲ 플로리다주 마이애미 지역 집값이 크게 떨어지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사진은 마이애미 다운타운 지역 콘도 모습. ⓒ 코리아위클리
 
(올랜도=코리아위클리) 김명곤 기자 = 마이애미 지역에서 주택을 사려는 사람들 가운데 일부는 가격이 하락할 수도 있다는 희망으로 주택 시장을 관망해 왔다. 오르기만 하던 집값이 최근들어 소폭이나마 전국적으로 떨어지고 있다. 그렇다면 이제 기회가 온 것일까.

부동산 데이터 및 분석 제공업체인 코어로직(CoreLogic)이 새로 발표한 확률에 따르면, 주택 구매자들은 적어도 다음 해에도 운이 따르지는 않을 듯하다. 마이애미 지역의 주택 가격이 상당 폭으로 하락할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기 때문이다.

설령 집값이 하락한다 하더라도 전반적으로 집값을 하락시킬 만큼 큰 폭이 되지않을 것이란 예측이 아직은 많다.

소폭이나마 남부 플로리다 지역에서 주택 가격이 하락할 가능성은 얼마나 될까.

코어로직이 내놓은 자료에 따르면 포트 로더데일, 폼파노 비치, 디어필드 비치 지역의 집값이 떨어질 확률이 50%에 이르는 반면, 마이애미, 미아미 비치, 켄달 지역은 반절 수준인 24%이다. 그런가 하면 웨스트 팜 비치, 보카 라톤, 딜레이 비치 45%의 확률을 갖고 있다.

코어로직은 플로리다 전역 대도시 지역의 집값 하락 가능성에 순위를 매겼다. 코어로직 연구진은 향후 1년간 집값 하락 확률을 측정하기 위해 인구 증가, 주택 공급, 신규 건설 프로젝트, 소비자 신뢰도, 주택담보대출 금리 등 몇몇 핵심 지표를 분석했다. 그 결과 가까운 미래에 가격 하락 가능성을 예측해 냈다.

연구진은 가격 하락폭과 상승폭이10% 이상이나 이하가 될 가능성이 얼마나 되는지도 살펴서 가격 하락 확률을 더욱 세분화했다.

포트 로더데일 지역의 경우, 가격 하락폭이 10% 이상일 가능성이 16%, 가격 하락폭이 10% 미만일 가능성이 34%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웨스트팜비치와 마이애미의 경우 가파른 가격 하락 가능성은 더욱 희박했다. 가령, 웨스트팜비치는 가격 하락이 10% 이상일 확률이 12%, 10% 미만 가격하락 확률은 33%였다. 반면 마이애미 지역은 10% 이상 가격이 하락할 가능성이 3% 미만, 10% 미만의 가격 하락 가능성이 21%에 달한다.

코어로직의 리서치 및 인사이트 담당 임원인 셀마 헵은 "플로리다는 지난 몇 달 동안 거의 30%의 증가율로 상위권을 차지해 왔다. 10%를 할인하더라도 여전히 20%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라면서 "거대한 계획으로 볼 때, 그것은 큰 변화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남부 플로리다의 키즈(Keyes) 회사의 부사장인 크리스티나 파페즈는 "남부 플로리다의 수요는 너무 크고 공급은 너무 적다. 시장에서 기다리는 구매자들은 아마도 그들이 찾고 있는 가격 하락을 당분간 보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가격이 하락하려면 적어도 1년치 재고가 있어야 가격 하락을 볼 수 있다"라면서 "우리는 약 두 달 반의 재고를 가지고 있다. 구매자들로부터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느려지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 |
  1. mimi.jpg (File Size:80.5KB/Download:14)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377 미국 총기난사 유가족들, 범인에 어떤 마음 품을까 코리아위클리.. 16.07.22.
8376 미국 올랜도는 명실공히 놀이 공원의 '수도’ 코리아위클리.. 16.07.22.
8375 미국 플로리다 일부 비치 녹조현상, 주정부 비상사태 선포 코리아위클리.. 16.07.22.
8374 미국 힐러리, 러닝메이트 팀 케인 낙점 file 뉴스로_USA 16.07.23.
8373 미국 美민주당 전당대회 D-1 file 뉴스로_USA 16.07.25.
8372 캐나다 캠프파이어 허가, 한층 더 즐거워진 캠핑 밴쿠버중앙일.. 16.07.28.
8371 캐나다 프레이져 보건부와 써리 시의회, 약물 과다복용 해결책 논의 밴쿠버중앙일.. 16.07.28.
8370 캐나다 이어지는 포켓몬 고 소식들, 열차 트랙에 뛰어들기도 밴쿠버중앙일.. 16.07.28.
8369 캐나다 불꽃축제 개막, 관객 다소 감소 그러나 축제 분위기 여전 밴쿠버중앙일.. 16.07.28.
8368 캐나다 폭력 조직 총격 계속, 지난 주말에는 사망자도 나와 밴쿠버중앙일.. 16.07.28.
8367 캐나다 스탠리 파크에 포켓몬 고 플레이어 수백 명 모여 밴쿠버중앙일.. 16.07.28.
8366 미국 팀 케인 부통령후보 수락…美민주 전대 file 뉴스로_USA 16.07.28.
8365 미국 오준대사 ECOSOC의장 임기마쳐 file 뉴스로_USA 16.07.29.
8364 미국 자동차 사고, 경찰이 늑장 부린다면? file 코리아위클리.. 16.07.29.
8363 미국 올랜도 백화점 고객들, 아웃렛몰로 몰린다 file 코리아위클리.. 16.07.29.
8362 미국 남부플로리다 주택가격 오름세 지속 코리아위클리.. 16.07.29.
8361 미국 플로리다 서남해안 베니스는 세계 상어 이빨의 '수도’ 코리아위클리.. 16.07.29.
8360 미국 플로리다, 의료용 마리화나 시판 시작 코리아위클리.. 16.07.29.
8359 캐나다 써리 총격 사망자, 무고하게 희생되었을 가능성 제기 밴쿠버중앙일.. 16.07.30.
8358 캐나다 올해 프라이드 위크 개막, 내부 갈등 몸살 밴쿠버중앙일.. 16.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