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공화제 운동 1).jpg

앞으로 호주의 공화제 논의가 보다 활발하게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를 지지하는 호주의 대표적 그룹인 ‘Australian Republic Movement’는 최근 한 미디어를 통해 캠페인 전개를 주도할 것임을 밝혔다. 사진은 군주를 상징하는 왕관. 사진 / UK Parliament

 

‘Australian Republic Movement’ 주도... “‘불가피하게’ 공화제 될 것” 분석도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장례와 애도 기간이 끝나면서 호주 공화제 운동 그룹이 국가운영 시스템 변화를 위한 본격적인 캠페인을 예고했다. 공화제 로비단체가 호주를 왕정(monarchy)에서 분리시키려는 운동에 불을 붙인 것이다.

지난 수십 년 동안 이를 위해 활동해 온 ‘Australian Republic Movement’의 샌디 바이어(Sandy Biar) 최고경영자는 최근 ABC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애도 기간을 정중히 지켜왔다”면서 그 기간이 끝남에 따라 “이제부터는 우리(호주)가 우리 국가원수를 선출하는 캠페인 전개를 주도하겠다”고 밝혔다.

연방 노동당 정부는 이미 집권 첫 임기 중에는 ‘공화국 전환’을 묻는 국민투표 실시를 배제했지만 다음 임기, 즉 2025년 선거에서 승리, 연속하여 정부를 이어갈 경우 이를 시행하겠다고 제안한 바 있다.

앤서니 알바니스(Anthony Albanese) 총리는 여왕의 국장 기간, ABC 방송에서 “지난 선거(5월 연방 총선) 이전, 나는 임기 동안(노동당 집권 가정 하에) 우리 의도가 무엇인지를 분명히 했다”며 “그것은 우리 헌법에서 원주민과 토레스 해협 도서민을 인정하는 것”이라고 밝혔었다.

총리가 언급한 ‘원주민과 토레스 해협 도서민 인정’은 이들의 오랜 요구였다. 이는 연방의회에 이들의 의견을 전달할 대표 기구(‘Indigenous Voice to Parliament’)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회에 이 기구를 마련하려면 헌법이 수정되어야 하고, 알바니스 총리는 이를 위한 국민투표 시행이 먼저임을 언급했던 것이다.

 

호주의 국가 원수,

어떻게 선출할 것인가

 

알바니스 총리의 이 같은 방침은, 공화제 로비 그룹의 캠페인이 최소 3년을 남겨두었음을 뜻한다. 바이아 CEO는 “(공화제 전환 후) 어떤 변화가 있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우리 커뮤니티에 다양한 견해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따라서 우리는 국민투표에 붙일 제안을 만들기 위해 앞으로 몇 년 동안 그 논의가 이어지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종합(공화제 운동 2).jpg

호주인들이 엘리자베스 2세 여왕에게 보인 애정은 대단한 편이었다. 반면 여왕의 뒤를 이은 찰스 3세 국왕에게는 그렇지 않다는 게 일반적 의견이며, 이것이 공화제로의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는 분석이다. 사진은 엘리자베스 2세 여왕과 왕위 계승 순위가 가장 높은 왕실의 가족들. 사진 : Facebook / The British Monarchy

  

이 운동은 현재 호주 국가 원수인 찰스 3세 국왕을 대체하는 새 지도자를 직접 만들어낸다는 것이다. 문제는 그 방식이다. 가장 가능성 있는 절차는 연방, 주 및 테러토리 의회가 후보를 지명하고, 호주 유권자들이 이 후보들 가운데 새 국가 원수를 선출하는 방안이다

하지만 아직 공화제에 대한 국민 여론은 압도적 욕구를 보이지 않는다. 엘리자베스 2세 여왕 사망 이후 실시된 가장 최근의 ‘Guardian Essential’ 여론조사에서는 공화국 지지가 43%로 나타났다. 이에 앞서 진행된 ‘Resolve’ 조사 결과는 46%가 공화제를 지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 ‘Roy Morgan Research’의 SMS 조사에서는 호주인 60%가 군주제 유지를 옹호했으며 40%만이 대통령을 직접 선출하는 공화국으로의 전환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조사는 모두 여왕 서거가 발표되고 국장이 진행되는 와중에 실시된 것이다. 바이아 CEO는 “엘리자베스 2세 여왕 서거에 대한 대중매체의 보도, 전 세계적으로 슬픔과 애도를 표하는 뉴스가 쏟아지는 와중에 나온 결과라는 점에서, 이 조사 결과로 인해 공화제 전환 운동그룹은 낙담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 조사 결과는 군주제를 옹호하는 최고 수위가 될 것”이라며 “진정한 시험은 앞으로 몇 년 내 우리가 균형 잡힌 국가적 대화를 시작할 때 드러날 것”이라고 자신했다.

 

“여왕은, 채울 수 없는

공허함을 남긴다”

 

다양한 주제의 호주 역사서를 저술한 작가로 호주와 왕정과의 관계를 다룬 ‘Australia and The Monarchy’를 선보인 바 있는 데이빗 힐(David Hill)씨는 “현재 전 세계가 여왕과 작별을 고한 지금, 호주는 ‘불가피하게’ 공화국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종합(공화제 운동 3).jpg

여왕 서거 후 실시된 'Roy Morgan'의 SMS 여론조사에서 나타난 호주인들의 공화제 지지는 40%, 군주제를 옹호하는 비율은 60%였다. 하지만 공화제 운동가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이 수치도 바뀔 것으로 보고 있다. Source: Roy Morgan

 

그는 “호주인들이 찰스 왕의 어머니를 따뜻하게 대했던 것과 달리 찰스 왕을 그렇게 대한 적이 결코 없다는 것은 틀린 말이 아니다”며 “찰스 왕은 어머니의 후광을 받으려 하겠지만 공화국으로 가려는 호주인들의 움직임은 앞으로 더욱 확산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그는 호주인들이 너무 많은 변화를 바라지 않는다는 점을 생각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우리 정치 체제가 바뀌는 것을 보고 싶어 하지 않을 수 있으며 단지 호주인들이 국가 원수를 임명하는 것을 보고 싶어할 뿐”이라는 것이다.

호주국립대학교(ANU) 역사학자인 안젤라 울라코트(Angela Woollacott) 교수도 기다리는 것, 즉 구체적인 시스템에 대한 충분한 논의가 공화제 캠페인의 대의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데에 같은 의견을 보였다.

아울러 그녀는 하워드 정부 당시 치러진 국민투표(1999년)의 문제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울라코트 교수는 “당시 공화제 전환을 묻는 국민투표는 대통령을 어떻게 선출할 것인가에 대한 의견이 나뉘어져 실패했을 뿐”이라며 국민들의 결정을 묻기(국민투표) 전에 충분한 논의가 있어야 함을 다시금 강조했다.

사실 1999년 국민투표에서는 대통령 선출에 대해 ‘연방의회 3분의 2의 동의에 의한 대통령 임명’이라는 모델을 기반으로 했다. 그러나 일부 공화제 운동가들은 대통령을 국민들이 직접 선출하기를 원했고, 이 분열은 공화제 전환을 무산시키는 결과로 이어졌다.

 

종합(공화제 운동 4).jpg

공화제 전환을 추진하는 대표적 로비그룹 ‘Australian Republic Movement’의 샌디 바이어(Sandy Biar. 사진) 최고경영자. 그는 시간을 갖고 공화제 국민투표 의제를 위한 논의를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사진 : Australian Republic Movement

   

울라코트 교수는 “최근의 여론조사 결과는 바로 당시 순간을 반영한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어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이 수치는 바뀔 것이고 더 많은 비율이 공화제를 지지하게 될 것이라 믿는다”고 덧붙였다.

 

“굳이 변경할 필요가 있나...”

 

그런 한편 전 자유당 소속 상원의원이자 군주제를 지지하는 ‘Australian Monarchist League’의 에릭 아베츠(Eric Abetz) 의장은 “변화가 필요 없다”고 잘라 말했다.

“우리의 총독(governor-general. 군주를 대신하는)은 스스로 법을 만들 수 없으며, 이는 의회를 통과해서만이 가능하다”는 그는 “이것이 입헌군주제의 장점”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아베츠 의장은 “민주주의 지수가 높은 상위 10개 민주 국가들 가운데 7개 국이 입헌군주 국가”라면서 “우리(호주)가 가진 멋진 시스템의 장점은 더 많다”고 말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공화제 운동 1).jpg (File Size:82.6KB/Download:12)
  2. 종합(공화제 운동 2).jpg (File Size:87.4KB/Download:16)
  3. 종합(공화제 운동 3).jpg (File Size:33.2KB/Download:13)
  4. 종합(공화제 운동 4).jpg (File Size:50.4KB/Download:17)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701 호주 호주인, 주택융자 신청서류 정직히 작성할까? 톱뉴스 17.09.15.
6700 호주 호주인, 일본 방문 급증…평창올림픽 앞둔 한국은? 톱뉴스 17.08.11.
6699 호주 호주인, 생활습관 변화로 암 사망의 40% 예방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17.12.14.
6698 호주 호주인 흡연자 비율, 30년 만에 절반으로 감소 file 호주한국신문 19.06.06.
6697 호주 호주인 행복지수, 전 세계 국가 중 18번째 호주한국신문 14.05.29.
6696 호주 호주인 평균수명 84.32세로 늘어나, 모나코-일본 이어 전 세계 세 번째 장수 file 호주한국신문 22.11.17.
6695 호주 호주인 특유의 유머가 만들어낸 ‘Strollout’, ANDC의 ‘올해의 단어’에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6694 호주 호주인 태운 비행기 네 대 이번 주 퍼스 도착, 확진자 수 급증 가능성 있어 file 퍼스인사이드 20.04.28.
6693 호주 호주인 질병 부담의 3분의 1은 예방 가능한 위험 요인...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9.
6692 호주 호주인 직장선호도 1위는 항공업, ‘버진 항공’ 1위 file 호주한국신문 16.05.12.
6691 호주 호주인 정서, “아직은 군주제 지지 우세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2.04.
6690 호주 호주인 임대료 부담 가중, 소득의 30-50% 지출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6689 호주 호주인 음주량 감소... ‘위험 수준의 술꾼’ 비율은 여전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6688 호주 호주인 알코올 관련 질병 사망자, 하루 15명달해 호주한국신문 14.07.31.
6687 호주 호주인 스마트폰 의존, 갈수록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686 호주 호주인 선교사들이 남긴 한국의 근·현대 모습은... 호주한국신문 14.05.15.
6685 호주 호주인 부부, 대리모가 낳은 장애아 대리모에게 떠넘겨 호주한국신문 14.08.07.
6684 호주 호주인 미디어 이용, TV보다 디지털 기기 선호 호주한국신문 14.08.07.
6683 호주 호주인 기대수명... 여 84.5세, 남 80.4세 file 호주한국신문 16.11.03.
6682 호주 호주인 골다공증 심각, 3분에 한 명 골절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681 호주 호주인 거주 지역별, 심장건강 차이 두드러져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2.
6680 호주 호주인 개인 소득 지속 증가... 일부 지역은 줄어 file 호주한국신문 20.02.13.
6679 호주 호주인 가구당 평균 자산 100만 달러 첫 돌파 톱뉴스 19.07.16.
6678 호주 호주인 가계자산, 최고 수준... ‘잘못된 부의 분배’ 경고도 file 호주한국신문 17.07.06.
6677 호주 호주인 ‘중간 순자산’ 규모, 전 세계에서 가장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18.10.25.
6676 호주 호주인 ‘비만’ 비율 상승, 거주 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 file 호주한국신문 19.12.12.
6675 호주 호주인 IS 테러리스트 ‘프라카시’, 터키서 체포 file 호주한국신문 16.12.01.
6674 호주 호주인 90% “재정적 안정을 위해 주택 소유는 필수” 톱뉴스 17.07.14.
6673 호주 호주인 7명 목숨 앗아간 호주산 멜론 9개국에 수출 톱뉴스 18.04.12.
6672 호주 호주인 71%, “턴불 총리, 잔여임기 마쳐야...” 입장 file 호주한국신문 17.12.07.
6671 호주 호주인 60%, 무슬림과의 결혼에 ‘우려’ 표시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9.
6670 호주 호주인 5대 사망요인은? file 한호일보 16.03.14.
6669 호주 호주인 40%, 해외여행 경험 없어... 그 이유는 무엇?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1.
6668 호주 호주인 40% 수면부족...그 결과는? 톱뉴스 17.10.10.
6667 호주 호주인 25%, 매주 기부금 요청 전화 수신 file 호주한국신문 16.10.06.
6666 호주 호주인 10명 중 7명, “자녀의 삶, 더 악화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8.
6665 호주 호주인 100만 명 이상 불량주택 거주, ‘슬럼화’ 경고...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1.
6664 호주 호주의 평균 소득자들, 어느 지역에서 주택구입 가능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7.
6663 뉴질랜드 호주의 키위 전과자들, 매일 두 명꼴로 뉴질랜드 돌아와 NZ코리아포.. 18.01.11.
6662 호주 호주의 크리스마스 톱뉴스 17.12.25.
6661 호주 호주의 코로나 바이러스, 실제 확산은 어느 정도일까... file 헬로시드니 20.08.07.
6660 호주 호주의 첫 중국계 여성 연방의원 글래디스 리우 ‘구설수’ 확산 톱뉴스 19.09.17.
6659 호주 호주의 첫 ‘오미크론’(Omicron) 변이 파동, “드러난 것보다 더 컷을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6658 호주 호주의 전기차 현황, 이용자 늘고 있지만 다른 국가 비해 크게 뒤쳐져 file 호주한국신문 22.04.21.
6657 호주 호주의 여름나기, 유의해야 할 ‘치명적 위험’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12.08.
6656 호주 호주의 에어비앤비 숙소, ‘주택부족’ 문제에 미치는 영향 “크지 않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3.07.
6655 호주 호주의 비공식 국가 이념 ‘mateship’, “이전처럼 강하지 않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6654 호주 호주의 봄... ‘Golden fields’와 ‘Purple rain’ 최고의 명소는 file 헬로시드니 20.10.01.
6653 호주 호주의 문화적 다양성 상위 10개 교외지역 중 8개는 빅토리아 주에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 호주 호주의 대표적 공화제 전환 운동그룹, ‘헌법 개정’ 캠페인 전개 의사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