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호주인 수명 1).jpg

호주인들이 'Lucky Country'에 산다는 말이 맞는 듯하다. 호주 통계청(ABS)이 내놓은 최근의 호주인 수명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출생시 기대수명은 여성 85.4세, 남성은 81.3세로 다른 국가에 비해 기대수명이 증가했다. 사진 : Pixabay / minanfotos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자료... 현 출생시 기대수명, 여성 85.4세-남성 81.3세

 

호주인들이 더 오래 살고 있다. 지난해 조사에서 전 세계 여섯 번째를 기록했던 호주인의 평균수명은 올해 조사에서 더 길어져 전 세계 국가 중 세 번째로 장수를 누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달 둘째 주 호주 통계청(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ABS)이 내놓은 새로운 수치에 따르면 호주인 기대수명은 현재 여성 85.4세, 남성은 81.3세이다. 남녀를 합한 나이는 84.32세로, 이는 모나코 공국, 일본 다음으로 장수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수명이다.

ABS 인구통계국 에밀리 월터(Emily Walter) 국장은 “이 평균 수명은 호주가 오늘날까지 달성한 가장 높은 순위”라고 말했다.

월터 국장은 “이는 코로나바이러스 팬데믹 첫 2년을 고려한 것이며 실제로 그 기간 동안 호주인의 기대수명이 강하게 유지되었음을 나타낸다”면서 “이것이 보여주는 바는, 평균수명의 향상이나 변화뿐 아니라 다른 국가의 수명 변화도 이해하는 게 중요하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녀에 따르면 이번 호주인 수명 자료는 2019년부터 2021년까지를 다루고 있다. 때문에 호주에서 COVID-19 전염병이 가장 치명적 기간이었던 올해는 고려하지 않아야 한다는 설명이다.

호주국립대학교(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ANU) 인구통계학자인 블라디미르 카누다스 로모(Vladimir Canudas Romo) 교수는 2022년 현재까지의 사망률을 기준으로 한다면, 내년도 수치로 나올 호주인 기대수명은 약 6개월 감소가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로모 교수는 “미국 및 스페인이 잃어버린 2년의 기간을 감안하면 호주는 괜찮은 편”이라며 “안타깝게도 (전염병으로) 가족이나 친척을 잃은 모든 이들에게 애도를 표한다”고 덧붙였다.

ABS에 따르면 출생시 기대 수명은 ‘현재의 특정 연령층으로 한정된 이들의 사망률이 평생 동안 경험된다는 것을 감안할 때’(assuming current age-specific death rates are experienced through his/her lifetime) 신생아가 얼마나 오래 살 수 있는지를 예상할 수 있는 평균 연수를 나타낸다.

 

종합(호주인 수명 2).jpg

호주국립대학교(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ANU) 인구통계학자인 블라디미르 카누다스 로모(Vladimir Canudas Romo. 사진) 교수. 그는 이번 ABS 보고서와 관련, 2022년 현재까지의 사망률을 기준으로 한다면 내년도 수치로 나올 호주인 기대수명은 약 6개월 감소가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사진 : Twitter / ANU Demograph

   

“장수하기를 바랍니다”

 

ABS의 올해 자료를 기준으로 보면, 이제 태어난 지 8개월이 되는 여아 스카웃 맥타가트(Scout McTaggart)의 기대수명은 85.4세이다.

맥타가트의 할머니인 트레이시-앤 오설리번(Tracy-Ann O'Sullivan)씨가 1962년 태어났을 때와 비교해 약 11년을 더 오래 살 것으로 기대된다.

오설리번씨는 “(자신의 시대에서는) 몸이 아프더라도 계속 움직여야 한다는 생각이 더 컸었다”고 말했다.

스카웃의 어머니 브리짓 맥타가트(Bridget McTaggart)씨는 (장수를 누릴) 딸의 미래에 대한 희망이 있다. “우리는 호주에서 많은 축복을 받았지만 특히 우리의 의료 시스템이 그렇다”고 덧붙였다.

로모 교수는 남성과 여성의 기대수명 차이가 ‘전 세계 모든 국가’에서 나타나며 러시이의 경우에는 무려 12년이나 된다고 설명했다. “모든 연령대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더 오래 살고 또 남성 사망률은 모든 연령대에서 약간 높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특히 젊은이들이 청년이 되어 술을 마시고 자동차 운전을 시작하는 시기를 포함해 특정 연령대에서 성별간 (수명) 격차가 두드러진다고 말했다. 로모 교수는 “젊은 남성의 경우 여성에 비해 위험을 감수하려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월터 국장에 따르면 그 차이(남녀간 수명)는 시간이 지나면서 감소하고 있다. “현재 남녀 기대수명 격차는 4.1년인데 1970년대에는 7세에 달했다”는 것이다.

호주 남성은 현재 모나코에 이어 두 번째로 긴 기대수명으로, 이 부분에서는 좋은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Lucky Country’ 호주가

바로 잡아야 할 격차는

 

ABS의 이번 자료에는 2023년 11월 발표 예정인 업데이트 정보와 함께 원주민 기대수명에 대한 분석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종합(호주인 수명 3).jpg

호주 통계청(ABS) 인구통계국 에밀리 월터(Emily Walter. 사진) 국장은 “이 평균 수명(남녀 합하여 84.32년)은 호주가 오늘날까지 달성한 가장 높은 순위”라고 말했다. 사진 : ABS

   

지난 2020년 나온 ‘2020 Closing The Gap Report’에 따르면 원주민의 경우 출생시 기대수명은 일반 호주인에 비해 남성 8.6년, 여성은 7.8년이 낮다.

로모 교수는 “기대수명에서 호주는 원주민과 큰 차이가 있다”며 “호주의 모든 이들이 이 나라에 대해 이야기하는 ‘Lucky Country’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원주민과의 기대수명 격차를 줄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로모 교수는 기후변화와 같은 요인이 미래 기대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음을 경고했다. “우리는 이미 일부 국가에서 과도한 더위나 추위, 게다가 매연이 현지 사람들에게 상당한 영향을 미친 결과를 보고 있다”는 설명이다.

 

“현재 당신이 어디에

살고 있는지도 중요하다”

 

호주 내 지역별로 보면 ACT(Australian Capital Territory)는 가장 높은 기대수명을 보이며 노던 테러토리(Northern Territory)가 가장 낮다.

기대수명 추정치는 각 주 및 테러토리(State and Territory) 경계 내에서도 다르며, 일반적으로 각 주 수도에 거주하는 이들이 높은 편이다.

 

해외 국가의 COVID-19 영향

 

미국 질병예방통제센터(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의 잠정 자료에 따르면 미국의 기대수명은 2020년 1.8년, 2021년에는 0.9년으로 거의 100년 만에 최대 2년이 줄었다.

 

종합(호주인 수명 4).jpg

호주인의 기대수명은 지난해 조사에서 전 세계 6위였으나 올해 조사에서는 모나코 공국, 일본에 이어 3위에 랭크됐다. 사진 : 7 News 방송 화면 캡쳐

   

CDC는 지난 8월 말 자료에서 “COVID-19에 의한 사망이 2019년부터 2020년까지 기대수명 감소의 거의 4분의 3 또는 73%, 2020년에서 2021년 감소의 50%에 기여했다”고 밝혔다.

영국에서는 2018-2020년 기간 동안 남성의 출생시 기대수명이 7주 감소한 반면 여성의 경우에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이 수치에는 COVID-19 팬데믹 사태 이후의 사망자만 포함되어 있다.

영국 인구통계 학자인 파멜라 콥(Pamela Cobb)씨는 “1980년대 초, 이 시리즈가 시작된 후 겹치지 않은 기간을 비교했을 때 기대수명이 하락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말했다.

 

■ 호주인 출생시 기대수명

(연도 : 남성 / 여성)

1991 : 74.4 / 80.3

1992 : 74.5 / 80.4

1993 : 75 / 80.9

1994 : 75 / 80.9

1993-1995 : 75 / 80.9

1994-1996 : 75.2 / 81.1

1995-1997 : 75.6 / 81.3

1996-1998 : 75.9 / 81.5

1997-1999 : 76.2 / 81.8

1998-2000 : 76.6 / / 82

1999-2001 : 77 / 82.4

2000-2002 : 77.4 / 82.6

2002-2003 : 77.8 / 82.8

2002-2004 : 78.1 / 83

2003-2005 : 78.5 / 83.3

2004 : 2006 : 78.7 / 83.5

2005-2007 : 79 / 83.7

2006-2008 : 79.2 / 83.7

2007-2009 : 79.3 / 83.9

2008-2010 : 79.5 / 84

2009-2011 : 79.7 / 84.2

2010-2012 : 79.9 / 84.3

2011-2013 : 80.1 / 84.3

2012-2014 : 80.3 / 84.4

2013-2015 : 80.4 / 84.5

2014-2016 : 80.4 / 84.6

2015-2017 : 80.5 / 84.6

2016-2018 : 80.7 / 84.9

2017-2019 : 80.9 / 85

2018-2020 : 81.2 / 85.3

2019-2021 : 81.3 / 85.4

Source : ABS

 

■ 평균 수명 높은 상위 20개 국가

(국가 : 평균수명(순위) / 남성 기대수명(순위) / 여성 기대수명(순위))

Monaco : 86.5(1) / 84.8(1) / 88.4(1)

Japan : 84.7(2) / 81.6(3) / 87.7(2)

Australia : 84.3(3) / 82.9(2) / 85.7(5)

Republic of Korea : 83.6(4) / 80.2(13) / 86.7(3)

Malta : 83.4(5) / 80.6(9) / 86.2(4)

Norway : 83.2(6) / 81.5(4) / 84.9(11)

Switzerland : 83.1(7) / 81.0(6) / 85.1(8)

Singapore : 82.9(8) / 80.5(12) / 85.3(6)

Liechtenstein : 82.8(9) / 80.6(11) / 85.0(10)

New Zealand : 82.7(10) / 80.9(7) / 84.6(14)

Iceland : 82.6(11) / 81.1(5) / 84.1(20)

Ireland : 82.5(12) / 80.8(8) / 84.1(18)

Sweden : 82.4(13) / 80.6(10) / 84.3(17)

Italy : 82.4(14) / 80.0(15) / 84.7(12)

Israel : 82.4(15) / 80.2(14) / 84.5(15)

Spain : 82.3(16) / 79.6(19) / 85.0(9)

France : 82.2(17) / 79.2(22) / 85.2(7)

Canada : 82.1(18) / 80.0(16) / 84.1(19)

Finland : 81.9(19) / 79.1(23) / 84.7(13)

Netherlands : 81.6(20) / 79.9(17) / 83.3(29)

*출생시 기대수명을 기준으로 한 것임.

Source : UN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Population Division (2022), World Population Prospects 2022, Online Edition

 

■ 각 주 및 테러토리별 출생시 기대수명

(State & Territory : 2009-2011년 남성 / 여성 : 2019-2021년 남성 / 여성 : 10년간 변화 : 남성 / 여성)

Tas : 78.3 / 82.5 : 80.3 / 84.4 : 2.0 / 1.9

ACT : 81.0 / 84.8 : 82.7 / 86.3 : 1.7 / 1.5

Vic : 80.3 / 84.4 : 81.7 / 85.7 : 1.4 / 1.3

SA : 79.7 / 84.0 : 81.0 / 85.3 : 1.3 / 1.3

WA : 80.1 / 84.6 : 81.7 / 85.9 : 1.6 / 1.3

NSW : 79.8 / 84.2 : 81.4 / 85.4 : 1.6 / 1.2

Qld : 79.5 / 84.1 : 80.9 / 85.1 / 1.4 / 1.0

NT : 74.9 / 80.5 : 76.3 / 81.0 : 1.4 / 0.5

Source : ABS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호주인 수명 1).jpg (File Size:80.2KB/Download:18)
  2. 종합(호주인 수명 2).jpg (File Size:47.4KB/Download:24)
  3. 종합(호주인 수명 3).jpg (File Size:54.9KB/Download:18)
  4. 종합(호주인 수명 4).jpg (File Size:63.5KB/Download:24)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701 호주 호주인, 주택융자 신청서류 정직히 작성할까? 톱뉴스 17.09.15.
6700 호주 호주인, 일본 방문 급증…평창올림픽 앞둔 한국은? 톱뉴스 17.08.11.
6699 호주 호주인, 생활습관 변화로 암 사망의 40% 예방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17.12.14.
6698 호주 호주인 흡연자 비율, 30년 만에 절반으로 감소 file 호주한국신문 19.06.06.
6697 호주 호주인 행복지수, 전 세계 국가 중 18번째 호주한국신문 14.05.29.
» 호주 호주인 평균수명 84.32세로 늘어나, 모나코-일본 이어 전 세계 세 번째 장수 file 호주한국신문 22.11.17.
6695 호주 호주인 특유의 유머가 만들어낸 ‘Strollout’, ANDC의 ‘올해의 단어’에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6694 호주 호주인 태운 비행기 네 대 이번 주 퍼스 도착, 확진자 수 급증 가능성 있어 file 퍼스인사이드 20.04.28.
6693 호주 호주인 질병 부담의 3분의 1은 예방 가능한 위험 요인...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9.
6692 호주 호주인 직장선호도 1위는 항공업, ‘버진 항공’ 1위 file 호주한국신문 16.05.12.
6691 호주 호주인 정서, “아직은 군주제 지지 우세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2.04.
6690 호주 호주인 임대료 부담 가중, 소득의 30-50% 지출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6689 호주 호주인 음주량 감소... ‘위험 수준의 술꾼’ 비율은 여전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6688 호주 호주인 알코올 관련 질병 사망자, 하루 15명달해 호주한국신문 14.07.31.
6687 호주 호주인 스마트폰 의존, 갈수록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686 호주 호주인 선교사들이 남긴 한국의 근·현대 모습은... 호주한국신문 14.05.15.
6685 호주 호주인 부부, 대리모가 낳은 장애아 대리모에게 떠넘겨 호주한국신문 14.08.07.
6684 호주 호주인 미디어 이용, TV보다 디지털 기기 선호 호주한국신문 14.08.07.
6683 호주 호주인 기대수명... 여 84.5세, 남 80.4세 file 호주한국신문 16.11.03.
6682 호주 호주인 골다공증 심각, 3분에 한 명 골절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681 호주 호주인 거주 지역별, 심장건강 차이 두드러져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2.
6680 호주 호주인 개인 소득 지속 증가... 일부 지역은 줄어 file 호주한국신문 20.02.13.
6679 호주 호주인 가구당 평균 자산 100만 달러 첫 돌파 톱뉴스 19.07.16.
6678 호주 호주인 가계자산, 최고 수준... ‘잘못된 부의 분배’ 경고도 file 호주한국신문 17.07.06.
6677 호주 호주인 ‘중간 순자산’ 규모, 전 세계에서 가장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18.10.25.
6676 호주 호주인 ‘비만’ 비율 상승, 거주 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 file 호주한국신문 19.12.12.
6675 호주 호주인 IS 테러리스트 ‘프라카시’, 터키서 체포 file 호주한국신문 16.12.01.
6674 호주 호주인 90% “재정적 안정을 위해 주택 소유는 필수” 톱뉴스 17.07.14.
6673 호주 호주인 7명 목숨 앗아간 호주산 멜론 9개국에 수출 톱뉴스 18.04.12.
6672 호주 호주인 71%, “턴불 총리, 잔여임기 마쳐야...” 입장 file 호주한국신문 17.12.07.
6671 호주 호주인 60%, 무슬림과의 결혼에 ‘우려’ 표시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9.
6670 호주 호주인 5대 사망요인은? file 한호일보 16.03.14.
6669 호주 호주인 40%, 해외여행 경험 없어... 그 이유는 무엇?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1.
6668 호주 호주인 40% 수면부족...그 결과는? 톱뉴스 17.10.10.
6667 호주 호주인 25%, 매주 기부금 요청 전화 수신 file 호주한국신문 16.10.06.
6666 호주 호주인 10명 중 7명, “자녀의 삶, 더 악화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8.
6665 호주 호주인 100만 명 이상 불량주택 거주, ‘슬럼화’ 경고...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1.
6664 호주 호주의 평균 소득자들, 어느 지역에서 주택구입 가능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7.
6663 뉴질랜드 호주의 키위 전과자들, 매일 두 명꼴로 뉴질랜드 돌아와 NZ코리아포.. 18.01.11.
6662 호주 호주의 크리스마스 톱뉴스 17.12.25.
6661 호주 호주의 코로나 바이러스, 실제 확산은 어느 정도일까... file 헬로시드니 20.08.07.
6660 호주 호주의 첫 중국계 여성 연방의원 글래디스 리우 ‘구설수’ 확산 톱뉴스 19.09.17.
6659 호주 호주의 첫 ‘오미크론’(Omicron) 변이 파동, “드러난 것보다 더 컷을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6658 호주 호주의 전기차 현황, 이용자 늘고 있지만 다른 국가 비해 크게 뒤쳐져 file 호주한국신문 22.04.21.
6657 호주 호주의 여름나기, 유의해야 할 ‘치명적 위험’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12.08.
6656 호주 호주의 에어비앤비 숙소, ‘주택부족’ 문제에 미치는 영향 “크지 않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3.07.
6655 호주 호주의 비공식 국가 이념 ‘mateship’, “이전처럼 강하지 않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6654 호주 호주의 봄... ‘Golden fields’와 ‘Purple rain’ 최고의 명소는 file 헬로시드니 20.10.01.
6653 호주 호주의 문화적 다양성 상위 10개 교외지역 중 8개는 빅토리아 주에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6652 호주 호주의 대표적 공화제 전환 운동그룹, ‘헌법 개정’ 캠페인 전개 의사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